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핵심 소재부품 기술개발 후보과제가 공개됐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원장 이기섭)은 29일 2015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29개 후보과제 기획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고,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30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청회는 30일 더 케이 서울호텔에서 13:30분에 개최된다.
발표대상 기획과제로는 전략적 핵심소재 기술개발사업에서 금속분야에서 △골질환 치료를 위한 7000MPa·%급 Load Bearing용 생체분해성 금속 소재 개발 △수송기기 탑재용 작동온도 100oC급 고용량 고체 수소저장 소재 개발 △초전도 의료·전력기기 적용을 위한 임계전류특성이 우수한 6 km급 MgB2 초전도 선재 및 코일 개발 등 3건, 세라믹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용 세라믹-소재 및 세라믹-나노카본계 복합소재 개발 △금속-세라믹 하이브리드 공정기반 250W급 고신뢰성 연료전지 스택모듈 개발 △고비표면적 다중 기공 구조 세라믹 분리막 소재 기술 개발 등 3건이 있다.
화학분야에서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형태 가변형 점접착소재 개발 △광전환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Quantum Dot (QD) 소재와 QD sheet 및 광원 개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용 고신뢰성 투명전극 핵심기술 개발 등 3건, 융합분야에서는 △공기중 부유 극초미세입자(PM1.0)의 유해인자 검출용 센서 소재 기술 개발 △120lm/W 이상 OLED 조명용 상압증착 기반 기판소재 기술 및 고효율 발광 소재 개발 △자가치유가 가능한 1.5N/cm2이상의 강한 접착력을 갖는 조직접합용 생체소재 개발 △의료용 천연하이드로젤 기반 기능성 스캐폴드 복합 소재 개발 등 4건이 있다.
수요자 연계형 기술개발사업에서 자동차·조선 분야에서는 △CTA(Cross Traffic Assist) 규제 대응을 위한 FOV 150° 이상의 레이더 센서 모듈 개발 △48V 전력기반 EPS용 전동모듈 부품 △BOP(Blow Out Preventer) 시스템 설계 및 Ram 부품 개발 △선박 및 해양플랜트용 저온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개발 등 4건, 기계·로봇분야에서는 △10mm급 위치분해능을 갖는 광센서 기반 자기진단형 실시간 누설 모니터링 밸브 개발 △충격감쇠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건설기계 시트 △고속직곡이송 무윤활 무배선 융합구동모듈 등 3건이 있다.
전기전자에서는 △착용기기용 Compact타입 카메라통신 패키지 모듈 개발 △500GOPS 이상 고속 Embedded Vision처리용 Smart AVPU(Accelerated Vision Processing Unit) SoC 및 SW 개발 △녹색 LED 기반 95이상 고연색성 실내조명용 모듈개발 △차량내 비접촉식 생체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고속탐지 신호처리 Chip 및 플랫폼 개발 △정밀전력량계 및 전력설비 진단시스템용 핵심부품 기술개발 등 5건, 융합부품에서 △광원 및 수광 반도체 소자가 내재된 일회용 PCR 칩 및 플랫폼 개발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지능형 보안기기용 영상처리 SoC 및 시스템 솔루션 개발 △호흡기 기반 만성질환 조기진단 및 관리용 ppb급 헬스케어부품 개발 △웨어러블 기기용 프로그래머블 멀티모달 생체신호 처리 SoC 및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 등 4건이 있다.
산기평은 2014년 9월부터 기술수요조사를 시작해 10월에는 기획대상 과제 3배수를 선정하고, 11월에 기획대상 후보과제 인터넷 사전공시를 진행해 이번에 기획대상 과제 29건을 최종 선정했다.
기획대상 과제별로 산학연 전문가 5∼6인의 과제기획전담팀을 2014년 12월초에 구성해 약 2개월간 RFP를 작성했다.
김상태 산기평 소재부품산업평가단장은 “2015년도 신규과제가 단순 R&D에만 그치지 않고 매출 및 고용창출 등 실질적인 성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시장수요가 반영된 RFP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인터넷 공시 및 공청회를 통해 접수된 각계각층의 의견을 RFP를 보완하는 데 소중히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터넷 공시 및 공청회에서 접수된 의견을 반영해 보완된 RFP는 2015년 2월말 ‘소재·부품 전략위원회’에 상정하며, 기술개발의 시급성·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2015년도 지원대상 과제를 최종 확정한 후 3월초 사업공고를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