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탄소산업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경민)은 탄소복합재의 산업적 수요 확대와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반 마련을 위해 건설 분야의 기술 개발 방향 모색에 나섰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은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회장 박종수)와 지난 4월 30일 진행된 ‘2025년도 한국복합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건설 분야 탄소복합재 개발 및 활용 사례’를 주제로 특별세션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세션은 탄소섬유복합재 응용기술의 수요 확대를 목표로 건설 분야에서의 탄소복합재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시장 경쟁력 있는 탄소섬유복합재 건설부품 기술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건설분야에서 탄소섬유복합재는 교량이나 건축물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무게를 절감시키면서 강도를 높이고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로 활용되고 있다. 또 탄소섬유시트나 그리드(grid), 리바(rebar)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세션에서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김장호 교수는 ‘탄소섬유 보강재와 긴장재 연구동향 및 적용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김장호 교수는 “복합재의 경우 기존 철근 구조물의 부식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수명·다기능성 소재로, 건설 분야에서 보강재로서의 이점이 매우 높다”며 “향후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공정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서 전주대 토목환경공학과 정흥진 교수는 ‘FRP튜브보강 부분충전 콘크리트파일의 해석 및 설계’를 주제로 탄소섬유복합재를 적용한 기술개발 사례를 발표했으며, 아이에스동서 김정회 수석 연구원이 △건설분야 복합재 적용현황 및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했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과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는 지난 2021년 부터 탄소소재 및 응용부품 분야 산학연 협의체인 ‘탄소복합재 점프업 파트너십’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우주항공·방산, 건설, 라이프케어, 조선해양 등 6개 분과 약 70여명의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여해 탄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발굴 및 기업 간 협력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권기철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산업정책실장은 “경량성, 강도와 내구성, 내환경성, 유연한 적용성 등 건설 분야에서의 탄소섬유복합재의 활용 가치가 높다”며, “향후 생산, 시공, 유지·보수 등 전 과정에 걸친 비용 효용성을 고려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시장 접근법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