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미국 일리노이주 정부와의 MOU를 통해 세계 스마트그리드 시장의 본고장인 미국시장 개척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했다.
지식경제부는 20일 코엑스에서 최경환 지경부 장관과 미국 일리노이주 Warren Ribley 상무장관, 스마트그리드협회 구자균 회장, 한전 김쌍수 사장 등 100 여명 참석한 가운데 일리노이주 정부와 ‘’스마트그리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우리나라와 일리노이주 간의 스마트그리드 시범도시 공동 구축, 공동 기술개발과 실증, 정책교류와 인력양성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미국 스마트그리드 시장진출 교두보를 확보하고 일리노이주 측은 투자·일자리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리노이 주는 미국 내 4위의 전력회사 ComED와 보잉·모토롤라 등 세계 500대 기업 본사 30개가 소재해 있으며 바이오연료, 풍력 등이 발달해 전력산업의 펀더멘털이 튼튼한 곳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리노이 주에 위치한 미국내 3대 도시인 시카고를 한국형 스마트그리드 시범도시로 활용시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MOU 체결식에서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스마트그리드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금번 UAE 원전수출처럼 민관합동의 총력수출지원 모델이 주효하다”라며 "이번 MOU 체결이 세계최대 미국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일리노이주 Warren Ribley 상무장관은 이에 화답하며 “동 프로젝트를 윈윈(Win-Win) 프로젝트로 규정하고 일리노이주는 동 협력을 통해 미국내 스마트그리드 선두 州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경부는 이번 MOU를 시작으로 국장급 공무원을 수석대표로 오는 7월까지 공동 협력위원회가 운영될 계획이며 구체적인 협력 프로그램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협력 프로그램별 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며, 이후 2013년 12월 까지협력 프로그램이 가동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