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6-08 21:37:57
기사수정

▲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ENVEX2011)’이 코엑스에서 8일 개막됐다..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ENVEX2011)’이 코엑스에서 8일 개막됐다.

국내외 친환경 녹색기술과 에너지 기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ENVEX2011)’이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국제환경기술전은 환경의 날을 기념해 1979년부터 매년 6월에 개최되고 있다.

올해 제33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국내 203개 업체와 미국·독일·일본 등 외국기업 102개 등 총 25개국 305개 업체가 참가했다.

행사에는 순환골재 생산기술, 에너지 절감형 하수처리기술, 주유소 유증기 회수장치, 솔라 파라솔 및 태양열 조리기, 아토피 예방 샤워기 등 녹색성장을 견인해 나갈 2,000여종의 환경 및 그린에너지 신기술·신제품이 전시됐다.

환경보전협괴가 주관하고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공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40개국에서 1,000여명의 해외 바이어 참가해 수출 계약 2,000억원 달성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의 가장 큰 특징은 해외 진출이 가능한 중국, 베트남 등지의 해외 바이어를 초청하여 국내 업체의 해외 마케팅 및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있는 것.

환경부 관계자는 “올해에 45개 국가의 해외 바이어 240명을 초청했으며, 이 외에도 직·간접적으로 1,000여명 이상의 외국 고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전시기간 중인 9일에는 외국 바이어와 국내 기업의 만남의 장인 ‘해외바이어 네크워킹 행사’를 진행함으로써, 본 전시회를 통해 약 2,000억원의 규모의 수출 계약 체결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전시장을 찾은 고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부대행사가 마련됐다.

더불어 환경보전협회 자문변호사(법무법인 로월드)가 직접 전시장에 상주하면서 참여기업에 환경법률 자문을 하고 해외 바이어 네트워킹 행사와 저탄소 녹색성장 취업박람회, 환경·에너지 관련 세미나 등도 열렸다.

직접 전시장을 찾지 못하는 고객들은 ‘사이버 환경박람회 웹사이트(www.ECOEXPO.or.kr)’에 접속해 온라인 상담이나 사이버 전시부스 관람도 가능해 어느 때보다 ‘열린 전시회’를 선보였다는 평가다.

이에 (주)세화하이테크,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 (주)코리아테크,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공사 등 환경산업기술 분야,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업들이 출품했으며 참관객이 방문해 이들 기업들의 기술과 제품에 관심을 보였다.

▲ ▲협회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친환경 LPG 경차인 기아 모닝 LPG 바이퓨얼 차량을 살펴보고 있다. . ▲협회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친환경 LPG 경차인 기아 모닝 LPG 바이퓨얼 차량을 살펴보고 있다.

■대한LPG협회

대한LPG협회는 환경 LPG자동차 기술개발 및 저공해자동차 제도 개선 등을 소개했다.

협회는 행사에서 LPG 휘발유 겸용 차량인 친환경 LPG경차, ‘기아 모닝 LPG 바이퓨얼’ 차량을 선보였다.

LPG 바이퓨얼 엔진은 주연료인 LPG와 휘발유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엔진에 두 가지 인젝터를 장착한 엔진으로 차량 시동시 휘발유를 이용하며 2초 후 LPG로 연료가 전환된다.

LPG협회 김수현 차장은 “모닝 바이퓨얼에 적용된 LPI엔진은 액상 상태의 연료를 인젝터를 통해 각각의 실린더로 직접분사하는 신기술로 엔진 성능과 연비를 높이고 배출가스는 줄였다”고 말했다.

▲ ▲세화하이테크가 최근 자체개발한 태양광 인버터 ‘MICRO-S 185’.. ▲세화하이테크가 최근 자체개발한 태양광 인버터 ‘MICRO-S 185’.

■세화하이테크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전문기업인 세화하이테크는 1995년 창업했다.

일본 가스유량제어기를 수입하고, AS 센타 운영에 주력하고 있다.

15년간 축적된 가스콘트롤 관련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자식 자동 가스혼합시스템을 자체 제작해 포스코, 산업안전보건공단, 에너지관리공단 등에 납품하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인버터를 자체 제작해 판매를 촉진하고 있다.

세화하이테크는 이번 전시회에서 자동가스 혼합장치, MFC, MFM, 유량계, 태양광 인버터를 주력상품으로 선보였다.

세화하이테크의 기술연구소 박성훈 과장은 태양광 인버터에 대해 “기존에는 15대의 솔라패널이 있어야 했지만 자사의 MICRO-S 185는 한 대만으로도 충분히 구동이 가능해졌다”며 “가격도 기존 제품 대비 10배 가량 낮췄다”고 설명했다.

▲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의 부스 앞에서 도우미가 반도체용 초순수 시스템 및 폐수재활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의 부스 앞에서 도우미가 반도체용 초순수 시스템 및 폐수재활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

한수테크니칼은 1988년 창립된 이래, 일반 정수시스템에서부터 최첨단 반도체용 초순수 시스템 및 폐수재활용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수처리약품 서비스는 물론, 산업전 분야에 필요한 수처리 설비의 설계, 제작, 시공 및 시운전 서비스와 용역 서비 등을 제공하고 있다.

20여년간의 노하루로 수처리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연매출 470억 정도를 기록하고 있다.

물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치를 발굴해 인류의 미래에 이바지하고 있는 수처리 전문기업 한수테크니칼서비스는 이번 전시회에 초순수 및 폐수재활용설비를 선보였다.

창의사업부 양진호 과장은 “전자산업 등 다량의 폐수가 발생하는 경우 재이용의 필요성이 대두된다”며 “원수의 취수사정 악화에 대응해 안정적인 처리수를 억을 수 있고 이는 전자산업, 도금, 화학, 제지, 석유정제, 식품폐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멸했다.

▲ ▲제33회 국제환경산업기술 그린에너지전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참가해 부스를 방문한 고객에게 공사의 친환경 매립 및 폐기물자원화 사업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 ▲제33회 국제환경산업기술 그린에너지전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참가해 부스를 방문한 고객에게 공사의 친환경 매립 및 폐기물자원화 사업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공사

수도권매립지공사는 생활 건설 사업장 일반폐기물을 위생매립하고 있다.

녹색성장에 있어 폐기물은 훌륭한 자원이 된다.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를 활용해 세계 최대규모인 50MW 매립가스 발전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451억원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고, 70만톤의 탄소배출권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사 대회협력실 정수인 씨는 “폐자원에너지타운, 자연력에너지타운, 바이오에너지타운, 환경문화단지로 구성된 ‘수도권 환경 에너지 종합타운’이 2017년 완공되면, 연 261만 기가 칼로리의 에너지가 생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132만 배럴의 원유대체 효과와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이산화탄소가 연 121만톤 저감되는 효과도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공사는 사용이 종료된 매립지는 시민들을 위한 환경테마공원 ‘드림파크’로 조성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784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