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창조과학부
▷국제협력총괄담당관 송경희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 허원석
▷방송산업정책과장 김정기
▷전파정책기획과장 이재범
▷주파수정책과장 김경우
▷중앙전파관리소 위성전파감시센터장 오광혁
▷중앙전파관리소 광주전파관리소장 이윤호
▷중앙전파관리소 서울전파관리소 지원과장 김명희
편집국 기자
2016-06-10
-
현대아이비티, 바이오 생산시설 4배확대
편집국 기자
2016-06-10
-
日, 충전 10분 2층 EV버스 실증
편집국 기자
2016-06-10
-
ETRI, 12개 연구소기업 창업성장기 발간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출자해 만든 기업인 연구소기업의 창업과 성장과정을 담은 스토리가 처음으로 발간되었다. 개인 창업자들을 위한 제도와 혜택도 한곳에 담아 창업을 꿈꾸는 연구진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술지주회사인 ㈜에트리홀딩스는‘창조의 힘을 깨우는 연구소기업 창업성장기’를 발간했다고 지난9일 밝혔다.
‘연구소기업’이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자본금 가운데 20% 이상을 출자하여 연구개발특구 안에 설립하는 기업을 말한다.
본 책에서 소개하는 기업들은 모두 ETRI의 기술을 사업화하고 기술사업화 전문 회사인 에트리홀딩스(주)가 자본을 투자, 연구소기업에 등록된 기업들이다.
연구소기업의 경우, 초기기업이 대부분이어서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는데 최소 5년에서 10년이상 걸린다. 현재 ETRI는 지난 2008년 연구소기업 1호인 ㈜오투스 이래로 38개 연구소기업을 창업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38개 연구소기업의 총 매출액은 183억원에 달하며 고용인원수도 250여명이다.
이번 책자에 소개된 12개 기업은 바이오, 융합기술, SW, 부품소재, IT 등 다섯 분야로 나눠 기업을 소개하고 있다. 지난 2011년 설립된 임신테스트 및 배란테스트기로 유명한 ㈜수젠텍(손미진)을 비롯, 조선해양 IT무선통신 기업인 ㈜하버맥스(강희욱),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업인 ㈜마인즈랩(유태준), 자동차 및 기상용 라이다 센서 기업인 ㈜정상라이다(김기종), 광통신장치 기업인 ㈜쏠리드링크(나기운) 등 5개 분야 총 12개 연구소기업의 창업 및 성장스토리가 담겨있다.
본 책은 연구소기업들의 기술개발, ETRI기술의 사업화 및 기업 성장과정, 그 과정에서 연구소기업의 역할과 의미, 미래비전 등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본 책에는 기술 사업화와 연구소기업 설립을 꿈꾸는 개인 창업자들을 위해 연구소기업 제도와 혜택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에트리홀딩스(주) 조병식 대표이사는“ETRI기술을 사업화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기업에게 연구소기업 제도를 널리 알리고 연구원의 우수한 ICT기술들이 사업화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ETRI와 에트리홀딩스(주)는 연구소기업을 오는 2020년까지 누적 100개의 연구소기업 등록을 달성한다는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있다.
본 책은 비매품으로 ETRI 홈페이지(https://www.etri.re.kr/) 공지사항 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편집국 기자
2016-06-10
-
자동차 방열부재시장 용도 확산 기대
편집국 기자
2016-06-09
-
日, 113번째 원소 ‘니호늄’ 발견
편집국 기자
2016-06-09
-
산업통상자원부 국장·과장
■국장급 전보
▷대변인 이상진
▷소재부품산업정책관 유정열
▷에너지산업정책관 김용래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국장 주영준
▷KOTRA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 파견 조영신
■과장급 전보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보과장 오유천
편집국 기자
2016-06-09
-
日 전력시장진출, AS·품질·가격 고려
편집국 기자
2016-06-08
-
이인 KAIST 교수, 에티오피아 과학기술원장 임명
편집국 기자
2016-06-08
-
도시바, 무선충전 EV 버스 운행 시작
편집국 기자
2016-06-08
-
日제온, SGCNT 실용화 연계 연구실 설립
편집국 기자
2016-06-06
-
히타치, 소형화 수소디스펜서 공급
편집국 기자
2016-06-03
-
日, 역구조 빨간색 OLED 1만시간 수명 실현
편집국 기자
2016-06-03
-
산업부 全 공기업·기관, 성과연봉제 도입 완료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6월1일 정부 권고 대상인 산업부 산하 12개 공기업과 15개 준정부기관 모두가 성과연봉제 도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성과연봉제 도입시한은 공기업은 6월, 준정부기관 12월로 산업부는 주형환 장관이 직접 나서 성과연봉제 추진상황을 직접 점검하고 조기도입을 독려한 결과 시한 도래전에 서둘러 완료하는 모범기관이 됐다.
산업부는 이를 계기고 강원랜드, 한전KDN, 가스기술공사 등 13개 기타공공기관까지 연내에 성과연봉제 도입이 완료될 수 있도록 독려와 이행점검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신근순 기자
2016-06-02
-
출연연 연구, 슈퍼컴퓨터로 가상실험 한다
편집국 기자
2016-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