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친환경정책 세계도시 알린다
서울특별시는 서울시의 친환경정책 등에 대해 도시마케팅을 추진한다.
아울러 KOTRA와 협력해 벤쿠버환경전시회에 상담부스를 설치해 공기정화기술업체인 산돌기술(주) 등 녹색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을 지원한다.
이번 서울시 우수정책 마케팅과 중소기업통상 지원을 하게 된 배경은 국제사회에서 서울의 친환경 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GLOBE재단과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 주정부에서 ‘벤쿠버환경전시회(GLOBE 2010)’에서 지속적인 참여요청이 있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시는 ‘제5차 세계도시포럼(리오데자네이루)’과 ‘제11차 벤쿠버환경전시회(GLOBE2010)’에서 UN-HABITAT 특별상을 수상함에 따라 UN-HABITAT에서 우수사례를 세계에 널리 알릴 것을 요청해 이뤄졌다.
서울시가 소개할 친환경 정책 마케팅 주요 대상사업은 △OLEV(On-Line Electric Vehicle)·전기버스 등 그린카 프로젝트 △IT연계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Seoul TOPIS (Seoul Transport Oper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등이다.
또 친환경에너지를 담은 탄소중립도시 마곡지구개발 사례(Climate Positive 개념도입)와 CCI(클린턴기후재단)에서 세계최고 수준이라고 평가된 건물에너지합리화 사업(Building Retrofit Project), 전기, 가스, 수도 사용절약으로 온실가스감축을 시민과 함께 추진하는 에코마일리지 제도(Eco-mileage), 세계적으로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쓰레기분리수거에 의한 자원순환(Urban Mining Project)시스템 등도 소개한다.
서울시 권혁소 맑은환경본부장은 “이번 박람회를 통해 서울시의 우수정책이 타 도시에 전파돼 각 도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고봉길 기자
2010-03-23
-
폐금속 재활용 활성화 본격 추진
박진형 기자
2010-03-22
-
폐형광등재활용 재활용률 ↑
박진형 기자
2010-03-22
-
신용카드로 이웃사랑 ‘에너지기후변화카드’
김성준 기자
2010-03-22
-
에관공-기은, ‘中企 녹색성장’ 협력
김성준 기자
2010-03-22
-
환경공단, 매립가스 CDM 사업 UN 등록
고봉길 기자
2010-03-21
-
한화, 목포 매립가스 발전사업 CDM 등록
한화 무역부문이 추진하고 있는 목포시 매립가스 발전사업을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사업으로 UNFCCC(유엔기후변화협약)에 등록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52차 CDM 집행위원회(Executive Board)회의를 통해 정식 등록이 최종 확정됐다. 이 사업은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에 위치한 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포집해 2MW용량의 발전기를 가동해 연간 1만M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통해 연간 약 2만6,000톤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이는 1,600가구의 전력 사용에 의한 이산화탄소량에 해당하는 양으로, 온실가스 저감을 인정받는 사업기간은 총 10년이다. 한화는 지난 2006년부터 자사 질산공장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일종인 N2O(아산화질소)를 감축하는 CDM사업을 시작으로 국내외 탄소배출권 거래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 국내기업 최초로 유럽 국가 내 탄소배출권 보유계좌를 직접 개설해 운영 중이다. 현재 확보된 탄소배출권 양은 2012년까지 약 110만톤가량(CDM 등록된 사업 기준)이며, 동년까지 추가 200만톤 가량의 물량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기후변화 시장에 더욱 더 적극적으로 진출하기 위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탄소배출권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추진을 강화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의 사업들을 개발 중에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산림사업, 우드펠릿 생산 및 바이오매스 발전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한화 관계자는 “이러한 CDM 프로젝트 개발 및 배출권 거래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경험 및 해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국내 기후변화시장의 선두주자가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
박진형 기자
2010-03-17
-
에관공, 베트남 CDM인증 30% 점유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 이태용)은 공단이 CDM운영기구로서 평가를 수행한 ‘Nam Khoa 3 수력발전’ CDM사업이 최근 UN으로부터 등록 결정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UN에 등록된 22번째 베트남 CDM사업으로 연간 7만4,265 MWh의 전력을 생산하고, 4만6,290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여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는 사업이다.
