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방분야 3D프린팅 적용 확대를 위해 부품 수요 발굴 및 실증,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속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국방부는 2일 ‘국방분야 3D프린팅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부처는 지난 2017년 3D프린팅 분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부품 제조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 분야 등을 다양한 협력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단종되었거나 조달이 어려운 군함, 전차 등의 부품을 대체해 무기체계의 가동률을 높이고 3D프린팅 부품 제조기술력을 확보하는 등 성과를 창출했다.
이번 협약은 ’17년부터 계속되어온 국방분야 3D프린팅의 부처 간 협력을 지속·연장하고, 보다 고도화된 국방부품 제조능력 확보 등을 위해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국방 3D프린팅 관련 △부품 수요 발굴 및 실증 △기술개발 및 제조공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부품 공급망 및 산업 생태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으로 핵심부품의 제작을 위한 기술력 확보 외에도 구축함 엔진·추진기·기관포 부품 등에 3D프린팅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관련 시장 확대 및 산업생태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 윤성혁 첨단산업정책관은 “산업부가 축적해온 R&D, 인프라, 인력 등의 자산과 국방부 및 생기원의 역량이 결집되어 다양한 성과의 창출이 예상된다”며, “이번 협력이 국방력 강화뿐만 아니라 3D프린팅 업계의 산업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는 상생 협력 모델이 될 것”임을 밝혔다.
국방부 이갑수 군수관리관은 “이번 협약은 국방분야에 3D프린팅 기술의 확대 적용과 군의 자체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앞으로도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국방부품의 자체 제작능력 확보를 추진하여 전투장비의 가동률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3D프린팅의 소재·부품·장비·공정 연구개발을 지속해왔으며, 최근에는 3D프린팅 관련 디지털전환, 3D프린팅을 활용한 운항 선박 내 유지보수 부품 자체 제조 MRO 관련 기술도 지원 중으로, 앞으로도 3D프린팅 분야의 발전을 위한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