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2-12 14:56:09
기사수정

▲ ‘나노산업 육성 중점추진 전략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박종구 단장이 ‘나노산업 육성 중점추진 전략(안)’을 발표하고 있다..

2020년 나노산업 세계 2위 도약을 위한 7대 중점 추진과제가 선정돼 발표됐다.

나노융합2020사업단(단장 박종구)은 9일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12층 아나이스홀에서 ‘나노산업 육성 중점추진 전략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박종구 단장의 ‘나노산업 육성 중점추진 전략(안)’의 발표와 참석자들의 질의 및 응답이 이어졌다.

박종구 단장은 “나노산업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2020년 나노관련 매출 세계 2위로 도약하기 위해 이번 중점추진 전략안을 만들었다”며 전략의 수립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사업단이 선정한 7대 중점 추진 영역은 △탈평면 인쇄형 3D 나노전자 △IoT용 고감도 나노바이오센서 △(탈리튬(Li))고성능 이차전지 △탈귀금속/희유원소 산업용 나노소재(나노형광체, 양자점, 나노촉매 등) △초고효율 나노태양전지 △패션구현 기능성 나노섬유/나노패브릭 △저에너지 소모형 수처리 시스템 등이다.

사업단은 7대 중점 추진 영역에 대해 기술개발 수준 및 산업화 역량과 함께 향후 10년 이내 세계적으로 주요 사업영역이 될 분야를 고려해 선정했다고 밝혔다.

‘탈평면 인쇄형 3D 나노전자’는 나노전자/인쇄전자의 2D 한계를 넘어 자유표면에 적용가능한 인쇄전자 기술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사물 일렉트로닉스 시대의 개막과 사물 인터넷의 경제성을 실현하고 중국 등 후발주자의 추격으로 위태로운 전자산업의 선도적 재도약을 위한 전략이 마련된다.

‘IoT용 고감도 지능형 나노바이오센서’는 공간에 대한 제약 없이 IoT에 적용돼, 환경 및 생체 유해물질을 고감도, 실시간으로 검지하고 신호의 처리, 보정, 판단, 무선송수신이 가능한 나노융합센처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차세대 2차전지’는 리튬 소재의 문제점을 극복한 고성능 이차전지의 개발을 위해 나노기술을 접목해 차세대 탈리튬 이차전시 산업에서의 선도자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선정됐다.

‘초고효율 나노태양전지’는 고효율 발전 및 새로운 효용성을 제공하는 상업용 초고효율 나노태양전지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응용 및 저가화 구현을 위한 장기 수명 확보 신뢰성 및 표준화에 나선다.

‘탈귀금속/희유원소 산업용 나노소재’는 기존소재 대비 동등 이상의 성능 및 안정성(수명), 기존소재보다 싼 가격(원료 및 공정 비용 등 전체 비용), 카드뮴 등 인체/환경 유해원소의 완전 대체를 위해 사업에 나서게 된다.

‘패션구현 기능형 나노섬유/직물’은 나노섬유가 가진 기능성에 다양한 패션을 접목할 수 있는 복합기능화 기술을 개발해 입는 것 이상의 감성 부여를 목표로 두고 있다. 이에 3D 구조를 갖는 나노기공 크기 및 분포를 제어해 초경량, 고투습방습 기능 및 저 마찰 소음, 쾌적한 촉감 및 다양한 기능(빛 제어, 발열, 항균, 소취, 감지 등)으로 편리함 및 평안함을 주는 나노섬유 기반의 소프트 나노직물 개발에 나선다.

‘저에너지 소모형 수처리 시스템’은 사용 압력 혹은 전압을 획기적으로 낮춘 고효율 수처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 중공사 멤브레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나노소재 기반의 수처리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이번 전략(안)을 통해 향후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세부 추진 방안을 수립·확정해 사업화 기술개발, 제품화 기술개발, 상품화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박종구 단장은 “미래부와 산업부는 세계적 수준의 우리나라 나노기술 개발 능력이 산업화로 이어지지 못하는 상황을 극복하고 신시장 선점을 위한 선진국들의 체계적이고 강력한 나노기술 산업화 드라이브에 맞서기 위해 나노산업 육성을 위한 중점추진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며 “이번 공청회를 통해 나온 산학연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전략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409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