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동차의 유럽 수출에 제동을 걸려던 프랑스의 방해가 수포로 돌아가 국내 자동차 업계가 한숨을 돌리게 됐다.
외교통상부(장관 김성환)는 지난 22일 프랑스가 EU집행위에 지난 8월 3일 요청한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사전 동향관찰’에 대해 EU집행위가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프랑스 정부에 공식통보했음을 한국정부에 알려왔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민·관 합동 대응체계를 구축해 FTA 교섭대표 파견, 상품무역위원회 및 무역위원회 계기 통상교섭본부장의 De Gucht 통상담당 집행위원 면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EU집행위 측에 동 조치 도입가능성에 대한 우리 측의 우려를 적극적으로 제기해 왔다.
또한 주 EU 대표부 및 EU주재 우리 공관을 통해 주요 EU회원국들을 대상으로도 우리입장을 적극 개진해 우리 측에 유리한 EU집행위의 결정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해왔다.
이번 결과와 관련해 외교부 관계자는 “정부는 EU집행위가 합리적인 결정을 내린 것을 환영한다”며 “유럽 재정위기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하에서도 한·EU FTA를 통해 양자간의 교역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EU측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