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3-07-26 14:31:27
기사수정


▲ 제작된 후막 양극을 보여주고 있는 김찬훈 박사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수계아연전지의 용량 문제를 개선할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 이하 생기원)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총장 국양, 이하 DGIST)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수계아연이온전지의 후막 양극기술 개발’에 성공해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낮은 면적당 용량 문제를 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후막 양극은 전자들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집전체 위에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활물질이 두껍게 코팅된 전극으로,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에 필수적인 조건이 된다.


수계아연이온전지’는 물 기반의 전해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발화 위험이 없고 안정성이 높아 리튬이온전지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후막 양극’ 제작 시 용량이 크게 저하되는 한계 때문에 수계아연이온전지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생기원 청정웰빙연구그룹 김찬훈 박사 연구팀과 DGIST 에너지공학과 이용민 교수 연구팀은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의 양극용 바인더에 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수계아연이온전지의 용량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


공동 연구팀은 간단한 설폰화반응만으로 기존 리튬이온전지 바인더를 친수성 있는 Sulfonated PVdF(S-PVdF)로 개질해 오랜 난제를 풀었다. 설폰화반응(Aromatic Sulfonation)은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친수성을 높이기 위한 치환반응이다. 설폰화반응을 통해 개질(Reforming)된 S-PVdF 바인더는 분자 내에 풍부한 설포네이트 작용기(Functional Group)를 포함하고 있어 기존 PVdF에 비해 수계전해질의 젖음성이 향상되고 이온전도도 또한 10배가량 높았다.


설포네이트 작용기가 S-PVdF 바인더의 극성을 향상시켜 양극 활물질의 전극 내 분산성을 높이기 때문인데, 이를 통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후막 양극 제조 시 가장 큰 난제였던 전극 내 활물질·바인더·도전재의 불균일한 분포 및 낮은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생기원 김찬훈 박사 연구팀이 개발된 S-PVdF 바인더를 활용해 양극 활물질 기준 6㎎/㎠의 후막 전극을 제작하고, DGIST 이용민 교수 연구팀이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 PVdF 바인더 사용 시보다 초기 가역 용량이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000사이클 동안에도 PVdF를 사용한 양극과 비교해 지속적으로 높은 가역 용량을 나타내고, 양극 용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고온에서도 2배 이상 높은 용량 유지율을 보였다.


연구를 이끈 김찬훈 박사는 “수계아연이온전지 상용화에 필수적인 후막 양극 제작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라고 설명하며 “에너지밀도를 더욱 높이는 기술 개발에 주력해 ESS용 수계아연이온전지 조기 상용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544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