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패권 경쟁시대, 첨단산업 초격차 이끄는 우수나노기업⑯-베스트에너지 안광선 대표
“베스트에너지, 고분자 합성기술 기반 배터리E 분야 선도”
■베스트에너지에 대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린다
2014년 설립된 베스트에너지는 파우치용 이차전지 리드탭 필름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사업화에 성공한 기업이다. 전 세계에서 리드탭 필름 시장은 90% 이상을 일본 기업이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베스트에너지는 다년간의 고분자 연구를 통해 개발에 성공했다.
특히 리드탭 필름 제조에 사용된 모든 원료를 국내 원료로만 사용해 이차전지 소재 국산화에 기여했으며, 이렇게 생산된 필름은 중국 3대 이차전지 제조사에서 안전 분야 테스트를 거치며 성능을 인정받은 바 있다.
베스트에너지는 설립초기 연구소 기업으로 출발했으며, 현재는 고분자 합성기술을 통한 이종접합필름, 방사능차폐필름, 방열필름 등 고분자 합성기술에 특화된 기업으로 기술난이도가 높은 특수필름개발 기술력을 갖췄다.
베스트에너지는 이차전지 소재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이차전지 관련 장비에 대한 설계·개발을 지속해 최고의 배터리에너지 저장기술 기업으로 발돋움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근간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한다.
■베스트에너지는 그래핀을 활용한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을 기반으로 배터리에너지 분야로 사업역량을 확장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주요 제품과 그 현황은
베스트에너지는 △리드탭 필름 △CPP필름과 파우치 필름 △3D프린트용 필라멘트 △배터리 방열판 △방사선차폐 소프트 백 △전기자동차용 수냉각판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소재들을 개발·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파우치 필름의 국산화를 넘어 그래핀을 활용한 파우치용 CPP필름을 개발했다. 그래핀의 우수한 열 전도성으로 인한 내부 방열 문제를 해결해 배터리 수명의 연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필름강성과 난연성을 확보했다.
현재 베스트에너지는 그래핀 적용 파우치용 CPP 필름 개발로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의 안전성과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했고, 양산화를 위한 생산기반에 집중하고 있다.
이밖에도 베스트에너지는 △수분에 강하고 친환경적인 폴리프로필렌(PP)소재 필라멘트 △고분자 접착필름을 이용한 알루미늄 베이퍼 챔버 △방사선 차폐 필름 시트 △알루미늄 접합용 고분자 필름을 활용한 전기자동차용 수냉각판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생산해나가고 있다.
그래핀 적용 파우치용 CPP 필름 개발 성공, 양산화·생산기반 집중
고분자 이종접합 기술 부품사업 전환, 수율확대·가격경쟁력 확보
■우리 첨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나노소재의 상용화가 필수적이다. 나노소재의 상용화 성공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지원 방안이나 규제 개선 사항이 있다면
베스트에너지는 축적된 고분자 합성기술 노하우를 통해 나노소재 연구성과의 우수한 기술력을 상용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품 상용화는 많은 생산설비 투자와 연구 인력의 확보가 동반돼야 해,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투자여력의 한계로 상용화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나노소재의 상용화를 위해 정부의 정책금융과 인재개발 등, 다방면의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베스트에너지는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부터 방사선차폐 소프트 백 까지 다양한 첨단산업분야로 새로운 사업 기회가 열리고 있다. 향후 지속 성장을 위한 베스트에너지의 대응 전략과 글로벌 시장 진출 계획은
현재 베스트에너지는 고분자 이종접합필름 기술을 통해 소재에서 부품사업으로 사업전환을 진행하고 있다.
베스트에너지는 핵심기술인 고분자 브랜딩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금속간의 접합이 가능하며, 용접이 불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된 금속도 접합이 가능한 이종접합필름 기술 등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 및 ESS용 수냉식 냉각판을 기존의 브레이징공법에서 알루미늄 접합용 고분자 필름을 개발, 이종접합필름 접합 공법을 적용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생산수율확대를 통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