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3-02 15:02:30
기사수정


자동차용 라이다 기술





■ 기술 소개

라이다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란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로서, 자동차용 라이다는 주행중인 차량이 앞 차와의 충돌을 피하거나 또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간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경고 또는 차량 자동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 자동차의 안전 주행을 위한 전자 장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궁극적 목표인 무인 자동차 시대를 위해서는 자동차 차량 거리 제어를 위한 센서 시스템의 상용화가 필수이다.

유럽은 2014년부터 출고되는 신차에 라이다와 같은 충돌 방지용 차량 거리 센서 장착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차량 성능 지표에 3점 이상의 점수를 부여하고 있어, 사실상 라이다 장착을 법규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 기술의 현황

차량 주차를 위한 전후방 거리 센서들은 상용화해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 중에 있다. 주행중에 있는 차량 거리 센서는 최근까지 밀리미터파 대역의 RF가 최근까지 연구되고 일부 상용화되었으나, 무선 특성상 직진성이 약해 타 차선의 차량을 감지하는 등 실제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RF에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해 RF 레이다 기술을 적용한 제품 또한 개발되었으나 지나치게 고가인 이유로 차량용 센서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된 것이 레이저를 이용한 라이다 기술이다. 라이다 기술은 이미 국방에서 포 사격, 거리 측정, 보안 경계 등을 위해 널리 사용해 왔던 기술로, 이를 응용한 것이 자동차용 라이다 기술이다.

▲ Laser Sensor Unit 장착 개념도.

▲ Laser Sensor Unit을 이용한 LBAS (LCMS, LCPS 포함) system의 동작 개요.

라이다 기술은 고출력의 펄스 레이저를 쏘아서 물체에 반사돼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시작품 단계로서 실험실 시험 완료했다.

국내에는 아직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 없으며, 전 세계적으로 최근에 와서야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는 유럽의 Continental 사가 개발한 라이다 센서가 Volvo 차량에 장착된 예가 유일하며, 유럽 법제화에 따라 세계 여러 기업이 개발 상용화를 서두르고 있다.

기술의 구현수준 test

■ 기술의 장점(경쟁기술과의 차별성)

선진사 독일의 Continental사의 CV 센서 (closing velocity sensor)의 크기와 사양에 준하는 기술
. 감지영역 : 1~10m@150kph 이내
. 측정 정확도 : 거리±0.1 m (±10%), 속도±2kph (±10%)
. 레이저 출력 : 70W peak, 905nm, Eye-safety(Class 1M) 규격준수

이동중인 차량과의 거리 및 상대 속도 동시 실시간 측정

[초고속 광변조기 Spec]
∙ 감지영역 : 1~10m@150kph 이내
∙ 측정 정확도 : 거리±0.1 m (±10%), 속도±2kph (±10%)
∙ 레이저 출력 : 70W peak, 905nm, Eye-safety(Class 1M) 규격준수
∙ Data Update Rate : 10ms 이내(TBD)

▲ 개발한 자동차용 라이다 센서 주요 핵심 부품 배치 사진.

■ 기술의 활용범위 및 응용분야

○ 자동차 안전 주행 센서

○ 방범 및 보안

○ 국방

○ 기타 거리 측정용 센서 (토목, 골프 등)

■ 시장동향 및 전망

○ 차량에 부착된 전후방 거리 측정용 초음파 센서와 같이, 향후 모든 차량에 장착될 유망 자동차 센서

○ 2014년부터 유럽 출고 신차에 장착되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시장 성장이 예상

■ 지식재산권 현황 및 기술이전 내용

▲ 지적재산권 현황.

▲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0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427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프로토텍 11
서울항공화물 260
이엠엘 260
린데PLC
im3d
엔플러스 솔루션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