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안전원이 환경영향조사 과학화를 통한 주민안전 강화를 위해 고성능 장비를 구축했다.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원장 김균)은 극미량의 화학물질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고성능 정밀분석 장비를 구축하고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화학물질안전원이 도입한 장비는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 원자발광분광기, 양자전이질량분석기, 전자현미경 분산형 분광분석기 등이다.
이번 고성능 정밀분석 장비 운영은 국정과제인 ‘화학사고 예방·대응·사후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오염도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정확한 피해 범위 산정과 복구 등을 위한 것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수습지원본부 역할을 맡으며, 정밀분석 장비를 사고현장의 시료채취와 정밀측정, 잔류오염도 측정범위 및 분석, 기술지원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들 장비의 도입으로 그간 분석이 어려웠던 무기화학물질이나 고분자물질의 분석이 가능해 과학적인 피해조사 분석 체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환경영향조사와 관련한 대기, 수질, 토양 등 환경매체와 생태자원별 오염도 조사·분석도 가능해 수습체계 고도화에 따른 주민안전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황승율 화학물질안전원 연구개발교육과장은 “정밀분석 장비 운영으로 과학기반의 환경영향조사 체계가 확립되어 주민안전을 위한 화학사고 수습 역량이 강화될 것”이라며 “이들 장비가 ‘사후관리 시스템 구축과 화학테러물질 분석’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