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품연, 3D프린팅 전문인력양성 사업 지원 위촉연구원 모집
전자부품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 중인 ‘첨단 신소재 기반 3D프린팅 전문인력양성 사업’을 운영·관리하는 위촉연구원(비상근전문계약직)을 모집한다. 주요 업무는 △3D프린팅 전문인력양성 사업 운영지원 △과제 관련 실험 지원 데이터 입력 관리 △과제 관련 행사준비 △연구장비 운영 및 유지관리 △과제기획지원 △과제관리 및 협약 지원 등이다. 지원자격은 학부 4학년 이상으로 전기, 전자, 컴퓨터, 기계, 제어, 물리, 화공, 재료 등 직무관련 전공이면 된다. 채용접수는 전품연 홈페이지(www.keti.re.kr)내 비상근전문계약직 채용공고를 참조해 관련 서류를 이메일(ssyoung@keti.re.kr)로 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화(031-789-7724) 또는 이메일(shimsy@keti.re.kr)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20-06-03
-
대건테크·프로토텍 등 3D프린팅 서비스 바우처 공급사 선정
신근순 기자
2020-06-02
-
인천산학융합원, 항공우주 금속 3D프린팅 인력양성 교육생 모집
신근순 기자
2020-06-01
-
캐리마, 환자·의료진 코로나19 보호 3D프린팅 솔루션 선
신근순 기자
2020-06-01
-
맥스로텍, 산업용 금속 3D프린터 ‘DABO’ 라인업 확대
신근순 기자
2020-06-01
-
윈포시스, 휴벡셀과 美 의료용 금속 3D프린팅 시장 진출
신근순 기자
2020-05-29
-
산업부·중기중앙회·생기원, 우수 뿌리기업 발굴·지원 맞손
산업통상자원부가 차세대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마련을 앞두고 관련 단체와 우수 뿌리기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오후 3시, 시흥시 뿌리기술지원센터에서 성윤모 장관,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이낙규 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신용문 금형공업협동조합 이사장 등 각 뿌리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뿌리산업 협력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뿌리기업 등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대변하는 중소기업 중앙회와 뿌리기업에 대한 기술 지원과 인력지원을 하고 있는 생산기술연구원과의 최초의 공식적인 3각 협약이다. 이번 MOU에 따라 산업부는 차세대 뿌리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중소기업 중앙회는 올해부터 신설되는 소재부품장비 산학협력단 지원대상(2020년 200억)이 되는 뿌리기업을 발굴하고, 생산기술연구원은 뿌리기업 애로기술 해소 등 현장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소재부품장비 산학협력단 지원사업은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뿌리기술을 기반으로 뿌리기업이 겪고 있는 애로기술을 해소해주는 사업으로, 중소기업 중앙회에서 올해 6월까지 애로기업을 발굴하여 추천할 예정이다. 이날 표면처리, 금형 등 뿌리조합 이사장들과의 간담회에서는 뿌리업계의 다양한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뿌리조합 이사장들은 납품단가 조정 우수기업 인센티브, 뿌리산업 전문인력 교육센터 설립, 뿌리산업 지원체계 개선, 뿌리산업 전용 정책자금 지원 등 뿌리산업 발전 정책을 건의했다. 산업부는 이날 건의한 정책 중 교육센터 설립, 납품단가 조정 우수기업 인센티브 제공, 지원체계 개선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추진하고, 전용자금은 중장기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 또한 뿌리기업의 코로나19로 인한 단기적인 애로해소 방안과 함께 차세대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준비중이며, 업계 의견을 수렴하여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중기중앙회도 뿌리기업의 다양한 현장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이낙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뿌리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현장 지원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코로나 19 확산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국내 안정적 공급망 구축이 중요하며,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변화에 맞추어 뿌리산업의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근순 기자
