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와 융합의 중심인 로봇산업이 정부의 협업을 통해 도약을 준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2013년도 제1차 로봇산업정책협의회’(위원장 김재홍 산업부 1차관)를 관계부처 합동으로 개최, ‘지능형로봇 2013 실행계획’과 ‘시장창출형 로봇보급사업 2012년도 성과 및 2013년도 추진계획’을 30일 논의했다.
이번 범부처 협의회에서는 ‘제1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09〜13)’의 마지막 시행연도를 맞아 R&D 역량 제고, 선제적 수요 확산, 지속가능 성장기반 구축, 범국가적 협력체계 구축 등 지난 4년간의 추진성과를 평가하고, 기초·원천 기술력 보강 및 융합형 로봇제품 개발, 시장창출형 범부처 로봇보급사업, 로봇산업클러스터, 인력 양성 등 로봇산업에 올해 약 1,635억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할 계획임을 밝혔다.
세부적으로 △원천기술·융합제품 개발 촉진 1,085억원 △로봇시장 규모확대 지원 195억원 △산업인프라 확충 352억원 △범국가적 협력체제 구축 1억2,000만원의 예산이 올해 집행될 예정으로 발표됐다.
2009〜11년 지난 3년간 매년 1,200〜1,740억원 규모의 정부 지원을 토대로 국내 로봇시장 및 고용 규모는 2배, 수출은 5배 이상 높은 증가세 지속하고 있다. 특히, 로봇부품 분야의 경우 2010년 1,026억원이었던 시장규모가 2011년 1,909억원으로 86.1% 증가를 보여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부처간 협업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범부처 로봇 시범보급사업을 통해 44개 뿌리기업의 생산 현장에 로봇이 적용, 평균 20% 생산성 향상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로봇기업은 약 34억원의 신규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
회의에 참석한 각 부처들은 역할분담과 협력을 강화를 위해 관계부처, R&D지원기관 등을 포함하는 ‘로봇 R&D 협의채널’ 구성에 합의하고 부처협업형 로봇 프로젝트 발굴 등을 논의했다. 이외에도 로봇 중소·중견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통해 향후 시장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부처별 제도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협의회를 주재한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로봇산업이 제조업뿐만 아니라 국방, 의료, 교육, 농업 등 다른 산업과 접목돼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창조경제를 이끌 대표적 융합산업”이라며, “로봇이 사회안전, 의료복지, 삶의 질 향상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모든 부처가 정책 칸막이를 넘어 상호 협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산·학·연 로봇 전문가와 로봇 수요처, 유관 부처가 공동 참여하는 ‘제2차 기본계획 기획위원회’를 구성, 협업을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로봇산업이 수요산업과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제2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14〜18)’을 수립키로 했다.
1차 기본계획에서 로봇에 대한 인식제고·홍보를 통해 신산업으로서 로봇산업을 육성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면, 내년부터 시행될 2차 기본계획에서는 부처간 협업과 산업간 융합으로 로봇의 활용범위 확대해 로봇산업이 ‘비즈니스모델·일자리·시장을 창출하는 산업’으로 자리잡게 할 것으로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