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5-08-07 10:33:20
  • 수정 2025-08-07 10:47:12
기사수정


▲ 2025년 상반기 품목별 중소기업 수출 현황(단위 : 백만달러, %)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액이 주요 수출품목인 화장품과 자동차의 수출 호조로 인해 7분기 연속 상승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가 지난 4일 발표한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567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 증가했다. 이로써 중소기업 수출은 ’23년 4분기에 증가세로 전환된 이후 ’25년 2분기까지 7분기 연속 수출플러스를 기록했다. 또한 수출 중소기업수 역시 7만8,655개사로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하며 역대 상반기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상반기 수출 호조는 중소기업 주요 수출 품목인 화장품, 자동차 등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진데 따른 것이다.


화장품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9.7% 증가한 39.4억달러를 기록하며 ’24년에 기록한 상반기 최고 수출액(32.9억달러)을 경신했다. 이는 K-뷰티 인지도 확대로 미국, 중국과 같은 기존 주력시장 외에도 아랍에미리트, 폴란드 등 신흥시장 수요도 함께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수출(39.2억달러, +73.7%)은 중동 지역 등에서 높은 인지도, 가격경쟁력 등으로 중고차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도 중고차 수출 허브로서 관광렌터카 수요가 증가하는 등 중고차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타기계류 수출(10.7억달러, △31.2%)은 전기차 일시적 수요정체로 인한 관련 장비 수요 감소의 영향을 받았다. 합성수지 수출(15억달러, △8.2%)은 글로벌 공급과잉에 및 유가 하락과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주요 수출국 중심으로 4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14.9억달러, △1.9%)은 중소기업 주력 수출 품목인 시스템반도체(비중 47.4%) 수출이 베트남·홍콩 등 주요국 중심으로 감소하면서 ’25년 1분기부터 2분기 연속 감소세 지속되고 있다.


수출국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 수출 1위 국가인 미국(93.3억달러, +1.1%)은 화장품(+61.5%), 전력용기기(+59.3%) 등 기존 주력 수출품목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역대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기록하였다. 다만, 이번 대미 수출 호조세는 상호관세 등 관세율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미국 내로 재고를 사전 확보하려는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관세부과 대상 품목의 경우 품목별로 수출액 변화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철강은 감소(△16.3%), 알루미늄은 소폭 감소(△3.4%), 자동차부품은 증가(+10.3%)했다.


대만(15.8억달러, +23.3%)은 전세계(글로벌) 반도체 업황 호조에 힘입어 반도체제조용장비(+82.5%), 반도체(+25.5%), 정밀화학원료(+173.7%)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對대만 중소기업 상위 10대 품목 모두 증가했다.


베트남(52.3억달러, △5.0%)은 반도체(△3.6%), 플라스틱제품(△11.2%), 합성수지(△7.5%) 등 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9개 품목이 감소하면서 2분기 연속으로 감소세가 유지됐다.


상반기 온라인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한 5.3억달러로, 최초로 5억달러를 돌파했다. 화장품(2.9억달러, +13.7%)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온라인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이 77.1%로 중소기업이 온라인 수출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화장품이 전체 중소기업 수출 증가를 견인하고 있는 상황으로, 패션, 식품(푸드) 등 K-소프트웨어에 기반한 다른 유망품목도 발굴해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며, “온라인 수출의 경우, 규모가 증가하고 있고 비용 대비 효과도 좋아 수출초보기업이 활용하기 좋은 만큼, 수출초보기업이 수출을 준비할 때 온라인 수출부터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6332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나노코리아 2025(260 픽셀)
프로토텍 2025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린데PLC
EOS 2025
IM3D 2025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