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학연에서 개발 중인 적층제조용 금속 소재 최신기술과 향후 전망을 살펴볼 수 있는 기술 컨퍼런스가 열린다.
적층제조용 금속소재 산학연 기술 컨퍼런스(1st Symposium on Metals & Materials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가 30일부터 31일 양일간 부산 한화리조트 해운대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포항공대 헤테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ERC), 포항공대 LINC3.0사업단, 경상국립대 LINC3.0사업단 나노·신소재화학 ICC의 주최·주관으로 진행된다.
1월 30일 첫날 첫 번째 세션에선 송완흡 포항공대LINC3.0 부단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적층제조 금속의 cell조직 구성모델과 유한요소해석(포항공대 김형섭 교수) △적층제조용 금속소재 국산화 및 연구개발 현황(재료연 김경태 박사) △PBF 적층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Ni 기 초합금들(625, 718, 738)의 제조, 미세조직 및 고온 기계적 (인장, 피로, 크리프) 특성(인하대 이기안 교수) △철강제조 공정기술을 활용한 AM 공정 최적화(포항공대 조중욱 교수) △폼넥스트(Formnext) 2022로 본 적층제조 산업과 응용분야(3D프린팅연구조합 강민철 박사) 등의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두 번째 세션에선 △발전분야 금속 3D프린팅 부품 양산과 향후 전망(두산에너빌리티 조현철 박사) △적층제조용 분말제조/특성평가 및 적층재 내마모 특성 해석(공주대 홍순직 교수) △적증제조 초내열합금의 공정변수에 따른 미세조직-특성 특이 상관관계와 기술 이슈(창원대 홍현욱 교수) △다중소재(multi-material)를 이용한 적층조형기술의 연구동향(한밭대 김정한 교수)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의료 및 발전 부품 제조(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병수 박사) 등이 발표된다.
1월31일에는 △적층제조를 활용한 알루미늄 소재 개발(국민대 최현주 교수) △Al-Si 합금조성 및 분말입도에 따른 반사율 특성(고등기술원 채홍준 박사) △비구형 HDH Ti 분말의 유동 특성 향상 및 적층제조 공정 연구(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빈 박사) △항공우주용 알루미늄 적층제조 현황 및 미래(경상대 김정기 교수) △인공지능을 활용한 적층제조공정 표면 최적화(국민대 성효경 교수) △알루미늄-나노카본의 LPBF공정 적용(순천대 신세은 교수)이 발표된다.
또한 △로봇팔 기반의 고속유연생산을 위한 금속와이어 3D프린팅 기술(에이엠솔루션스 김대중 대표) △김우종 대건테크 리더 초청 강연 △Phase-field simulation of microstructural evolution in additive manufacturing(KIMS 박지원 박사) △반잠수정과 에어택시 분야에서의 금속 3D프린팅 부품 응용사례(엔젤럭스 김도현 대표) △금속 3D프린팅 산업 기술개발 동향(하나AMT의 김홍물 대표) △셀 경계 제어 기반 적층제도용 신합금 설계 전략(한국재료연구원 박정민 박사)이 소개된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일반참가자 신청접수는 웹사이트(naver.me/5mgBvb1U)에서 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포항공대 LINC3.0사업단(054-279-8694, gkpark@postech.ac.kr)으로 연락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