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신입사원 10명 중 3명은 입사한지 1년안에 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직원수 300명 미만의 중소기업 501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퇴사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기업의 58.5%가 ‘입사 후 1년 안에 퇴사한 신입사원이 있다’고 답했다.
퇴사한 이들 신입 직원의 비율은 평균 31.2%로 나타났다. 퇴사 시기는 ‘입사 후 1~3개월’만에 퇴사했다는 응답이 38.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입사 후 3~5개월 미만(27.3%) △입사 후 5~9개월 미만(14.7%) △입사 후 1개월 미만(10.9%) 등의 순이었다. 즉 2명 중 1명 정도의 신입사원들이 입사한지 3개월 안에 회사를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사원 퇴사가 가장 많았던 직무분야로는 ‘영업·영업관리’ 직무분야가 25.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생산·기술’분야(19.5%), 판매·서비스(12.6%), 연구·개발직(10.6%), 기획·전략직(8.2%), IT·정보통신직(6.5%), 회계·총무·인사직(5.1%), 마케팅·홍보직(4.4%), 디자인직(3.8%)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직원들이 퇴사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인내심과 참을성이 부족해서’라는 답변이 응답률 27.6%로 가장 높았고, 이어 ‘조직에 적응하지 못해서’라는 응답도 20.1%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어 △연봉수준이 낮아서(17.7%)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11.3%) △복리후생이 뒤떨어지기 때문(7.2%) △상사·동료와의 인간관계에 문제가 생겨서(5.1%) 라는 응답이 있었다.
기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의 퇴사율을 낮추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묻는 설문에 대해, 신입사원에게 ‘앞으로 맡게 될 직무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게 필요하다’는 응답이 28.0%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다양한 복리후생제도 도입(17.7%) △신입사원의 경력관리를 위한 정보제공(16.0%) △직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14.0%) △멘토링 적극 활용(13.7%) △회사에 대한 좋은 이미지 주입(9.2%)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