2020-05-28
-
하나에이엠티, 3D프린팅용 알루미늄 분말 NET 선정
신근순 기자
2020-05-25
-
경남과기대-아론비행, 위그선 적용 금속 3D프린팅 부품개발
신근순 기자
2020-05-25
-
대한항공, 에어버스와 3D프린팅 부품 공동개발
신근순 기자
2020-05-25
-
현대차 스타트업 피엠쏠, 금속 3D프린팅 분말 사업 추진
신근순 기자
2020-05-19
-
창원대, 3D프린팅산업 전문인력 양성 교육 추진
신근순 기자
2020-05-18
-
“적층제조 경제성 확보, 금속분말 재사용 방안 마련돼야”
신근순 기자
2020-05-14
-
6년간 1조2천억 투입 의료기기 연구개발 본격 추진
신근순 기자
2020-05-13
-
중기부, 메이커스페이스 66개 선정
신근순 기자
2020-05-11
-
메이커봇, 메소드 X 3D프린터 엔지니어링급 소재 추가
신근순 기자
2020-05-08
-
태성에스엔이·스타코·링크솔루션,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사업 선정
방산·우주·車 등 3개 제조분야에 적용될 적층제조 부품 공정개발이 본격 추진돼 고부가 부품 개발과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지난 2월 공고한 ‘2020년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결과 △태성에스엔이 컨소시엄(참여기관: LIG 넥스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본부 등) △스타코 컨소시엄(이노스페이스, 생기원 대경본부 등) △링크솔루션 컨소시엄(덕양산업, 생기원 시흥센터 등)이 선정됐다.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은 경량화·일체화 등이 가능한 3D프린팅 기술로 항공·우주·車·방산·조선·발전·플랜트 등 7개 제조분야의 고도화에 기여할 부품을 제작하고 최적의 3D프린팅 양산 공정기술을 확보해 사업화를 추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는 7개 제조분야 중 3개 분야에서 각각 1개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사업은 3D프린팅 출력서비스 기업이 주관기관을 맡고 제조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기관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했는데 국내 내로라하는 자동차, 항공 관련 대기업들이 참여기관으로 참여해 제조업계에서 3D프린팅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입증했다. 총 10개 컨소시엄이 평가를 받아 경쟁률은 3.3대 1에 달했다. 이번에 선정된 컨소시엄을 살펴보면 방산분야에 지원한 태성에스엔이는 요격 미사일 안테나 부품 양산 공정기술 개발에 나선다. 세계적인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업 앤시스(ANSYS)의 한국총판인 태성에스엔이는 출력서비스 사업을 새로 추진 중으로 GE Additive의 금속 3D프린터를 구축 중이다. 우주분야에 지원한 스타코는 소형위성 발사용 로켓엔진 부품 양산 공정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스타코는 GE Additive의 금속 3D프린터를 구축해 우주항공 부품 제조에 나서고 있다. 자동차분야에 지원한 링크솔루션은 SLA 방식 3D프린터로 자동차 도어트림 부품 금형코어 양산 공정기술 개발에 나선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기술지주회사인 링크솔루션은 자동차 시제품을 3D프린팅하기 위해 대형 SLA 방식 3D프린터를 제작한 바 있으며 아모레퍼시픽과 ‘아이오페 맞춤형 3D 마스크’를 개발한 바 있다. NIPA는 이들 컨소시엄과 올해부터 2022년까지 3년간 평가결과에 따라 1년 단위로 협약을 체결한다. 과제당 연간 9억5천만원씩 총 28억5천만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신근순 기자
2020-05-07
-
스트라타시스, 가성비 높은 폴리젯 3D프린터 출시
신근순 기자
2020-05-06
-
㈜컨셉션, 중기부 ‘BIG3 중소벤처 혁신성장 지원기업’ 선정
신근순 기자
2020-05-04
-
자이브솔루션즈, 고강도·고탄성 3D프린팅용 광경화 수지 개발
신근순 기자
2020-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