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TI시험연, 소부장 기술혁신 지원 도모
유혜리 기자
2025-04-11
-
동성케미컬,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 기부
신근순 기자
2025-04-11
-
철원플라즈마硏-강원대, 지역산업 인재양성·연구 맞손
신근순 기자
2025-04-11
-
무협, 美 상무부에 韓 구리제품 관세면제 요청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 윤진식)가 미국 구리 공급망 안정에 한국 기업들이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관세면제를 요청했다. 무역협회는 수입 구리에 대한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국가안보 위협 조사에 대응해 우리 무역업계 의견을 담은 공식 의견서(Public Comment)를 지난 1일 미 상무부에 제출했다고 8일 밝혔다. 미국은 지난 3월10일 수입 구리 및 파생제품에 대해 1962년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국가안보 위협 조사를 공식 개시하고, 4월1일까지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한 바 있다.무역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한국산 구리제품이 국가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없어 232조 조치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뜻을 전했다. 미국의 구리 수입에서 한국산 비중은 3.5%(’24년 기준)에 불과하며, 미국의 구리 수입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한국 기업이 미국에 투자해 오히려 생산능력 증대 및 자립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의견서는 실제 대미 투자 사례로 LS전선과 풍산을 제시했다. 구리를 사용해 전력 케이블을 생산하는 LS전선은 버지니아주에 약 8억달러를 투자해 이달부터 해저 전력 케이블 생산공장 착공에 나선다. 구리로 산업용 제품을 생산하는 풍산 역시 아이오와주에 약 5억달러를 투자해 1992년부터 매년 약 5.4만톤의 구리 압연재를 생산하고 있다.또한, 무역협회는 파생제품까지 관세가 부과되면 인공지능(AI) 등 미국의 첨단산업 육성에 필수적인 전력 인프라 확충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전달했다. 동선·동판·동박·압출제품 등 파생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배터리·IT부품·변압기·건설자재 등 수요산업에 부담을 전가할 수 있으며, 케이블과 전선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전력망 확충에 차질이 예상된다.이어 한국산 구리제품의 관세 제외가 어렵다면 수요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파생제품 대상 범위를 축소하거나, 기업이 공급망을 조정할 최소한의 시간을 위해 관세조치의 단계적 적용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무역협회 조성대 통상연구실장은 “이미 철강·알루미늄 및 자동차·자동차부품을 대상으로 관세가 부과되었고, 구리 외에도 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한 조사도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논의 중인 품목별 관세와 수입규제 등 향후 이루어질 다양한 통상조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업종별 단체, 주요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는 동시에 우리 정부의 원활한 협상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제공에 주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근순 기자
2025-04-10
-
산업부, 소부장 기반구축사업 600억 지원
김민석 기자
2025-04-09
-
한솔제지, '미세플라스틱 없는 CCK' 교과서 적용
김민석 기자
2025-04-09
-
롯데케미칼 이영준 대표, 해외 사업장 현장 점검
김민석 기자
2025-04-08
-
재료硏 연구소기업 ‘트윈위즈’, 초격차 스타트업1000+ 선정
유혜리 기자
2025-04-08
-
지질자원연-포스코홀딩스, 핵심광물 기술 공동개발
유혜리 기자
2025-04-07
-
재료硏, 체액+종이센서로 관절염 10분 내 진단
유혜리 기자
2025-04-07
-
재료硏, 소재 국가기술전략센터 현판식
유혜리 기자
2025-04-04
-
바스프, 재활용 폴리아마이드 6 '루파미드' 생산 가동
김민석 기자
2025-04-03
-
세기원, 초미량 가스농도 감지센서 소재 개발
김민석 기자
2025-04-02
-
KIGAM, 에티오피아 광물자원 개발 역량 강화
김민석 기자
2025-04-02
-
산업부, 소재데이터 축적·활용 지원
김민석 기자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