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협력 분위기 조성과 정부의 첨단산업 중심의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확대 등을 추진해, 일본계 반도체, 전자, 자동차, 탄소섬유 등의 기업들이 한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창양 장관 주재로 일본계 외투기업 투자 활성화 간담회를 30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16일 동경에서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관계개선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 이를 토대로 정부는 일본계 외투기업의 국내 투자를 촉진하고 양국의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다이킨첨단머티리얼즈코리아 △도레이첨단소재 △니카코리아 △도쿄일렉트론코리아 △이데미쯔전자재료한국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 △한국알프스 △한국에바라정밀기계 △한국후지필름일렉트로닉머티리얼즈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5대 투자국이며 일본계 외투기업은 기계제조, 금속소재, 전자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한국에 투자하면서 국내 제조업의 성장과 함께해 왔다. 최근 전 세계적인 투자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도 일본은 우리의 중요한 투자 파트너로 부각되고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도레이첨단소재는 지난달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생산시설의 5천만 불 이사의 증설투자 계획을 발표, 향후 탄소섬유 등 증설투자 계획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니카 코리아 등 반도체용 소재·장비 기업들도 국내 생산시설의 증설투자를 검토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일본계 외투기업의 적극적인 국내 투자 확대를 기대하며, 국내 산업생태계 내에서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향후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반도체 소재, 장비 등 첨단산업 분야의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공급망 협력을 함께 강화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인들은 투자확대를 위하여 세제지원과 과감한 규제혁신이 필요하다고 건의하였다.
이에 이 장관은 “반도체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상향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3월 30일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며, “투자 확대와 기업 간 협력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정부에서도 세제지원 확대와 더불어, 첨단산업 분야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규제혁신 등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