특히 공단 온실가스검증원은 이번 등록으로 베트남 내에서 등록된 총 22건의 CDM사업 중 6건(풍력 1건, 수력 5건)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등록시키며 30%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게 돼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 등 해외에서도 CDM사업 인증 전문성을 널리 인정받게 됐다.
온실가스검증원 이재훈 원장은 “금번 UN등록으로 에너지관리공단 온실가스검증원의 명성이 이제 해외에서도 널리 알려지게 됨으로써 앞으로 공단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최근 UN CDM집행위원회의 CDM사업 등록여건이 강화되고 지적건수가 급증하는 만큼, 지속적으로 인증 전문성을 제고해 에너지관리공단 온실가스검증원의 심사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단은 지난 2005년 국내 최초로 UN으로부터 전 세계 CDM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CDM운영기구로 지정받은 후, 현재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15개 검인증 전 분야를 평가하고 있으며, 이번 사업을 포함해 총 24개 사업을 UN에 등록(국내 13건, 베트남 6건, 중국 3건, 몽골 2건)하는 실적을 거두고 있다.
김성준 기자
2010-03-16
-
CT&T, CMS 통해 우회상장
전기자동차 전문메이커 ㈜씨티앤티(CT&T)가 코스닥 상장회사인 ㈜씨엠에스(CMS)에 흡수합병되며 코스닥시장에 우회상장된다.CMS(대표이사 강신욱)는 16일 공시를 통해 “CT&T(대표이사 이영기)를 흡수합병함으로써 사업다각화를 통한 매출증대와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기반으로 경쟁력 강화 및 경영의 효율성 제고를 실현해 지속적인 성장을 함으로써 주주가치의 극대화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CMS와 CT&T의 합병비율은 1 : 59.7045720이며 CMS는 다음달 28일 주주총회를 통해 합병을 논의할 계획이다. 합병기일은 5월31일이며 신주 상장예정일은 6월28일이다.합병이 완료되면 회사의 최대주주는 CT&T의 이영기 대표이사가 된다.CT&T는 국내 유일의 전기차 양산업체로서 국내외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 속에 최근 미국에 104대의 전기차를 수출하며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이다. 이에 CT&T는 최근 엑큐리스, 제이튠엔터, 지앤디윈텍 등과 우회상장이 거론될 때마다 관련 주식이 요동치게 만들었다. 지난해 매출액은 341억원, 당기순이익은 18억5,300만원을 기록했다.CMS는 할인쿠폰 등을 유통하는 마케팅 사업과 HDTV, 셋톱박스, 계측기 등을 개발 제조하는 정보통신사업을 하는 기업으로서 지난해 매출액 239억원, 영업이익 6억4,768만원과 6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한편 CMS는 지난15일 공시를 통해 CT&T 이영기 대표와 최근 최대주주로 올라선 튜브사모투자전문회사제2호를 상대로 190억원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키로 결정하는 등 M&A를 대비한 자금을 확보 중이다.코스닥시장본부는 CMS를 상대로 우회상장여부 및 요건충족확인을 위해 16일 오전7시10분부터 주권매매거래정지를 걸었다.
신근순 기자
2010-03-16
-
충남도, 10대 녹색성장 달성 정책사업 추진
21세기 지속성장코드로 녹색성장(green growth)이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내달 14일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녹색법)’ 시행을 앞두고 충남도에서는 지방차원의 녹색성장 중장기 프로젝트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충남도의 녹색성장 중장기 프로젝트의 조기완성은 녹색성장의 관건이 국가나 정부 보다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녹색성장의 비전을 “환경과 성장이 조화로운 충남”에 두고 비전달성을 위한 3대 전략으로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 자립 △녹색기술산업의 신성장동력 창출 △건강하고 행복한 녹색생활문화 조성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충남도는 또한 녹색성장 달성의 10대 정책사업으로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탈석유 및 에너지 자립강화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녹색기술의 경쟁력 강화 △산업의 녹색화와 녹색산업 육성 △녹색산업 구조 고도화 △녹색 경제기반 구축 △녹색도시·건축·교통 만들기(3G구현) △녹색생활 실천문화 확산 △녹색마을 조성 및 생태관광 활성화를 추진키로 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오는 2020년까지 도내 온실가스 30% 감축을 위해 부문별 감축 마스터 풀랜 수립과 탄소 배출권 거래소(43개소)를 운영하며,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을 0.2%(2007년 기준)에서 오는 2015년까지는 1% 까지 확대하고, 탄소나무 10억그루를 심기로 했다.
