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기존 임플란트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독창적인 표면처리 구조를 가진 ‘골 결합 촉진물질의 이온주입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 이를 양산할 수 있는 장치와 생산기술을 확보했다.
재료연구소 융합공정연구본부 정용수 박사팀이 개발한 생체용 골 유도성 금속 임플란트는 생체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생활성 물질을 이온화시켜 표면에 주입, 열화 및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생화학 결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존 임플란트에 비해 골 결합력이 우수하고 치유 기간도 빠르다.
골 결합 촉진물질의 이온주입 기술은 지난 2001년부터 5년 동안 교과부 및 지경부의 지원을 받아 실시한 정 박사팀의 기초연구를 통해 개발됐으며 이후 (주)디오(대표 조영환)와 함께 치과용 임플란트에 적용하는 실용화 연구를 진행하여, 2008년 파일럿 규모의 장치 및 생산기술 확립에 성공했으며 올해 세계 최초로 생활성 치과용 임플란트 양산화 기술과 시설을 구축, 상용화 하는 성과를 냈다.
이에 따라 재료연구소는 17일 (주)디오에서 조경목 소장과 조영환 (주)디오 대표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술이전 조인식을 가졌다.
재료연구소 관계자는 ‘이 기술이 치과 뿐 아니라 정형외과, 악안면 외과수술, 수의학 외과 수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 말했다.
한편, 치과 연관 재료 시장은 세계 의료기기 시장(1630억 달러, 2006년 기준)에서 전체 11%를 차지하고 있다.
재료연구소는 오는 2025년까지 매출액에 따라 일정 기술료를 받을 예정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