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엔티솔루션, 친환경 탄소계 양자점 양산기술 개발 성공
신근순 기자
2025-02-27
-
LG화학-HL만도, 車 전장부품 접착제 개발 협력
김민석 기자
2025-02-25
-
재료硏-한화에어로, 항공엔진 소재기술 협력 추진
김민석 기자
2025-02-25
-
산업부, 반도체·DP 등 국가전략 표준물질 개발 33억 지원
정부가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국가첨단전략산업의 핵심 소재·장비의 성능과 품질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표준물질 개발을 추진한다.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가전략기준물질개발사업’의 신규과제를 2월25일 공고하고 3월26일 18시까지 신청서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표준물질은 개발한 소재의 성분 등을 확인하거나 장비의 교정 등에 사용되는 기준물질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국가전략기준물질개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사업 첫해인 올해는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분야 10개 신규과제에 33억원을 지원한다. 이번 신규과제는 국가첨단전략산업별 국내 수요와 시급성을 우선 고려해 선정됐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반도체용 고순도 탄화규소 SiC 국가전략기준물질 △반도체 DRAM Metal Gate용 high-k 박막 증착을 위한 전구체 국가전략기준물질 △통신 반도체 측정 신뢰성 향상을 위한 밀리미터파 대역 On Wafer 측정용 임피던스 국가전략기준물질 등 개발이 추진된다.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투명전극용 ITO 박막의 두께 국가전략기준물질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IGZO 박막의 두께 및 화학조성 국가전략기준물질이,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고출력, 고안정성 알루미늄계 이차전지 양극재(NCA, NCMA) 국가전략기준물질 △리튬이차전지 분석용 Si계 음극재 국가전략기준물질 △자동차 이차전지용 리튬인산철(LFP) 국가전략기준물질 등 개발이 추진된다.첨단바이오 분야에서는 △인수공통감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전자 국가전략기준물질 △의료영상기기용 영상팬텀 국가전략기준물질 등 개발이 추진된다.국표원은 향후 개발될 표준물질은 우리나라 첨단전략산업분야 핵심 소재·장비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국산화를 통한 기술 자립 및 수입 대체 효과 등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25-02-25
-
[인사]도레이첨단소재
2025년도 정기 임원인사 (2025년 3월 1일자)□ 승진 (5명)△이상용 수지케미칼사업본부장△강기원 TIS 대표이사△이두원 필터생산담당△이주열 경영지원본부장△김상엽 섬유영업부문장□ 전배 (9명)△고형석 TBSK 대표이사 사장△홍성희 구미사업장장 전무△김동명 품질보증본부장 상무△이상보 엔지니어링본부장 상무△노명남 TAHEC 부사장△남현국 필름사업본부장 상무△전종만 섬유생산담당 상무△서성구 PP사업부문장 상무 겸)TACQ 총경리△김현철 TFN 총경리
편집국
2025-02-24
-
효성티앤씨, T2T칩 활용 리사이클 섬유 생산
김민석 기자
2025-02-24
-
조달청, 비철금속 비축량 55일분으로 확대
엄태준 기자
2025-02-24
-
세기원, 창업 활성화 위한 재창업자 지원 선도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중소벤처기업의 재도약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사업화 지원 및 판로개척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한국세라믹기술원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창업진흥원이 지원하는 ‘2025년 재도전 성공패키지 사업의 동남권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돼 일반형(예비) 재창업자를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재도전 성공패키지는 우수한 사업아이템을 가지고 시작했으나, 성공적인 사업 유지가 불가했던 (예비)재창업자를 발굴하고, 패키지형 재창업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폐업 이력 보유 예비재창업자 또는 7년 이내 재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며, 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에서 3월6일(목)까지 접수한다. 지원내용은 사업화 자금(평균 0.7억원, 최대 1억원) 지원과 실패원인분석, 재창업교육 및 멘토링 등 사업화 지원과 민·관 협업을 통한 투자 연계, 판로개척 등 성장 촉진 지원을 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전국적으로 6개의 주관기관에서 총 201명 내외의 (예비)재창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사업신청과 관련한 사업설명회는 1차 2월25일(화) 오후 2시 한국세라믹기술원 경남 진주 본원 대강당, 2차 2월27일(목) 오후 2시 창원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2회 진행되며, 자세한 사항은 세라믹기술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경훈 산업지원본부장은 “재도전 성공패키지와 한국세라믹기술원 창업지원 인프라를 통해 (예비)재창업자가 성공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동남권 및 전국의 창업지원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인 협업과 더불어 자금 투자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등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세라믹기술원은 세라믹 연구개발, 시험분석 평가, 기술지원 및 세라믹 산업정책지원 등 세라믹 관련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세라믹을 대표하는 종합기관이자,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해 온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문연구기관이다. 특히, 세라믹산업 발전을 위해 세라믹 창업보육센터를 2001년을 시작으로 전국에 3곳(진주, 이천, 부천)의 산업특화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또한, 기술원은 이번에 선정된 재도약 성공패키지를 비롯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의 성장단계별(예비, 창업도약) 창업패키지사업 등 다양한 창업지원 사업을 수행하며 유망한 창업기업들을 배출해 오고 있다.
신근순 기자
2025-02-21
-
글로벌 소재부품 전문 기업 미코, 세라믹·카본 기술 고도화 박차
유혜리 기자
2025-02-21
-
휴비스-피앤엘, 프리미엄 원단 소파 ‘니즈’ 출시
김민석 기자
2025-02-21
-
바커케미칼, 자율주행 센서용 실리콘 방열재 공개
김민석 기자
2025-02-21
-
정부, 핵심광물 연 500억 규모 공급망안정화기금 투자
김민석 기자
2025-02-21
-
머크, 韓 필수소재 R&D·생산 허브로 강화
김민석 기자
2025-02-21
-
재료硏 연구소기업 ㈜트윈위즈, 씨엔티테크 투자유치 성공
김민석 기자
2025-02-19
-
세라믹연합회, 소재 공급망 사업화 기술개발 추진
김민석 기자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