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내로 이동이 가능해 철로 위 비행기라 불리는 ‘하이퍼튜브 열차’의 핵심기술 연구개발을 위해 2027년까지 127억을 투입한다.
국토교통부(박상우)는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 하이퍼튜브 핵심 기술인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9일 밝혔다.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며, 총 사업비는 127억원(`25년 36.8억원)이다. 주관연구기관 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맡는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튜브 속에서 자기 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워, 열차와 선로 간의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시키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하이퍼튜브는 비행기보다 빠르고, 친환경적이며, 기상 영향을 적게 받는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최고 속도는 1200㎞/h로 비행기 900㎞/h, 고속열차 300㎞/h보다 빠르다. 탄소배출은 비행기 285g/㎞, 고속열차 73g/㎞에 반해 하이퍼튜브는 0g/㎞으로 매우 낮다.
KTX(시속 300km/h)는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1시간 52분(무정차 운행 기준)이 소요되는 것에 반해, 하이퍼튜브는 20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어 지역 간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꿈의 교통 시스템이다.
하이퍼튜브의 초격차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고속 주행시키는 자기부상·추진 기술 △극한의 아진공 환경(0.001~0.01 기압)을 유지하는 주행 통로인 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 △아진공으로부터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차량 설계·제작 기술 등이 요구된다.
이번 연구개발 내용은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에 해당하며,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 개발을 통해 차량의 부상·추진을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세부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TF’를 운영해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한다.
국토교통부 윤진환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로 위 비행기,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 발걸음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사업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하이퍼튜브라는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고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