또한 충남도는 녹색기술의 4권역별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북부권에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서해안권은 태양열과 지열 △내륙권에는 바이오 매스 △금강권에는 소수력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그린카, 치세대에너지(연료전지), 유망 녹색기업 육성(80개 업체) 등 5대 주력산업을 집중 육성키로 했다.
아울러 범도민녹색생활 실천을 위해서 집단에너지시설 설치, 녹지공간확충 등 전국최고의 에너지 저소비형 도청 신도시를 건설하며, 그린 Home 1만호 보급과 탄소 중립마을 20개소를 조성하고, 자전거 도로(915km)를 확충(보급 20%)해 자전거 타기 좋은 충남을 만들기로 했다.
충남도의 관계자는 “미래의 성장동력인 녹색산업은 화석 에너지 고갈과 기후변화심화라는 문명사적 위기감과 세계적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사업으로 단기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미래의 먹을 거리를 준비하는 과정”이라면서 “명실상부한 녹색성장의 열매를 따기 위해서는 자가용 보다는 버스와 자전거 타기를 실천하는 등 보이지 않는 곳에서부터 삶의 방식을 녹색으로 바꾸려는 도민들의 적극적인 노력”를 당부했다.
한편 충남도는 녹색성장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지난해 11월 “녹색성장위원회”를 출범하면서 기획관리실장을 녹색성장 책임관 으로 지정하고 총괄팀(3명)을 운영해 녹색성장의 정기적 이행실태점검과 발전계획 수립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엄태준 기자
2010-03-16
-
LG전자, 올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 610만 톤
LG전자가 올해 온실가스를 610만톤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저감한 온실가스 570만톤을 7% 증가한 수치이다.LG전자(대표 남용, www.lge.co.kr)는 올해 온실가스를 사용단계 600만 톤, 생산단계 10만 톤 등 총 610만톤 감축한다고 지난 15일 밝혔다.이러한 감축량은 서울시 12배 면적(약 7,200㎢)에 잣나무 묘목 20억 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온실가스 감축 1톤당 323그루 효과) LG전자는 지난해 초 온실가스 감축 중장기 목표를 세우고 2012년까지 연간 1,200만톤, 2020년까지 연간 3,000만톤, 누적 2억톤을 감축키로 한 바 있다. LG전자는 올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생산단계와 사용단계로 나눠 감축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생산단계에서 공정 혁신을 통해 공정에너지를 저감한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공장에서 지역 생활 폐기물 소각장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폐열 회수시스템, 공장의 공조 시스템 효율화를 위한 직배기 설치 등 고효율 설비투자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온실가스 감축실적과 목표관리를 할 수 있는 기업탄소관리시스템(CCMS: Corporate Carbon Manage System), 국내 업계 처음으로 도입한 실시간 탄소 배출량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 IT투자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국내외 온실가스 제3자 검증으로 온실가스 관리 프로세스 강화, 데이터 신뢰도 향상, 낭비제거를 통한 저감기회 발굴이 가능하게 된다. LG전자 관계자는 “지난 2월 에너지관리공단에서 국내기업 최초로 해외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제3자 검증을 받아 전 세계 사업장 검증이 탄력을 받게 됐다”며 “체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 잠재량 분석으로 올해 감축 목표량을 달성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LG전자는 제품 사용단계에서만 지난해 감축량인 540만 톤보다 11% 늘어난 600만 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전자는 제품별 에너지 기술로드맵(TRM: Technology Road Map)에 따라 고효율 모델 비중을 점차 늘려 감축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제품별로 보면 LG전자는 에어컨 제품군에서 북미의 우수 에너지효율 인증인 ‘에너지스타’ 인증 모델을 늘리고, 냉장고에서는 고효율 리니어 컴프레서 기술을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또 TV분야에서는 에너지 절약 소프트웨어들을 개발하고 LED 모듈, 저전력 LCD 모듈 등 에너지 저감 기술을 확대하기로 했다. LCD모니터에서도 저전력 구현이 가능한 백색 LED 모듈 채용을 늘리기로 했다.