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미뤄진 SIMTOS 2020, 결국 취소
신근순 기자
2020-07-22
-
KIMEX 2020, 디지털 뉴딜 제시
엄태준 기자
2020-07-21
-
LG전자·포스코·생기원,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쟁력 지원 맞손
신근순 기자
2020-07-16
-
기계연, 발전용 수소 가스터빈 개발 산학연 맞손
배종인 기자
2020-07-15
-
현대·기아차 1~5월 전기차 판매 10위권 진입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세계 전기차 시장이 침체된 가운데에서도 현대·기아차는 판매량 10위권내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5월에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EV, PHEV) 판매량 순위에서 현대차와 기아차가 각각 6위와 7위를 기록해 모두 10위권내에 들어서며 선전했다. 1~5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판매량은 약 71만대로 전년동기대비 20.3% 감소했다. 테슬라가 모델3 판매 증가로 부동의 1위(12만5,800대)를 고수한 가운데, 폭스바겐이 파사트 GTE와 e-Up! 신버전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이면서 순위가 전년 동기 18위에서 4위로 뛰어올랐다. 르노와 아우디, 볼보도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나타내면서 순위와 점유율이 올랐다. 반면에 전년동기 1위였던 BYD는 자국 시장 침체로 3위로 밀려났으며, 닛산도 리프 판매가 부진하면서 전년 동기 4위에서 10위로 크게 떨어졌다. 이에 비해 현대차는 유럽 시장 판매 감소로 전체 판매량이 2만6,500대로 소폭 줄었지만 감소율이 시장 평균보다 크게 낮아 순위가 세 계단 올랐고 점유율도 늘어났다. 기아차는 시드 PHEV와 봉고 1T EV, 엑시드 PHEV 판매 호조에 힘입어 2만4,600대의 판매량을 기록, 전년 동기 14위에서 7위로 급등했다. 5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약 14만대로 전년동월대비 28.7% 감소했다. 미국과 유럽, 중국 시장 모두 신종 코로나 여파에 따른 침체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폭스바겐(VW) 그룹과 관련한 브랜드를 제외한 모든 업체들이 역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대·기아차는 감소율이 시장 평균을 밑돌아 점유율이 모두 3%대로 올라섰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가 재유행 조짐까지 보이면서 글로벌 전기차 시장 침체 영향이 한국계 양사에도 미치고 있지만 양사가 나름대로 선방하고 있다”며 “향후 시장 추이에 맞추어 기초 경쟁력 배양에 힘쓰고 적절한 성장 전략을 구사해 나가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20-07-15
-
4월 공작기계 수주 1,186억…전년比 43.2% ↓
배종인 기자
2020-07-10
-
기계연, 로봇모션제어기술 중기 사업화 성공 이끌었다
배종인 기자
2020-07-09
-
현대엘리, 충주 신공장 ‘첫 삽’
배종인 기자
2020-07-08
-
상반기 세계 선박 발주량 10년來 최저
올 상반기 세계 선박 발주량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및 저유가의 영향으로 시황회복이 지연되면서 지난 10년來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6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82만CGT(30척)로, 5월 65만CGT(31척)에 비해 26% 증가했으나 전년동기대비 51% 수준을 기록했다. 6월 국가별 수주량은 중국 46만CGT(16척, 56%), 한국 25만CGT(4척, 30%), 대만 4만CGT(1척, 5%) 순이다. 상반기 발주량은 575만CGT(269척)로 전년동기대비 42% 수준이다. 이는 2010년 이후 발주량이 가장 적은 2016년 상반기(766만CGT, 423척)에 비해서도 25%나 낮은 수치다. 다만, 하반기에는 모잠비크, 러시아에서 LNG 운반선 대량 발주로 시황이 다소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국가별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 351만CGT(145척, 61%), 한국 118만CGT(37척, 21%), 일본 57만CGT(36척, 10%) 순이다. 