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형광등 기구, 조명기구용 컨버터 등 불량률이 높은 제품에 대한 조사를 강화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허경)은 올해 불량률이 높은 제품, 소비자 신고제품, 노약자·어린이 용품 등 3,200개 이상 공산품 및 전기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이에 기표원은 최근 6년간 불량률이 지속적으로 높은 형광등기구, 조명기구용 컨버터, 형광등용 안정기, 보행기, 전기매트, 전기담요, 보행기 등 10개 품목을 ‘집중관리대상품목’으로 지정해 년 2회 이상 안전성 조사와 관련업계에 대한 교육 등을 통해 동 품목의 만성적인 불량률을 낮출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 불량률이 크게 증가한 이동형콘센트, 전기찜질기, 자전거 등과 최근 안전 기준이 제·개정된 전기용접기, 전기온수매트, 면봉 등 품목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지난해말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경찰청, 한국제품안전협회·소비자단체 등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불법제품 근절을 위해 발족한 민·관 합동 단속반을 통한 불법제품의 단속도 강화한다.
이외에도 대형유통매장·소비자 단체 등과 제품안전 공동 이행협약을 추진하고 안전성 조사 결과를 공유하는 등 안전한 제품이 유통되는 환경도 조성할 예정이다.
기표원은 이번 안전성 조사계획에 따라 시판품 조사를 강화하고, 인체위해·화재 등 위해 가능성이 큰 불량제품에 대하여 신속한 리콜조치와 상세정보를 제품안전포털사이트(www.safetykorea.kr)에 지속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기표원 관계자는 “불법 및 유해 가능 제품을 발견한 소비자는 언제든지 제품안전포털사이트에 신고할 수 있다”며 “신고내용을 이를 수시로 반영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작년 한해동한 실시한 안전성 조사에서 온도상승으로 인한 화재위험이 있는 전기장판, 가소제가 검출된 어린이용 승용완구 등 98개 품목에 대하여 리콜조치가 내려진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