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자협, E·핵심광물 확보 중추 역할 수행
유혜리 기자
2024-02-26
-
롯데케미칼, 소재 개발 강화 AI 조직 신설
롯데케미칼이 스페셜티 소재 사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소재 R&D를 강화한다.롯데케미칼은 기초소재사업과 첨단소재사업 특성에 맞춘 별도의 AI 조직을 신설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취임한 이훈기 총괄대표는 임직원들에게 전달한 신년 메시지를 통해 “생성형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회사 운영의 전 영역에서 업의본질적인 가치를 향상시키고 효율성을 극대화 할 것”을 강조했으며, AI 기술 고도화 및 적용 범위 확장과 가속화를 위한 별도의 조직 신설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기초소재사업은 축적된 R&B 지식과 AI 융합을 통해 AI 연계 촉매, 제품 개발 및 품질 개선 등을 위해 대전 종합기술원에 ‘AI솔루션팀’을 신설했다. 관련부서에서 담당해오던 AI 업무를 통합하여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법 등을 활용해 제품 물성 개선, 촉매 특성 예측, 시뮬레이션 기반 반응기 설계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첨단소재사업은 제품 개발, 생산 및 글로벌 공급망 등 사업 전 분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식별하고, AI 기반의 해결책을 개발하여 효율성 개선 및 제품 품질 향상을 위한 전담 조직인 ‘AI 추진사무국’을 신설했다. 신설된 조직은 예측 설비유지보수, 최적 소재조합 시뮬레이션 등 현장에 필요한 AI기술을 도입하여 스페셜티 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계획 이다.롯데케미칼 이훈기 총괄대표는 “친환경 소재 트렌드, 수요자 중심으로의 환경 변화에 맞춘 고객 대응과 더불어 스페셜티 소재와 신사업 분야로의 전환 위해서는 AI 흐름에 뒤쳐져서는 안된다”며, “운영의 효율성을 통한 원가 경쟁력 강화와 함께 축적된 연구, 기술노하우를 빠르게 사업화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AI 기술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사업고도화를 위한 혁신과 차별화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희 수습기자
2024-02-26
-
산업부, 섬유패션 활성화 207억 지원
유혜리 기자
2024-02-23
-
동성화인텍, 한화오션 900억 LNG 운반선 보냉재 공급
유혜리 기자
2024-02-23
-
공주대, 극저온 자가 충전 수퍼캐퍼시터 개발
국내 연구진이 이차전지가 극복해야할 저온에서의 성능 저하 및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공주대 임진형 교수 연구팀이 친환경적 소재로 개질된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핵심 소재를 적용해 영하 80도의 극저온 환경에서도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확하고 저장할 수 있는 수퍼캐퍼시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저온 지역에서의 위기상황에서 극한 온도를 견딜 수 있는 효율적인 에너지원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에너지 저장장치로 꼽히는 이차전지의 경우, 온도가 감소할수록 전지 내부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리튬이온의 이동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급격한 에너지 및 전력 감소는 안정성 문제로 이어졌다. 더불어 현재까지의 극저온 에너지 수확 및 저장장치에 관한 연구는 초기 단계여서 성과가 미비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극저온 환경에서 기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 큰 장애로 여겨졌던 저온에서의 낮은 전하 이동도와 안정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 극한 온도에서도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자가 충전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을 제안했다.
시스템의 주 전극 재료로 사용된 개질된 사이클로덱스트린계 핵심 소재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면서 고효율로 동작할 수 있는 조선 신호를 발생하는 자가 구동형 소자를 시연할 수 있었다.
자가구동형 소자가 적용된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어 일반적인 인간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되는 에너지 수확·저장 기능의 수행도 가능하다.
연구진은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기에너지 발생·저장 소자는 극저온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동작 온도의 범위를 확대한 극한계 온도(영하 200도~ 영상 200도) 영역에서 동작하는 기능이 필요하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관련 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칼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2월15일 게재됐다.
고은희 수습기자
2024-02-23
-
세기원, SOFC 성능 2.8배 향상 전극소재 개발
고은희 수습기자
2024-02-23
-
KOMIR,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 민간 지원 강화
유혜리 기자
2024-02-22
-
나노조합, 홍순국 이사장 연임
유혜리 기자
2024-02-21
-
UNIST, 산화 능력 우수 금속-풀루오린 촉매 개발
유혜리 기자
2024-02-21
-
재료硏-원자력硏, 차세대원자로 소재 연구 맞손
유혜리 기자
2024-02-21
-
정부, 첨단 나노소재 연구개발 436억 투입
유혜리 기자
2024-02-21
-
세탁 가능한 웨어러블 OLED 개발
고은희 수습기자
2024-02-20
-
표준연, 나노 인체 독성 평가 오가노이드 배양법 개발
신근순 기자
2024-02-20
-
롯데케미칼-롯데정밀화학, 여수 헤셀로스 공장 준공
신근순 기자
2024-02-19
-
지질자원연-비츠로셀, 리튬일차전지 재활용 실증 ‘맞손’
신근순 기자
20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