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활용 기술에 대한 거래 활성화가 촉진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기술센터에서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을 위한 유관기관 간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협의체’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산업부 ‘기술이전-사업화 지원사업’ 주관기관은 연구소 21개, TP 15개, 기술거래기관 3개 기관 등 총 42개 기관으로 구성됐다.
13일 발족된 협의체는 기술공급 중개기관(TLO)과 기술수요 중개기관(RTTC)간 정례적인 모임으로 운영할 예정이며, 협의체를 통해 산업부는 정책건의, 제도개선 등의 의견을 받아 2013년 9월 (가칭)‘기술이전사업화 촉진 방안’을 마련 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TLO 지원사업’(年 약 30억원)을 통해 총 8,365건의 기술이전과 총 4,568억원의 기술료를 거두는 성과를 보였다.
기술이전 건수는 2006년 330건에서 2012년 946건으로 186%, 기술료 수입은 2006년 149억원에서 2012년 853억원으로 472% 증가했다.
또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RTTC 지원사업’(年 약 25억원)을 통해 기업 수요기술을 총 4,639건 발굴해 총 1,513건의 기술거래를 성사시켰다.
한편 지금까지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부지원을 통해 확보된 상당수 기술이 미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1년 기준 공공硏은 11만6,000건 이상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술 이전율이 24.6%에 불과하여 8만7,000건 이상의 R&D결과물이 미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전된 기술도 23.6%만 수익이 발생하고 나머지는 사업화 준비 중이거나 미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차동형 산업부 국장은 “이번 협의체 발대식을 기회로 공공硏 및 전문硏 등에서 보유한 미활용 기술이 국내 중소기업들에게 손쉽게 이전되고 사업화가 가속화 될 수 있도록 좋은 정책방안 제안해 줄 것”을 요청했다.
차 국장은 우선 기업이 원하는 기술을 적기에 찾아 줄 수 있도록 민간 기술거래기관을 활성화하고 ‘TLO’와 협력 증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각 연구소에서 보유한 휴면특허 및 기술 등을 실제 중소기업들이 사업화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사업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더불어 출연연 및 대학을 관장하고 있는 미래부와 교육부와의 협업 등을 요청했다.
차 국장은 “이번 협의체에서 제안한 개선사항은 금년 9월 중에 기술이전·사업화 촉진방안에 반영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