수주 금액 기준으로는 한국 30억달러(37척), 중국 69억달러(145척)를 기록해 한국의 척당 수주 단가(0.8억달러)가 중국(0.5억달러)에 비해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반기에 척당 1.8억달러가 넘는 LNG선 발주가 없었음을 감안해도 한국이 여전히 초대형선박 시장을 확고히 지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3년간 1~6월 누계 선박 발주량은 2018년 1,820만CGT, 2019년 1,379만CGT, 2020년 575만CGT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1~6월 주요 선종별 발주량을 살펴보면, A-Max급 유조선은 전년대비 발주가 19%(47만CGT → 56만CGT) 증가했고, S-Max급 유조선은 42만CGT로 보합세를 보인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 컨테이너선, 벌크선 및 대형 LNG선(140,000㎥)의 발주량은 감소했다. 6월 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5월 말 대비 162만CGT(2%↓) 감소한 7,077만CGT를 기록했는데,일본(△80만CGT, 8%↓), 한국(△47만CGT, 2%↓), 중국(△23만CGT, 1%↓) 모두 감소했다. 전년동기와 비교해 보면 일본 574만CGT(38%↓), 중국 320만CGT(11%↓), 한국 173만CGT(8%↓) 등으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613만CGT(37%)에 이어 한국 1,976만CGT(28%), 일본 954만CGT(14%) 순이다. 6월 전세계 선박 인도량은 235만CGT로 5월 대비 20만CGT(9%↑) 증가한 가운데, 일본은 44만CGT(115%↑) 증가한 반면 중국은 보합(66만CGT), 한국은 23만CGT(24%↓)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인도량은 전년동기대비 357만CGT(21%↓) 감소한 1,382만CGT로 나타났다.
신근순 기자
2020-07-07
-
전북도, ‘상용차 자율군집주행 테스트베드’ 선정
배종인 기자
2020-06-25
-
기진회, 디지털 제조장비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 추진
소재·부품·장비 자립화에 반드시 필요한 기계분야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이 본격 추진된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회장 손동연, 이하 기진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3월부터 5년간 ‘디지털 제조장비 R&D 전문인력양성’ 과제를 통해 ‘소부장’ 자립을 위한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양성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산업의 4대 메가트렌드 대응 및 제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제조장비 R&D 석·박사를 5년간 320명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제에는 기진회를 주관으로 △‘장비지능화’ 분야에 연세대, 단국대, 서울과기대 △‘생산유연화’ 분야에 한양대(에리카) △‘운영최적화’ 분야에 한밭대와 두산공작기계, 현대위아, 현대로보틱스 등 국내 32개사가 장비산업의 자립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학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산업계를 중심으로 기획된 교과설계부터 산·학 프로젝트까지 현장밀착형 학위과정과 R&D전문성 강화를 위한 단기 집중 과정을 이수 후 산업계로 배출돼 제조업 혁신에 필요한 공학 인재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점기술로 △정밀가공 시스템 패키지설계 △고난도 공정자동화시스템 패키지설계 △ICT진단 및 실시간 보정기술 △ICT 제조셀 통합운영 솔루션기술 등이 교육된다. 지난해 일본 수출규제 이후 주력산업 분야의 소재·부품·장비 등 이른바 ‘소부장 산업’의 자립화는 올해 정부의 핵심 추진과제로 꼽혔으며 이를 위한 기술개발 전문 인력 부족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2019년 기계분야의 대학원졸(연구인력) 부족 인원은 798명으로 12대 주력산업 전체 부족 인원의 47.52%를 차지하며 부족한 인력은 경력직 채용에 의존하여 인력 수급 차질과 기업 부담 가중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진회 박찬우 과장은 “제조업에 생산기반을 제공하는 장비산업은 기술 진입 장벽이 높지만, 경쟁력 확보 시 국가 경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소부장 산업’의 자립화를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끊임없는 관심이 필요하다”며 관련 담당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했다.
신근순 기자
2020-06-22
-
산업부, 비대면 경제 견인 로봇 보급 활성화 추진
신근순 기자
2020-06-22
-
산업부·해수부, 자율운항선박 개발 1,600억 투입
신근순 기자
2020-06-17
-
한국타이어·현대차, 드라이빙 체험 센터 맞손
배종인 기자
2020-06-17
-
기계연, 반도체 생산성 100배 향상
배종인 기자
2020-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