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통되는 대부분의 음식에서 벤젠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지난해 우리 국민이 주로 소비하는 곡류, 서류, 채소류, 과일류, 육류, 어류 등 111개 품목 455건에 대해 벤젠함량 조사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의 97%인 441건에서 벤젠이 검출되지 않아 식품 섭취로 인한 벤젠노출은 인체에 나쁜 영향이 없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벤젠은 식품제조공정 중에 의도치 않게 생성되는 유해물질로 전 세계적으로 식품에 대한 관리 기준은 없다. 다만 먹는 물의 경우 세계보건기구(WHO), 일본 및 우리나라(0.01ppm) 등은 기준을 설정해서 관리하고 있다.
이번 실태조사는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우리 국민이 많이 소비하고 즐겨먹는 식품 등을 조사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체 조사 대상 중 14건(3%)에서 벤젠이 검출됐으나, 검출 범위는 0.002~0.028 ppm 수준으로 미국, 일본, 벨기에 등 다른 국가와 유사하거나 낮았다.
특히, 음료 중 벤젠 검출(2건) 수준은 0.005 ppm으로 저감화 추진 직전인 ’06년 모니터링 검출 수준(0.002~0.049 ppm)에 비해 거의 1/10 수준으로 크게 낮아졌다.
벤젠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식품 섭취에 따른 위해 평가 결과, 벤젠의 평균 일일추정섭취량(EDI)은 하루 평균 체중1kg당 0.073㎍으로, 미국 환경청(EPA) 독성참고치인 4㎍ 대비 1.8% 수준으로 인체에 위해 발생 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현재 식품 제조·가공·조리 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생성되는 유해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저감화하기 위한 대규모 정책기반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개발된 저감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