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산업을 수출산업으로 만들기 위해 2016년까지 12개 스타기업이 육성된다.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등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엔지니어링 산업진흥 기본계획’을 11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현재 0.8%인 세계시장 점유율을 2016년까지 3%대로 끌어 올리고, 6개 글로벌 스타기업을 2016년까지 12개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범부처 합동으로 마련됐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핵심영역 기술경쟁력 제고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체계 강화 △해외진출 지원체계 고도화 △법제도 및 인프라 정비 등 4대 전략과제와 11개의 추진과제를 내놨다.
정부는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한국형 스마트 원자로와 같은 전략기술 5대 분야를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종합적 M&A 지원체계를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인력 수급실태 조사·분석을 실시하고 엔지니어링 대학원을 특성화한다.
해외시장에서의 수주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수주를 위한 타당성조사(F/S) 및 해외수주 교섭 지원사업에 대한 자금(165억5,000만원)을 2016년까지 20%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국내 엔지니어링 관련 계약 및 발주제도를 선진화하고, 기술·시장·업체·인력 정보 등 관련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종합정보망’을 구축해 오는 3월에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또한 고가장비에 대한 공동활용시스템 구축과 엔지니어링 복합단지 조성을 통해 기업간 협업 기반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