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0-09-17 15:12:43
기사수정


▲ 코로나19로 인한 2020년 경제성장률 전망 [%]

코로나19 확산시 최대 -5.5%라는 외환위기, 대공황에 버금가는 경제성장률 하락이 전망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분석 : 제2차 대유행 점검’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장기간 지속된다면 자본축적 및 생산성 감소 등의 영구적 충격이 커지게 되므로 단기간의 성장률 감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경제의 성장경로 자체가 변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됐다.


먼저 2020년 성장률은 한국은 시나리오1인 7, 8월 감염자수가 3분기가 유지되는 경우 -2.3%, 시나리오2인 9월의 감염자가 더 확산돼 시나리오1에 비해 25% 증가하는 경우 -5.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조경엽 경제연구실장은 “코로나19의 감염이 확산될 경우 -5.1% 성장률을 기록한 외환위기 이상의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외에도 시나리오1에서 2020년 경제성장률은 유럽 -10.5%, 미국 -6.2%, 일본 -4.4%, 아시아 -0.9%, 중국 1.5%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미국의 성장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5%, 대공황 -12.9%를 기록한 것에 비추어 본다면 코로나19의 영향은 세계경제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한경연은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이 크지 않다면 GDP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장기에는 충격 이전의 성장경로를 회복할 것이고, 이전의 성장률과 소득수준 추세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충격이 크다면 소득수준(GDP)과 성장률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충격으로 인해 장기적인 소득이 감소하는 ‘규모효과(level effect)’가 일어나거나, 인적자본 축적과 생산성이 저하되어 성장경로 자체가 하향되는 ‘성장효과(growth effect)’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코로나 발생 3년 이후에 장기성장경로에 접근하는 것으로 추정한 규모효과는 코로나 발생 이후 3∼10년 평균 GDP 손실액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 168억∼235억달러, 미국 1,068억∼1,375억달러, 일본 355억∼502억달러, 중국 1,897억∼2,689억달러, 유럽 2,796억∼3,781억달러, 아시아 1,092억∼152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단기효과에 비해 장기효과가 크게 나타나는데 기존경로의 성장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코로나의 부정적 영향은 성장효과를 통해 극명해지는데 한국은 기존경로의 성장률에 비해 0.11∼0.16%p 감소했다. 다른 국가에서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 미국(-0.08∼-0.10), 일본(-0.07∼-0.12), 중국(-0.11∼-0.15)은 한국에 비해 낮으나 유럽(-0.17∼-0.22), 아시아(-0.27∼-0.36)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 실장은 “단기적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장기적 GDP 수준 하향을 넘어 성장경로의 기울기가 바뀌고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보고서는 주요 경제지표인 세계교역과 실업률에 대한 변화를 제시했다. 한국의 수출은 7.2∼9.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액 역시 5.1∼6.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일자리 충격을 의미하는 실업률은 기준치인 3.5%에 비해 2020년 0.68∼0.91%p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팬데믹 발생에 따른 국가전략 수립과 경제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김윤경 연구위원은 “코로나19의 경험이 미래 팬데믹 대응전략과 체계의 수립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신종플루 이후 2011년 국가전략을 수립한 영국과 같은 국가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현재 코로나19의 정책 대응에 대해서도 조경엽 경제연구실장은 “저임금 근로자부터 해고되고 생계위협을 받는 것은 이번 코로나 경제위기에도 예외가 아니다”면서 정부지원이 취약계층에 집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국가채무가 급증하면 장기 성장경로는 더욱 낮아져 저성장이 고착화될 수 있다”고 경계하면서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산업의 활성화와 기존 제조업의 디지털화 등의 산업적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규제개혁, 노동개혁, 법인세 인하 등 제도개선을 통해 국내 투자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현재의 위기를 탈출하고 장기 저성장을 막는 최선의 길”이라고 설명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32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