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백우현 사장은 “지난해 전사적인온실가스 감축 노력으로 목표를 50% 이상 초과 달성했다”며 “올해도 기술개발과 전 임직원의 노력으로 목표를 초과 달성해 2020년 감축목표를 조기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LG전자는 기후변화 분야 세계최고 권위의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한국위원회(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한국위원회)로부터 한국기업 가운데 기후변화 대응을 가장 잘하는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박진형 기자
2010-03-16
-
폐광산, 광해방지사업 시급
폐광산 주변 조사결과 95%에 달하는 광산이 오염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광산 2km 이내에는 주민 5만6,000명이 거주하고 있어 광해방지사업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환경부는 폐광산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폐금속광산 주변지역에 대한 토양·수질오염실태를 정밀조사 한 결과, 지난해 조사한 110개 광산 중 95%인 105개 광산이 토양·수질기준을 초과했다고 12일 밝혔다.특히, 전체광산 중 56%인 61개 광산은 토양오염대책기준을 초과하는 등 오염정도가 심각하여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이번 오염실태 정밀조사는 폐금속광산 주변의 토양, 수질(하천수, 지하수, 갱내수) 분야에 대해 이뤄졌다. 조사결과 토양 97개 광산, 수질 49개 광산이 환경기준을 초과하였고, 이 중 43개 광산이 토양․수질이 복합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토양의 경우 갱구로부터 4km 이내의 농지, 임야 등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됐다. 오염물질별로는 니켈(64개소, 58%), 비소(49개소, 45%), 아연(43개소, 39%), 납(27개소, 25%), 카드뮴(19개, 17%), 구리(12개, 11%), 수은(1개소, 0.5%) 순으로 검출됐다.폐금속광산 인근에 대한 수질 조사결과 하천수는 34개 광산에서 납, 카드뮴, 비소 및 시안 등이 하천수 수질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을 초과했다. 지하수는 23개 광산에서 수소이온농도, 비소, 카드뮴, 납, 아연, 6가크롬이 지하수 수질기준을 초과했으며 이 중 17개 광산은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줬다.이번 조사결과 오염이 확인된 105개 광산 중 오염이 심각한 광산은 연화(봉화), 학영(예산), 다덕1(봉화), 보성(가평), 대두(정읍), 거도(영월), 청월(보성) 등 7개 광산이었다. 특히 연화광산은 아연과 납이 각각 토양오염우려기준의 56배, 58배로 최고치를 보였고, 다덕 1광산은 비소가 기준치의 155배까지 초과하는 등 오염이 심각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의 후속조치로 오염이 확인된 광산인근 지역 거주주민 등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오염피해의 확산을 차단․방지하기 위해 지식경제부에 토양복원 등 광해방지사업의 조속한 시행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광해방지사업이 조속히 시행될 지는 미지수다. 지난 2년간 오염이 확인된 광산 179개소 중 광해방지사업이 추진되거나 완료된 광산은 21개소에 불과하고, 복원이 시급한 광산도 34개소 중 12개소에서만 광해방지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환경부의 관계자는 “향후 오염이 확인된 광산에 대해서는 광해방지사업 등의 적정시행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올해부터는 중금속 용출우려가 큰 전국 341개 폐석탄광산에 대해서도 토양․수질오염실태를 조사하는 등 폐석탄광산에 대한 환경관리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0-03-15
-
세계 최초의 탄소배출 제로 건물 착공
국립환경과학원은 업무용 건물로는 세계 최초로 자연에너지(태양열·광, 지열), 자연채광·슈퍼단열 등 총 66가지 기술을 사용해 건물내에서 에너지를 자립하는 탄소배출 제로 건물인 기후변화연구동(연면적 2500㎡ 규모)을 신축한다고 발표했다.
