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첨단소재 관련 新기술·최신 동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첨단소재기술협회와 한국전람(대표 이홍규)이 9월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SAMPE Asia 2014 & 코리아 컴포짓 쇼’를 개최했다.
행사는 △한국탄소융합기술원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한국복합재료학회 △한국폴리우레탄학회 △한국세라믹학회에서 후원했다.
이번 행사는 ‘금속산업대전’,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 ‘국제공구전’과 동시에 열려 첨단 신소재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는 산업의 참가업체·바이어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됐으며, 한·중·일 등 아시아를 비롯해 독일·터키·이탈리아·러시아 등 다양한 지역 전문가 및 업체들이 참여해 글로벌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세계 10개國, 전문가 300여명 참여
자동차用 열가소성 복합재, 고비용문제 해결 시급
■ SAMPE Asia 2014 심포지움
16~17일 양일간 킨텍스 1전시장 2층 세미나실에서 열리는 SAMPE Asia 심포지움은 ‘Accelerating the Entry of Advanced Material and Procesing Technologies into Market(첨단소재와 공정기술의 시장 진입가속화)’를 주제로 개최됐으며, 자동차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 복합재료에 대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특히, 이번 심포지움은 소재강국인 독일, 일본 등 세계 10여 개국에서 약 300여명의 저명인사와 바이어들이 참가해 복합소재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뜻 깊은 자리를 만들었다.
심포지움 첫째날인 16일,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복합재료의 자동화 공정'을 주제로 발표한 프라운호퍼 ICT 소속 프랭크 헨닝 박사는 프레젠테이션에서 "복합재는 미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광범위한 기회를 제공"한다며, 주요 재료로 연속 혹은 장섬유 강화 복합재(Long- or continuous-fiber reinforced composites)를 꼽았다.
그는 "우리는 이 소재를 바탕으로 통합 디자인 개념을 도입할 수 있으며, 이는 조립공정의 단순화를 가능케해 비용절감에 유리하다"고 밝히는 등 자동차에 대한 복합재료 채택 사례와 응용을 위한 주요 공정기술 등을 소개했다.
'자동차용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주제로 발표한 한화첨단소재 유환조 팀장은 이산화탄소 배출 및 연비기준이 강화되면서 가볍고 고강도를 가진 플라스틱 복합체와 같은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고비용 △긴 공정시간 △기술인력부족 등의 문제로 시장 활성화가 더뎌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제품군 중 자동차 산업에 적용이 빠르게 확대될 재료로 GMT(유리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CFRTPC(연속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소개하며, △우수한 결합력 △고강도성 △성형성 △에너지흡수성 △재활용성 등의 장점을 설명했다.
이외 16일에는 △아웃 오브 오토클레이브(OOA) 기술: 소재 및 공정 혁신과 어플리케이션 △항공우주 산업의 열가소성 복합재료 △일본 항공우주 산업 복합재료의 최근 주제 △우주위성 분야의 일반적 복합재료 △자동섬유적층(AFP) 분야의 획기적인 혁신 △복합재료의 손상허용: 규모의 문제 △극단적인 조건에서의 폴리머 나노복합재료 △생체복합재료: 펀더멘탈과 전자 빔 발광이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성능 섬유의 표면처리 등이 주제 발표됐다.
17일에는 △자동차용 복합재료: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수지, 공정과 어플리케이션 △크라우스마파이 복합재료 기술: 수지이동성형(RTM) 시장 및 솔루션 등이 발표돼, 소재를 비롯해 성형기술 등의 동향 및 기술 트렌드 등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28개社 참여, 복합소재 및 SW·평가기기 총망라
■ 코리아 컴포짓 쇼
이날 코리아 컴포짓 쇼에는 소재 관련 28개 업체가 참여해 소재를 비롯해 SW·평가기기 등 첨단소재 산업 내 다양한 포지션에 있는 업체들이 자사 제품을 선보였다.
‘코리아 컴포짓 쇼’는 무게를 줄이거나 표면을 더 강하게 한 신제품을 연이어 내놓고 있는 자동차·기계산업 발전의 일등공신으로 꼽히는 첨단소재를 다루는 전문 전시회로서, 이날 △원재료·화학물 부문에선 레진(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기능성 수지, 송진 등), 첨가물·첨가제·접착제, 폴리우레탄 발포고무, 프리프레그 등 △탄소복합소재 부문에선 탄소섬유, 인조흑연, 활성탄소, 활성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제품들이 전시됐다.
또한, △강화섬유 부문에선 유리섬유, 케블러섬유, 천연섬유, 아라미드, 세라믹섬유, 산업용 섬유 △강화재는 나노강화재, 알루미늄복합판넬 등 △가공처리·제작·조립기계 및 기술 부문에선 Hand lay-up·Spray-up, 필라멘트 와인딩·인발성형, 주입·사출·압출성형, SMC·BMC·PMC, RTM, 오트클레이브 등이 전시됐다.
