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1,000대 기업들은 일본 수출 규제로 인해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등 수출규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매출액은 2.8% 감소, 영업이익은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경연 유환익 상무는 “설문조사 결과대로 영업이익이 1.9% 감소할 경우 2018년 1,000대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3%임을 감안할 때, 업종에 따라 일부 기업들의 적자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응답기업의 과반수는 이번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51.6%, 영향 없음은 48.4%로 조사됐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한 국내 대기업의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2.8%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13.6%) △석유제품(-7.0%) △반도체(-6.6%) △철강제품(-3.9%) △무선통신기기(-2.7%)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매출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5.7%로 감소폭이 두 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국내 대기업의 영업이익도 평균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7.9%) △석유제품(-5.4%) △반도체(-5.1%) △디스플레이(-2.4%) △철강제품(-1.9%) 순으로 조사됐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영업이익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영업이익 감소율은 평균 3.7%로 나타났다.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기업들의 단기적 대응방안으로는△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53.7%) △대체 부품소재 물색(15.9%) △일시적 사업축소·긴축경영(8.5%)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8.0%) 순으로 조사됐다.
장기적 대응방안으로도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가 28.8%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고, △부품소재 국산화(25.0%) △대체 부품소재 확보(14.4%)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11.5%) △사업축소·긴축경영(4.8%) △생산설비 해외 이전(1.4%) △인수합병을 통한 부품소재 확보(0.5%)로 나타났다.
정부의 정책지원 과제로는 △대체 수입선 확보 지원(30.9%) △부품소재 국산화 재정지원(23.9%) △피해업종 세제 혜택(23.0%) △화학물질·부품소재 규제 완화(16.6%) 순으로 나타났다.
한·일 경제갈등 해결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40.5%) △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21.9%) △미국의 한일 간 중재(14.3%) △국제적 여론 형성(11.1%) △민간기업·경제단체 활용(6.2%) △기업자체 역량에 의한 해결(5.1%) 순으로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