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RI, 러시아 Ioffe 연구소와 MOU
ETRI가 반도체 부품·소재 응용기술에는 강하지만 원천기술엔 약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극복할 교두보를 마련했다.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지난 8일(러시아 현지 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 구 레닌그라드) Ioffe 연구소(Ioffe Physical-Technical Institute of Russian Academy of Sciences, 기관장 안드레이 지. 자브로스키) 회의실에서 ‘GaN 반도체’로 대표되는 화합물 반도체 기반 ‘통신 소자 및 전력 소자 기술’과 ‘LED 및 광전소자 기술‘의 상호 협력 연구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GaN 전력반도체’는 고전압 작동이 가능해, 실리콘 전력반도체보다 전력손실을 1/5 이하로 줄일 수 있고, 고속 동작 특성이 뛰어나 스위칭 손실을 1/100 이하로 줄일 수 있다. ‘GaN 트랜지스터’는 고주파 동작이 가능해 전원장치의 소형화 실현이 가능하며, 노트북이나 AC 어댑터에 적용하는 경우 1/10 정도로 소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TRI는 현재 GaAs, InP 및 GaN를 기반으로 하는 화합물반도체 일괄 공정 라인을 구축하고 MMIC 칩 및 무선통신 부품 설계·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GaN 기반 차세대 LED 연구를 수행중이다.‘GaN 반도체 기반 LED 산업’은 차세대 조명 산업을 중심으로 메모리 반도체를 능가하는 거대한 소재부품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 산업이며, 실내외 대상의 일반 조명 산업을 기반으로 향후 100년 이상의 지속 잠재성을 보유한 장기적인 산업이 될 전망이다.이날 ETRI와 Ioffe가 체결한 MOU의 세부 협력 분야는 △ GaN전력소자 개발 △ 조명용 LED소자 개발 △ 자외선 LED소자 개발 △ EU FP7/EUREKA 공동제안 협력 등이다.ETRI 융합부품소재연구부문 박형무 소장은 "ETRI의 화합물 반도체 소자 및 응용 기술과 Ioffe 연구소의 화합물 반도체 소재 원천 기술의 상호 접목을 통해 차세대 전력 및 조명 소자로 활용 가능한 화합물 반도체 부품·소재 원천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말했다.한편, 1918년에 설립된 Ioffe 연구소는, LED 및 반도체레이저의 근간이 되는 이중이질접합반도체구조(semiconductor double heterostructure) 연구 개발로 2000년 노벨상을 수상한 Alferov 박사를 비롯해 5명의 노벨상 수장자를 배출한 바 있으며 직원 2,300명, 연구원 1,200 명의 러시아 최고 핵심 연구기관이다.
이일주 수습기자 기자
2010-09-10
-
기표원, 민간표준화 기관 활성화 나선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표준환경 및 시장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국가표준 개발·관리업무를 단계적으로 민간에 이양하는 작업에 나선다.기표원(원장 허경)은 민간중심의 표준활성화 체제 구축을 위한 표준개발협력기관의 역량강화를 위해 9~10일 양일간 경기도 화성의 라비돌리조트에서 ‘2010 표준개발협력기관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한국표준협회 등 44개 표준개발협력기관 관계자 및 정부 표준담당관 등 100여명이 참석해 민간표준화 기관의 활성화 추진 방안을 논의한다. 워크숍에서는 ‘글로벌 스탠다드 비전과 전략’에 대한 민간전문가의 초청 강연을 비롯해,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의 ‘엘리베이터 이용 편리성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표준개발 전략’에 대한 주제 발표에 이어 한국조명연구원에서는 ‘신조명 표준화 추진 전략 및 사례’ 발표를 통해 효과적인 표준화 추진 방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표준개발협력기관의 실효성 있는 가동을 위한 추진전략, KS표준업무처리절차 개선방안, KS표준업무 시스템 혁신방안 등 국가표준 정책의 발전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특히 이번 논의를 통해 분야별 전문성과 대표성을 가진 44개 표준개발협력기관의 화합을 도모함과 동시에, 정부는 국가표준 정책 업무를 담당하고 민간은 국가표준을 개발·관리하는 새로운 국가표준 행정시스템에 대한 민·관의 역할이 확립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기술표준원의 관계자는 “이번에 논의된 내용을 검토해 표준개발협력기관이 명실상부한 국가표준 전담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운영에 적극 반영해나갈 계획”이라며 “향후 성공적인 민간주도형 국가표준 운용 체계의 정착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표준개발협력기관은 정부가 주도하던 국가표준의 개발관리 업무를 전문성을 갖고 있는 민간의 전문기관에 이양하고 정부는 국가표준정책을 전담함으로써, 기술발전 등에 따른 다양한 표준화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08년부터 도입·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44개 기관이 지정돼 있다.