◇ 한국탄소융합기술원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은 탄소소재 및 융합부품산업 활성화를 위해 장·단기 공동연구개발사업과 기업지원 및 창업보육 등의 사업을 추진해 각종 기계 및 부품소재 기술의 고도하와 신산업 창출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비영리 연구기관이다.
이날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은 회원사 및 국제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개발한 탄소복합재 제품들을 선보였다. 이번에 전시한 브레이딩 공법을 적용한 탄소복합재 스테빌라이저바는 기존 금속사용 대비 70%의 중량을 감축한 제품이며, 이외에 생체공학, 레저 등과 관련된 제품들을 전시해 '컴포짓 쇼'의 다양성을 더했다.
한편, 현재 기술원은 원 내 위치한 탄소복합재 성형센터에 5년간(완공예정, 2016년 8월) 총 사업비 206억원(국비 149억, 지방비 57억) 투자해 탄소복합부품 성형기술지원 기반 조성사업인 '탄소밸리 인프라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브레이팅 장비 △토우 스프레딩 장비 △카본페이퍼 제조용 연속식 제조장비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자동적층 및 탄소복합체 제조 시스템 △CFRP 제조 및 리사이클용 열처리장비 등 16개 관련 장비를 갖춰 산업활성화에 나설 예정이다.
◇ 청원화학
청원화학은 탄소섬유 함침용 레진, 유리섬유 함침용 레진, 아라미드 섬유 함침용 레진, 복합패널 접착제 등을 선보였다.
청원화학의 유리섬유 복합재 테크용 접착제는 기계적 강도, 내구성·내수성·내약품성이 우수하다. 또 함침용 유리섬유·아라미드섬유 제품군은 수중에서 장기간 특성을 유지하며, 저온·고온에서 적용가능한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회사는 주로 토목·건설 분야에서 표면처리·에폭시 실링·거푸집 부착·고압세척·그라인딩·코팅 작업 등에 쓰이는 접착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뿌리산업기술, 청정생산시스템기술, 융·복합생산기술 등 3대 연구 분야를 중점으로 핵심 원천기술 개발 및 실용화 기술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는 기관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연구원은 열가소성 탄소섬유 복합재료 부문에 Wet laid 산소섬유 매트 복합재료, Air laid 탄소섬유 복합재료, 장탄소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 자동차 시트 프레임 등을 선보였으며, 충격흡수용 나노융합 복합소재 부문에서 STF(Shear Thickening Fluid)/PU 복합재료, SHP(Shear Hardening Ploymer)/PU 복합재료 등을 선보였다.
◇ 나노코
나노코는 나노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전자재료, 기능성수지, 정밀화학, 나노코코팅제 등 기능성 화학소재 분야를 주력으로 연구개발 및 생산하는 화학소재 전문기업이다.
이번 행사에서 회사는 레졸(액상)·노볼락(고상) 등 일반 페놀수지뿐 아니라 전자용 특수 노볼락 수지, BT수지, 아크릴수지, 정밀화학 및 각종 첨가제를 전시했다.
현재 나노코의 주요 매출처는 건자재 부문과 전자소재 부문으로 나뉘어 있으며, 페놀수지 제품군은 건자재 분야에, 에폭시 수지 제품군은 LG화학, 국도화학 등 전자소재 분야에 주로 공급되고 있다.
◇ 엠티엠 코퍼레이션
엠티엠 코퍼레이션은 이번 전시회에 MECATECH 334(자동시편연마기), MECATOME T210(자동정밀시편절단기) 등 플라스틱 물성 시험기기들 등을 선보였다.
독일 물성 시험기 제조사인 Zwick Roell AG社의 한국 독점대리점인 엠티엠 코퍼레이션의 제품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MFR·MVR을 모두 측정할 수 있으며, 각 시험에 따라 정확한 MVR 갑의 측정에 있어 최적의 시험 조건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APC(Adaptive Parameter Control) 기능이 탑재돼있다.
주요 판매제품은 △인장시험기 △자동화시험기 △유동성시험기 △열변형시험기 △나노물성시험기 △경도시험기 △충격시험기 등이 있다.
이밖에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회사인 '인하정보통신'은 복합소재 분석 및 적용 알고리즘, Ply Pattern 생성 알고리즘, 적층 최적화를 위한 CATIA 기반 Ply Pattern 생성 SW 등을 선보였으며, 터키 DowAksa 탄소섬유 한국 대리점인 '이앤씨 엔지니어링'은 탄소섬유 및 직물, 유리섬유 및 직물, 셀룰로스 섬유 및 직물, 실리카 직물, 하이브리드 직물 등으르 전시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