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1-07-27 11:01:43
기사수정

▲ KRISS 연구진이 비선형광학현미경 이미징을 통해 피부 조직에 분포된 미세먼지를 정밀 분석하고 있다.


국내연구진이 피부조직의 미세먼지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미세먼지 대응 의약품 및 화장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의 바이오이미징팀, 가스분석표준그룹 연구진이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원장 박영호)과 연구를 통해 피부 조직의 미세먼지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아토피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피부에는 미세먼지가 더 깊이 침투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미세먼지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세먼지가 체내에 유입된 이후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체계적인 연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기오염물질인 미세먼지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높은 수준의 미세먼지 농도는 호흡기 질환, 심혈관계 질환 같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흡입된 미세먼지에 대한 유해성 연구는 상당히 수행됐으나 피부 노출에 의한 유해성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에는 생체조직에 침투된 미세먼지를 보기 위해 명시야 현미경이나 투과전자 현미경을 이용했다. 하지만 까다로운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고 검은색 입자는 모두 미세먼지라고 가정해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다.

공동연구팀은 미세먼지의 주요 성분인 탄소 분자 결합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비선형광학현미경을 이용해 피부 조직의 미세먼지를 특별한 전처리 없이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더불어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 엘라스틴과 같은 생체물질을 동시에 가시화함으로써 미세먼지의 피부 내 분포를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각질이 손상된 피부에는 미세먼지가 깊숙이 침투해 염증을 악화시키고 있음을 규명한 것이다.


비선형광학현미경은 서로 다른 색깔의 세 가지 레이저를 이용해 염색과정을 거치지 않고 시료 고유의 분자를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으로, KRISS가 2006년에 개발했다.


KRISS 안전측정연구소 김세화 책임연구원은 “KRISS의 비선형광학현미경을 이용해 인체의 피부에 침투한 미세먼지를 가시화 할 수 있었다. 미세먼지의 피부 침투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피부질환 관련 대응 세정 및 보호제품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기술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인체 피부에 작용하는 나노물질의 광독성에 대한 후속 연구에 더욱 주력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생물학 분야의 국제분자생물학지인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몰레큘러 사이언스(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4.556)에 5월 온라인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581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