포스코케미칼이 배터리소재사업 투자 성과로 올해 2분기 역대 최대 매출 8032억과 영업이익552억원을 달성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연결 기준으로 매출 8,032억원, 영업이익 552억원의 2022년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0.9%, 영업이익은 116.2% 증가하며 시장 전망을 큰 폭으로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2분기 매출은 배터리소재 양산 확대와 판매단가 상승으로 8분기 연속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영업이익도 양극재 사업 수익 강화로 전 분기대비 두 배 이상 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배터리 소재사업에서는 글로벌 양극재 투자로 2021년 단행했던 중국법인 절강포화가 호실적을 이끌었으며, 그룹 연계 전략 조달 체제를 구축 중인 리튬·니켈 등의 원료가 상승이 판가에 반영돼 매출액이 전 분기 대비 24.5% 증가한 3,951억원을 기록했다.
양극재 사업은 수익성 높은 전기차용 하이니켈 제품 비중이 91%에 달하고, 국내외에 증설 중인 양산라인의 가동률과 수율이 높아졌다. 향후 글로벌 양산투자 확대를 통해 현 4만 5천톤의 연 생산능력을 2022년 10만 5천톤, 2025년 34만톤, 2030년 61만톤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음극재 사업 매출은 465억원으로, 전기차용 반도체 공급부족 영향에도 불구하고 ESS와 IT 배터리용 제품비중이 늘어나며 지속 성장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올해 하반기에도 원료 및 공급망 이슈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수요 대응을 위한 양산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 신규 고객 수주 확대, 원료 공급망 고도화 등을 통한 수익성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양극재는 올해 하반기에 광양공장 생산라인을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연산 9만톤으로 종합 준공한다. 현재 진행 중인 GM과의 캐나다 양극재 합작공장 신설, 포항 양극재 공장 신설, 중국 양극재 공장 증설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음극재는 세종에 1만5천톤의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 포항에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8만2천톤의 생산능력을 2025년 17만톤, 2030년 32만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에도 집중한다. 90%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 양산과 하이니켈 NCA와 보급형 전기차를 위한 LFP하이망간 제품 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음극재도 차세대 소재인 SiOx(실리콘복합산화물) 및 Si-C(실리콘카본) 제품 등의 양산체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