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5-10-02 10:56:23
기사수정

▲ 넥시팔(NEXIPAL) 센서가 적용된 EAP 라미네이트


글로벌 화학기업 바커(WACKER)가 로보틱스와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전자소자를 양산해 맞춤형·대량 생산이 가능한 센서 부품 제조사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


바커는 유연 센서 전자소자 ‘넥시팔 센스(NEXIPAL Sense)’의 양산을 시작하며 플렉서블 전자소자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2일 밝혔다.


넥시팔 센스는 오는 10월 8일부터 15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K-Show 2025(국제 플라스틱·고무 산업 전시회)’에서 첫 공개된다.


이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강화한 차세대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실 R531/60(ELASTOSIL R 531/60)’ △열처리 필요 없는 식품용 친환경 액상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실 에코 LR 5003(ELASTOSIL eco LR 5003)’ △가볍고 경제적인 고상 실리콘 고무 ‘파워실 1900A/B (POWERSIL 1900 A/B)’도 런칭한다.


넥시팔 센스는 절연성·전도성을 동시에 가진 고탄성 실리콘 고무 필름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구조로 만들어졌다. 압력이나 신축 변형에 따라 전기 용량이 변하며, 이를 통해 정밀한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의료기기·로보틱스·스포츠 분야 등 정밀 계측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다.


넥시팔 센스는 20~200마이크론 두께의 필름을 적층한 구조로, 머리카락 굵기 수준의 정밀도를 구현한다. 자가치유에 가까운 복원력과 높은 탄성으로 수백만 회 반복 변형 후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며, 피부 친화적으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40°C~+180°C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전극층은 바커가 개발한 전도성 실리콘을 디지털 레이저 프린팅 기술로 구조화해 100마이크론 이하의 정밀 패턴 구현이 가능하다. AI 기반 이미지 분석을 활용한 인라인 품질 검사로 ±5 마이크론 수준의 균일성을 확보한다.


또한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용 신규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실 R 531/60’는 압출 공정 적용이 가능해 버스바 절연 공정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 화재 발생 시 소재가 세라믹 보호층을 형성해 단락을 방지, 전기차 탑승객과 구조 인력의 안전성을 강화한다.


친환경 액상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실 에코 LR 5003’는 열처리 없이도 식품용기·주방용품의 제품 규격을 충족하며, 바이오메탄올을 기반으로 생산돼 자원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액상 사출 성형(Liquid Injection Molding) 공정에 적용할 수 있어, 빨대·제빵 틀·주방용품 등 다양한 생활·식품 관련 제품을 경제적이고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고상 실리콘 고무(HCR)인 ‘POWERSIL 1900A/B’는 중공형 애자(hollow-core insulator)용 소재이다. 해당 제품은 A/B로 구분한 부가형 경화방식으로 공급되며, 스파이럴 압출(spiral extrusion) 공정에 적합하다.


기존 제조 방식과 비교할 때 다양한 직경의 대형 애자 생산을 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 최종 생산물인 중공형 애자는 기존 애자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운반과 설치가 매우 수월하며, 최대 80%까지 경량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바커는 이번 양산을 통해 단순 소재 공급을 넘어, 맞춤형·대량 생산이 가능한 센서 부품 제조사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마틴 보르텐슐라거(Martin Bortenschlager) 바커 엔지니어링 실리콘 사업팀장은 “실리콘은 가공이 용이하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해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특히 전력망, 의료기기, e-모빌리티, 디지털화 등 고기능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6411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나노코리아 2025(260 픽셀)
프로토텍 2025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린데PLC
EOS 2025
IM3D 2025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