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레일, 철도·해운 결합 국제복합운송 시범사업 성료
유혜리 기자
2025-01-03
-
롯데케미칼 이영준 사장, “사업구조 전환 및 미래성장 투자 강화”
신근순 기자
2025-01-03
-
대한송유관공사, 박창길 신임 대표 선임
신근순 기자
2025-01-03
-
배출권거래제, 배출허용총량 강화·유상할당 확대
김민석 기자
2025-01-03
-
삼천리그룹 70주년 기념 엠블럼 공개
김민석 기자
2025-01-03
-
산업교육硏, NCM·LFP 배터리 소재 및 장·단점 분석 세미나 개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NCM(니켈·코발트·망간)과 LFP(리튬·철·인산염) 배터리의 주도권 다툼이 본격화되고 국내 기업들이 LFP 배터리 개발과 양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가운데 관련 소재 기술개발 방향과 장·단점을 분석하는 자리가 마련된다.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1월9일에 ‘리튬이온배터리 주도권- NCM vs LFP 배터리 소재 기술의 대결 기준 장·단점 분석 세미나’를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날 세미나 주제는 △NCM(A), NCA 등 삼원계 양극재 소재 기술개발과 생산공정/주요 이슈 및 장·단점 분석 △LFP(리튬인산철) 양극재의 제조공정 기술개발과 주요 이슈 및 장ㆍ단점 분석과 전망 △리튬이온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에 대한 NCM vs LFP 비교 분석 및 세부 단계 이해와 열폭주 현상 조기 감지의 문제점과 해결책 제시 등이다.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하여 각 배터리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기업들이 자사에 적합한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
편집국
2025-01-03
-
가스기술公, 고용노동부 장관표창 수상
김민석 기자
2025-01-03
-
산업부, 연구자 애로해소 중점 R&D 제도 개선
김민석 기자
2025-01-03
-
KERI, 기술사업화 전략 강화 및 조직·제도 정비
김민석 기자
2025-01-03
-
범한퓨얼셀, 인천공항 대용량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수소연료전지 제조 및 수소충전소 구축 전문기업 범한퓨얼셀(대표 황정태)이 수소상용차 보급확대에 발맞춰 대용량 액화수소충전소를 인천공항에 구축한다. 범한퓨얼셀은 한국가스기술공사와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약 84억원(VAT 별도)으로, 최근 매출액 대비 27.6% 규모이며, 계약기간은 2026년 1월31일까지다.이번 계약은 ‘인천공항 수소교통 복합기지’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범한퓨얼셀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주차장 내에 대용량 액화수소충전소를 구축한다.액화수소는 수소경제의 ‘게임체인저’로 불릴 만큼 수소의 저장, 운송, 충전 및 안전성에 장점이 있다. 이에 정부는 수소버스 및 수소트럭 등 수소사용량이 많은 수소상용차에 수소를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액화수소충전소 보급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산업부는 지난 11월 20일 개최된 ‘2024 에너지전략포럼’에서 수소버스를 매년 2,000대씩 보급해 2030년까지 2만 1,000대까지 늘릴 계획이며 이를 위해 액화수소충전소 확대, 안전기준 마련 등을 통해 액화수소 생태계를 촘촘히 조성하겠다고 밝힌바 있다.액화수소충전소 구축은 핵심부품인 액화수소펌프의 높은 기술장벽과 공정 설계의 복잡성으로 인해 시장 진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범한퓨얼셀은 성능과 내구성이 검증된 고성능 액화수소펌프를 일본 스미토모상사로부터 도입하고, 독자적으로 충전소 공정을 설계하여 최적화된 액화수소충전소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범한퓨얼셀 관계자는 “작년부터 액화수소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해외 파트너사를 발굴하고, 설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설명하며,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시장에 물꼬를 튼 만큼 추가 수주를 위한 영업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범한퓨얼셀은 지금까지 수소충전소 31개소를 수주하여 25개소의 구축을 완료하고 6개소를 구축 중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수소버스용, 수소화물차용 및 수소트램용 대용량 수소충전소를 구축한 이력이 있다. 최근에는 중국 우한퓨처에너지 및 말레이시아 MSCA와의 MOU 체결을 통해 해외 파트너사를 확대하는 등 해외 수소충전소 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신근순 기자
2025-01-03
-
에기평,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기획과제 공시
김민석 기자
2025-01-03
-
3D프린팅연구조합, ‘폼넥스트 2024 보고대회’ 개최
신근순 기자
2025-01-03
-
한수정, 수목원·정원 플랫폼 선도기관 도약
김민석 기자
2025-01-03
-
중기중앙회, 中企 격려·재도약 다짐
김민석 기자
2025-01-03
-
KR, 전략기획 본부장 등 7명 부사장 승진
신근순 기자
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