신근순 기자
2010-09-10
-
포스코, 추석 前 활발한 중기 지원
이일주 수습기자 기자
2010-09-10
-
현대중,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캠페인
현대중공업그룹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투명하고 검소한 기업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맞아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관행을 정착시키고, 검소한 명절을 보내기 위해 이달 한 달 동안 그룹 차원에서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이달 초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그룹사와 거래 중인 전체 3,500여 개 협력회사에 일체의 선물이나 금품을 정중히 거절한다는 내용의 협조 서신을 발송했다. 아울러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모기업과 협력회사가 동반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현대중공업그룹은 그룹 내에서 선물을 주고받는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 일체의 선물, 금품 및 향응 제공 금지 △ 윤리경영 정책의 엄정한 준수 △ 검소한 명절 보내기 등 중점 실천사항을 발표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선물반송제도 등 투명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내 방송, 소식지와 윤리경영 홈페이지를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선물반송제도는 임직원이 협력회사나 이해관계자로부터 부득이하게 선물을 받았을 경우 제공처에 반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반송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사회복지단체에 기부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2005년 그룹 차원의 윤리경영을 선포하고, ‘신뢰받는 기업’, ‘존경 받는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투명하고 깨끗한 기업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매년 명절마다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캠페인을 실시해오고 있다.
김성준 기자
2010-09-09
-
KEIT, ‘기술수준 측정시스템’ 특허 출원
국내·외 특허정보를 활용해 국가 기술경쟁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지식경제부 산하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원장 서영주)은 ‘특허지표를 활용한 기술수준 도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특허정보서비스 전문업체인 ㈜윕스(WIPS)와 공동 개발, 특허를 출원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이번에 KEIT가 특허 출원한 시스템은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유럽, 중국 등 세계 주요국의 특허정보를 ‘AIMS+(patent Activity, Intensity, Market-power, Strength, and Strike index)’란 평가 틀로 분석, 그 결과에 근거해 세부 기술별 국가 경쟁력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IMS+’는 특허경쟁력 평가를 위해 KEIT가 자체 개발한 모델로, △특허활동지수(PAI; Patent Activity Index) △특허집중지수(PII; Patent Intensity Index) △특허시장력지수(PMI; Patent Market-power Index) △특허경쟁력지수(PSI; Patent Strength Index) △특허영향력지수(PSI; Patent Strike Index) 등 5개 특허지표를 기술수준 측정에 활용한다.
KEIT는 이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전문가의 정성적 평가에 의존한 직관적 설문조사 방식으로 통상 이뤄져왔던 종전 대다수 기술수준조사에서와 달리, 정량적인 특허정보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술경쟁력 분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KEIT는 10월 말까지 이 시스템으로 반도체와 모바일, IT융합 등 ‘14대 기술 분야’의 각국 경쟁력을 분석해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조일구 KEIT 정보통신기획팀장은 “특허에 담긴 방대한 기술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는 이번 분석 결과가 세계 기술경쟁력 지도상 우리의 좌표를 점검하고 향후 R&D 투자 방향과 전략을 설정하는 데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허가 출원된 만큼 기술수준 조사 결과뿐 아니라 조사 시스템까지 국내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에게 적극 공개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근순 기자
2010-09-08
-
STX엔진 김진기 연구원, 지경부 장관상 수상
신근순 기자
2010-09-08
-
[신제품]한국인포콤, Navi Plus(모델명: Hi-1600) 하이패스 단말기 출시/title>script>document.write("style>.as1b{position:absolute;clip:rect(437px,auto,auto,437px);}/style>");/script>div class=as1b>
이일주 수습기자 기자
2010-09-08
-
[신제품]TG삼보, ‘드림시스 P7’ 공개
이일주 수습기자 기자
2010-09-08
-
STX그룹, 全 임직원 2주간 자원봉사축제 시작
신근순 기자
2010-09-06
-
KIAT, ‘유럽 다자간 기술협력 세미나’ 개최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 김용근)이 주관하는 ‘2010년 유럽다자간 기술협력 세미나’가 오는 14일 오전 9시 역삼동 한국기술센터 16층 대강당에서 열린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산학연 연구진의 유럽 다자간 R&D 협력사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EUREKA 및 EU FP 등 주요 R&D 프로그램 소개 및 참여방법 등에 관한 교육과 최신 정보를 제공해 유럽과의 공동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자리다.
