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협력 중소기업의 62%가 납품단가에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지난 4월16일부터 4월30일까지 대기업 협력 중소제조업체 3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의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2년을 100으로 기준 했을 때 최근 2년 동안 재료비, 노무비, 경비는 5.7%∼9.0% 증가한 반면에 납품단가 인상은 0.4%∼0.8%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작년 조사 결과 대비 약 7.7% 증가된 61.7% 중소업체가 현재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함에 따라 납품단가에 대한 중소기업의 불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은 이유로는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납품가격 인하 불가피’(37.3%), ‘원자재가격 상승분이 부분반영 됐으나 가격인상이 충분치 않음’(34.1%)을 가장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그 밖에 ‘노무비, 전기료 등 특정항목 미반영’, ‘원자재 상승요인 있었으나 가격인상 거부·동결’, ‘정당한 이유 없이 일률적 감액’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납품단가 인상요청을 시도한 58.0%의 업체 가운데 38.0%는 원사업자와 합의 도출에 실패해 납품단가가 동결됐거나 조정을 거부당해 납품단가 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사업자와의 거래 시 가장 바라는 것에 대해서는 ‘일정기간 일감(납품물량) 보장’(34.0%)을 가장 원했으며, 그 다음으로 ‘납품단가 제값받기’(32.7%), ‘납품대금 신속한 현금결제’(16.3%), ‘부당한 납품단가 인하 자제’(11.0%) 등으로 응답했다.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해 정부에 바라는 대책으로는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30.0%)을 우선 꼽았고, 기타 ‘주기적인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25.3%), ‘납품단가 후려치기 처벌 강화’(21.7%), ‘원자재 공동구매 지원 확대’(17.0%) 순으로 답변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동반성장실장은 “그간 경제민주화의 진전에도 불구, 납품단가 현실화는 여전히 미흡하다”며 “중소기업의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