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까지 전국 38개 광역시·도 및 공공기관에 전기자동차(EV) 충전시설이 구축돼 전기차 상용화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한국환경공단(이사장 박승환)은 정부의 전기차 보급정책에 따라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과 국내 개발 충전기에 대한 표준화와 성능평가를 함께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서울시, 제주특별자치도 등 38개 지자체,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과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연말까지 급속 및 완속 충전기 204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공단은 충전인프라 설치장소에 대한 현장조사 및 설계, 설치공사에서부터 충전기 구매와 설치, 감리 등의 제반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공단 관계자는 “지난 4월 발표된 환경부의 충전인프라 설치 지침을 바탕으로, 지자체, 국가기관, 공공기관 등에 효율적이고 통일된 충전시설을 설치, 전기자동차 보급 및 운행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정부의 녹색성장정책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까지 마무리 짓게 돼 있는 공공부문 충전인프라구축 사업은 오는 2013년으로 계획된 전기차 민간보급을 위한 사전작업으로 이를 통해 국내 개발된 완속·급속충전기에 대한 표준화, 성능평가도 함께 진행하게 된다고 공단은 설명했다.
환경공단 정현택 자동차환경인증센터장은 “전기자동차 보급이 일반화되면 충전요금, 이용정보제공 등 충전서비스사업자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해 녹색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전기자동차 개발 및 보급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100만대의 전기자동차를 보급할 계획으로 우선 2012년까지 전기자동차 초기 수요창출을 위해 공공부문에 우선적으로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공단은 지난해 전기자동차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수도권지역 9곳(공공기관, 주유소, 마트)에 16기의 충전시설을 구축한 바 있다.
신소재경제
김성준 기자 sj@ame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