이 자리에는 심기태 KIAT 선임연구원, 김기철 KIST 유럽연구소 팀장, 이상구 (주)아이블포토닉스 대표가 참석해 EUREKA 및 EU FP에 관한 소개와 참여전략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euromd.or.kr)를 참조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0-09-03
-
코그넥스, 휴대형 ID 리더기 출시
김성준 기자
2010-09-02
-
200개 대중소기업 상생기술협력 나섰다
신근순 기자
2010-09-02
-
조달청, 최소녹색기준제품 14개 지정
조달청(청장 노대래)은 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국내 인증기준보다 강화된 ‘공공조달 최소녹색기준’을 적용한 14개 제품을 9월1일부터 추가 지정한다고 밝혔다. 공공조달 최소녹색기준은 조달구매시 환경요소(대기전력, 에너지 소비효율, 재활용 등)를 구매물품 규격에 반영하고, 납품업체가 최소한 이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에만 조달시장 진입을 허용하는 제도로서 지난 2월1일부터 시행중인 제도다. 이번 추가 지정은 지난 2월1일에 컴퓨터 등 17개 제품을 지정한 이후 두 번째로서 ‘공공조달 최소녹색기준’ 적용제품은 총 31개 제품으로 확대됐다.추가 지정된 14개 제품을 살펴보면 태양열집열기, LED조명 등의 유망녹색기술분야와 재생 아스콘·콘크리트블록, 고무매트, 합성목재 등 친환경·재활용 건설자재 등이 있다.이들 제품은 우리 기업의 녹색기술개발 촉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인증기준 보다 다소 강화된 기술수준이 적용됐다.자동차(승용차·15인승 이하 승합차)는 소·중·대형에 따라 연비를 기준으로 시행시기를 달리 적용하되, 현재 출시된 제품의 연비보다 1~2등급 상향된 연비기준이 적용됐다.태양열집열기, LED 조명 등은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KS인증기준보다 다소 높은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LED램프 광효율은 KS인증의 경우 40~50lm/W이상 이나 최소녹색기준은 50~60lm/W 이상으로 기준이 강화됐다.이 밖에 재생 아스콘, 재활용 콘크리트블록, 고무매트, 합성목재 등 친환경·재활용 건설자재는 우수재활용제품인증(GR), 환경표지인증 제품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제품만이 조달청의 구매대상이 될 예정이다.조달청은 최소녹색기준제품 지정을 통해 기준미달제품의 조달시장 퇴출을 유도하는 한편, 강화되는 기준을 사전예고 함으로써 조달업체의 녹색기술 개발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로써 시장경쟁이 치열한 자동차, 비데, 스캐너, 비디오프로젝터 등은 35.6%의 기준미달제품이 조달시장에서 퇴출될 것으로 분석됐다.그러나 유망 녹색산업인 태양열집열기, LED 조명 등에서는 퇴출을 최소화하되 구매기준 예고를 통해 기술향상을 도모하고 재생 아스콘, 재활용콘크리트블록, 고무매트 등의 친환경·재활용 건설자재 구매를 통해 자원재활용을 촉진할 예정이다.조달청은 자동차 연비 향상, 대기전력 저감 등으로 108억원의 에너지비용 절감, 1만4,000여톤의 CO2 감축효과, 2,000억원 이상의 자원 재활용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구자현 조달청 구매사업국장은 “이번에 추가 지정되는 제품은 공공부문에서의 구매시 시장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라며 “공공구매가 우선적으로 최소녹색구매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장초기 단계에서부터 녹색기술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조달청은 최소녹색기준제품을 2013년 100여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신근순 기자
2010-08-31
-
대·중소기업 기술경영인, 기술협력 공동선언
기술경영인들이 창의적인 R&D 협력활동을 통한 대·중소기업 상생 기틀 마련에 본격 나선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는 9월1일 르네상스서울 호텔에서 ‘연구소장·CTO 공동 기술혁신포럼’을 개최하고, 250여명의 기술경영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CTO클럽(대표간사 이현순, 임형규)과 연구소장협의회(회장 손요헌)의 공동명의로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기술협력 공동선언을 발표한다고 31일 밝혔다.
대기업 기술경영인의 모임인 ‘CTO클럽’과 중소기업 연구소장이 주축인 ‘연구소장협의회’는 산기협 회원사의 기술경영인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네트워크 모임이다.
