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2-11-10 13:47:43
기사수정


▲ 수소경제성장 3UP전략(산업부)



정부가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 보급과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 보급 등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롯데호텔 서울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수소산업 본격 성장을 위한 새로운 수소경제 정책방향 등을 발표하고 논의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새정부 출범 후 첫 위원회로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및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이라는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수소경제 3대 정책방향 △규모범위의 성장(Scale-Up)

△인프라·제도의 성장(Build-Up) △산업·기술의 성장(Level Up)을 발표했다.


규모범위에선 발전수송분야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 글로벌 수소공급망을 구축, 청정수소 생태계로 확장해 수소 혼소발전을 실현하고, 수소버스, 트럭 등 대형 모빌리티 보급을 확산한다.


인프라제도 부분에선 유통인프라의 제도기반 마련에 힘쓰며 세계 최대 수준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과 액화수소 충전소도 확대한다. 또 암모니아, 액화수소 인수기지 건설과 수소용 배관망,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수소사업법개정, 청정수소 인증제 등 제도기반을 마련한다.


산업기술분야에선 기술혁신에 나서며 7대 전략분야를 육성하고, 수소기업 발굴 지원에 힘쓰고 사업에 방해가되는 규제를 개혁하고 수출상품화를 통한 해외시장 선점에 나선다.


정부는 3개 안건을 통해 새정부 수소경제 정책 달성 실행방안을 발표했다. 3개 안건은 △청정수소생태계 조성방안(산업부)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전략(산업부) △수소기술 미래전략(과기정통부)이다.


먼저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에서는 △대규모 수소수요 창출, △수소 유통 인프라 구축, △국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수소시장 제도적 기반 마련 등 4대 전략별로 과제를 추진한다.


2030년까지 수소 수소상용차 3만대 보급,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 보급, ’36년 청정수소 발전 비중 7.1%를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47.1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8만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온실가스 약 2,800만톤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수소산업 전주기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기업 육성, 규제완화를 통해 튼튼한 수소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2030년까지 핵심기술개발, 산업생태계 조성, 수출산업화를 촉진한다.


이를 위해 선진국 대비 75%인 7대전략분야 기술수준을 2030년까지 100%로 끌어올리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을 현재 2개에서 2030년 10개로 상향하고 수소전문기업 개수도 현재 52개에서 2030년 600개사로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수소기술 미래전략을 위해서는 민관이 시너지를 발휘해 국산화가 시급한 기술분야를 우선 개발하도록 수소기술 미래전략을 수립한다. 수소분야 초격차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 선도에 나서며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수소 공급을 위한 저장운송 기술 고도화, △수소 활용 기술 초격차 확보 등 3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9개 과제를 추진한다.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511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