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graphen)’에 대한 연구개발이 2009년 이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이 최근 밝힌 그래핀 관련 특허출원 동향 조사에 따르면 그래핀을 최초로 분리에 성공한 2004년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2009년에 급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허출원은 2005년 및 2006년에 각각 3건 및 6건의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2007년 및 2008년에 각각 23건 및 44건의 특허출원으로 서서히 증가했다. 2009년 이후에는 203건의 특허출원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
분야별로는 재료·제조(95건), 나노구조체(25건), 전자소자(51건), 전극(38건), 태양전지(18건), 디스플레이(10건) 및 조성물(23건)의 순서로 연구개발 활동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그래핀은 지난 2004년 흑연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이고 떼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최초로 세상에 태어났다. 안드레 가임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는 최초로 그래핀을 분리한 연구공로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후 그래핀을 초고속 반도체, 투명전극, 나노구조체, 태양전지 등 첨단기술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