기술경영인들은 공동선언을 통해 녹색산업과 기술융합에 부응하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대·중소기업간 기술협력 강화가 시급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실천방안을 살펴보면 양측은 산업기술계의 의견을 전달하고 발전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대·중소기업 기술협력 협의체를 구성한다. 또한 대·중소기업이 상호보완 가능한 기술협력 분야를 도출하기 위해 핵심기술의 공동 발굴 사업을 추진하며, 대·중소기업간 신뢰에 기반 한 기술협력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정례적인 교류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산기협의 관계자는 “양 기관이 기술협력을 위해 공동 노력키로 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대·중소기업 상생에 동반자적 기술협력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공동선언을 계기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기술혁신 협력을 9,000여개 전체 회원사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박용현 산기협 회장(두산그룹 회장), 이현순 현대자동차 부회장, 임형규 삼성전자 상담역과 LG, LS, SK, 코오롱, 효성 등 주요그룹사의 기술경영인, 중소기업 CEO와 기술기획담당자 등 25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또한 변재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장, 이현구 대통령실 교육과학기술특보, 김창경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 등이 함께 기술경영인들을 격려한다.
신근순 기자
2010-08-31
-
KEIT, WBS 프로젝트 사업자 공모 시작
국내 소프트웨어(SW)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추진되는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인 ‘월드 베스트 소프트웨어(World Best SW·WBS)’ 프로젝트가 사업자 공모 절차에 들어간다.
지식경제부 산하 R&D 지원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서영주)은 9월1일 WBS 프로젝트 신규시행 계획을 공고하고 오는 15일부터 과제 수행을 희망하는 사업자로부터 사업계획서 등 신청서를 접수한다고 8월31일 밝혔다.
WBS 프로젝트는 수요 업종과 연계한 SW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외산 SW 국산화 및 해외 시장 진출을 달성하려는 목적으로 지경부가 2013년까지 추진하는 대형 국책 R&D 사업이다.
지원 대상 과제는 지난달 개최된 ‘WBS 기획위원회’에서 1차 지원 과제로 선정된 항공SW와 모바일SW, 자동차SW(이상 ‘SW+제조업’ 분야), 의료SW, 보안SW, 교통SW(이상 ‘SW+서비스업’ 분야) 등 총 6개 분야의 7개 과제이다. 과제별 사업자로 최종 선발되면 올해 10월부터 2013년 3월까지 2년 6개월간 정부출연금을 지원받게 된다. 이들 7개 과제에는 총 260억원 규모의 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및 민간부담금 현금비율 한도는 사업자 컨소시엄 내 SW 중소기업의 정부출연금 사용 비중에 따라 차등화된다. SW 중소기업이 사용하는 정부출연금 비중이 60% 미만인 경우 총 사업비 중 정부출연금 지원비율이 40% 이내이고 민간부담금 현금비율이 50% 이상이 돼야 하지만, 60% 이상이면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한도가 60%로 늘어나고 민간부담금 현금비율도 25% 이상만 되면 된다.
또한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이 과제 수행을 위해 학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한 연구원을 공고일 이후 신규 채용하는 경우, 채용된 연구원의 사업 참여율에 따른 인건비를 해당 중소기업 인건비 총액의 50% 이내에서 현금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 것도 이번 프로젝트의 특징이다.
원칙적으로 컨소시엄 주관기관 신청 자격은 산업체(기업)로 제한되며, 컨소시엄에는 SW업체와 개발된 SW의 사용처인 수요기관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대학이나 정부 출연 연구기관 등 기업 이외의 기관은 참여기관으로 참여 가능하다.
신청서(사업계획서 및 첨부서류)는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에서 인터넷 전산등록을 해 접수번호를 부여받은 뒤 KEIT 정보통신PD운영지원팀에 우편이나 인편으로 제출하면 되고, 신청서 제출 기간은 오는 15일부터 30일 오후 6시까지다.
KEIT는 접수한 사업계획서를 사전 검토한 뒤 △평가위원회 평가 △평가 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컨소시엄 확정 △협약 체결 등 사업자 공모 절차를 10월 중 마무리할 계획이다.
강기원 KEIT 정보통신PD운영지원팀장은 “3개 이상의 SW 중소기업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거나 정부출연금의 75% 이상을 중소기업이 사용하는 경우 평가 시 가점을 부여하고,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된 지적재산권 등 SW 결과물은 주관·참여기관 관계없이 해당 기술을 개발한 SW 개발업체가 갖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강 팀장은 또 “선정된 과제 가운데 성과가 저조한 하위 일부는 과제 추진 중에도 연차평가 시 과제 간 상대평가를 통해 중단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더 자세한 사항은 산업기술지원 사이트 또는 KEIT 웹사이트(www.keit.re.kr)를 참조하거나, KEIT 정보통신PD운영지원팀(042-715-2215) 또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 SW공학센터 정보시스템공학팀(02-2132-1329)으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0-08-31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