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비철금속협회(회장 도석구, 이하 협회)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 비철금속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과 지원책 마련을 요청했다.
협회는 미국 정부의 알루미늄·구리 등 비철금속에 대한 50% 고율 관세 부과 조치 관련, 국내 업계 피해 최소화와 국회 차원의지원 방안 요청을 위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정호 국회의원(김해시 을)과 면담을 가졌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면담에는 △한국비철금속협회 △노벨리스코리아 △대창 △능원금속공업 △대한전선 △DI DONGIL △LS MnM △코딧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 등이 함께 참석했다.
협회는 이날 면담에서 △대미 알루미늄·구리 등 수출 구조 △관세 인상으로 인한 국내 산업 피해 영향 △피해 기업에 대한 지원 필요성 등을 제기하며, 국회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했다.
주요 논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對美 알루미늄 수출 현황과 관세 충격’의 경우, 대미 알루미늄 수출은 미국 전체 수입의 3.9%에 불과하나, 수출 품목의 80%가 압연재 등 미국 소비재와 전기차 산업에 필수적인 소재다.
국내 알루미늄 산업은 원재료 전량 수입 구조와 2~3%의 낮은 영업이익률로 인해 관세 인상으로 대미 수출 중단 가능성이 우려된다. 또한 관세 인상은 국내 기업의 미국 내 투자·고용 창출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설명됐다.
‘對美 구리 수출의 급격한 위축 우려’의 경우, 미국의 전 세계 구리 수입에서 한국은 2.7%를 차지한다. 동관 및 동판과 동봉은 범용제품으로 미국산 대비 경쟁력이 약해 큰 타격이 예상됐다.
‘韓·美 공급망 및 미국 산업 부정적 영향’의 경우, 한국산 비철금속은 미국 전기차·소비재 산업에 핵심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관세 인상은 미국 내 수요업체와 소비자 가격 상승 및 공급 차질을 초래한다. 이는 한·미 간 상호보완적 공급망에도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철강 대비 열악한 비철금속 산업 지원 현실’의 경우, 철강산업과 달리 중소기업이 주력인 비철금속 업계에는 지원책이 미흡해 산업 생태계 전반이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비철금속 산업에 대한 국회 차원의 지원 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협회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 비철금속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과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국회가 역할을 해 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김정호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50% 관세 부과로 인해 비철금속 업계가 느끼는 위기의식에 충분히 공감한다”며, “국회 차원에서도 어떤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면밀히 검토해 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협회는 정기국회를 맞아 비철금속 업계가 처한 현실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 방안이 국회 논의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의견을 개진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