건물 신축을 위한 착공식은 3월15일 과학원 내 부지에서 환경부장관, 기후변화학회장, 관련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될 예정이다.
과학원 내 규모·성격이 유사한 기존 연구동을 모델로 에너지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후변화연구동의 에너지 사용량 및 적용 기술별 에너지 절감량을 예측한 한 결과, 신축 기후변화연구동의 총 에너지 부하는 평방미터당 123.8 kWh이며 연구동의 년간 총 에너지 사용량은 23만5,220 kWh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가구의 70가구가 사용하는 에너지양에 해당 된다.
이 건물은 자연채광, 슈퍼 단열, 기밀화시공 등 건물 에너지부하 절감 기술(패시브 기술)로 총 사용 에너지의 40 %를 절감하고, 태양열·광, 지열 등 자연에너지 기술(엑티브 기술)로 60 %를 절감함으로써, 탄소제로화를 구현했다.
이 연구동은 2층 건물로써 연구실, 국제회의실, 전시홍보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탄소배출 제로 건물을 올해 완공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상징적 건물로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대국민 홍보·교육에 활용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 의식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에너지부하 모니터링 등을 통하여 건물의 탄소제로화 및 저탄소화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등 탄소배출 제로 건물 확대 보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봉길 기자
2010-03-14
-
국내기업, 기후변화 경쟁력 ‘바닥’
기후변화에 대한 기업의 경쟁력이 36점으로 바닥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 (이사장 손경식)과 에너지관리공단이 지난해 말 1,738개 에너지다소비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업계 기후변화 경쟁력지수(Korea Climate Change Index ; KCCI)’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기업들의 기후변화 경쟁력이 100점 만점에 평균 36.3점으로 집계됐다.
기후변화경쟁력지수는 기후위험, 기후성과, 시장기회, 정책협력 등 총 4개 부문, 15개 문항을 조사해 문항별 점수를 가중평균하여 구한다. 문항별 점수는 목표치(측정결과의 상위 95% 수준)에 얼마나 근접하는지를 0에서 100까지 점수로 환산한 값이다(100에 가까울수록 경쟁력이 높은 것).
부문별로, 기후변화를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 ‘시장기회’ 점수는 19.3점,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협력을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책협력’ 점수는 25.2점, 기후위험을 줄이기 위한 실제적인 투자를 나타내는 ‘기후성과’ 점수는 27.4점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상의 관계자는 “국내기업들이 기후변화로 창출되는 신규시장인 CDM(청정개발체제), 탄소펀드 투자에 소극적임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밝히고 “아울러, 탄소정보 공개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은 정책협력 점수를 낮춘 원인”이라고 말했다.
반면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능력을 나타내는 ‘기후위험’ 점수는 72.6점으로 다른 부문보다 월등히 높게 나왔다. 이 같은 결과는 기업들이 지난해 어려운 경제여건에도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기후경영방침을 시행하거나 수립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79.0%를 차지하고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한 사업장 비율이 68.9%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금속 39.5점, 제지목재 36.7점 , 식품 35.9점 , 화공 35.4점 등으로 다소 점수가 높았다. 업종별 우수기업은 삼성전기, 고려제지, 씨제이 제일제당, 아모레퍼시픽, 코오롱, 삼성코닝정밀유리, 한국동서발전 등이 선정됐다.(금속, 제지목제, 식품, 화공, 섬유, 요업, 발전 순)
지속가능경영원 관계자는 “매출액 규모가 클수록 점수가 높게 나왔다”면서 “중소기업의 기후변화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온실가스 저감실적을 향상시키고, 시장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민·관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술적 경제적 부담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에게 대기업이 기술·자금을 투자·지원하고, 온실가스 감축으로 발생된 탄소배출권으로 투자비를 회수하게 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후변화 경쟁력 지수가 에너지 사용량 신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되어 정확성이 높고, 우리 기업실정에 적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이 지수가 기업의 녹색경영 평가와 탄소정보 공개방식의 기본 틀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산업계는 판단하고 있다.
엄태준 기자
2010-03-10
-
대구시, 녹색성장 이끌 그린홈 지원사업 추진
고봉길 기자
201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