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성장 동력 사업 중 성과가 가시화되는 10개 전략 프로젝트를 선정, 중점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1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신성장동력 강화 전략 보고대회(제83차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신성장 동력 성과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보고 대회에 나온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살펴보면, 우선 정부는 신성장동력 분야 10개 전략 프로젝트를 오는 9월까지 확정하고 각 부처의 역량을 집중해 패키지 형태로 지원키로 했다.
지경부는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10개 전략 프로젝트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반도체 △IT 융합병원 △천연물 신약 등 바이오 △소프트웨어 등 문화콘텐츠 △전기자동차 및 기반 인프라 △해상풍력 △박막태양전지 △건물에너지 효율화 시스템 △수처리기술 및 시스템을 예로 들었다. 정부는 이번 10개 과제 선정에서 제외된 탄소저감에너지, LED 응용, 로봇 응용, 신소재·나노융합, 고부가식품,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금융, MICE·관광 등 나머지 신성장동력 과제에 대해서도 차등은 두되 예산 지원을 끊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신성장동력 분야에 대출과 보증 등 총 6조5,0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신성장동력 분야 인력 확보을 위해 5년제 학·석사 과정 도입도 추진한다.
사립대학의 학과 개편이나 국립대 특성화 및 통폐합 과정 때 신성장 동력 중심으로 구조개편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이 자리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신성장동력 분야는 대한민국이 앞으로 먹고 살 길이고 가야할 길”이라며 원천기술을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신성장 동력 분야에 올해 대기업들이 100조원 투자 계획을 밝히는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세계 시장을 확실히 선점할 필요가 있다”면서 “신성장동력의 보완과 강화를 통해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열어가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