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와 정부가 2017년까지 일자리 20만개 창출을 통해 청년 고용절벽 문제를 해소하겠다고 뜻을 모았다.
2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김재춘 교육부 차관, 이석준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한정화 중소기업청장과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등 경제 6단체장이 참석해 ‘청년 고용절벽 해소를 위한 민관합동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종합대책의 기본 방향은 공공부문 중심의 일자리 창출을 기본으로 하되 민간부문의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도 과감한 지원을 하겠다”며 “청년 고용 절벽은 청년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문제인 만큼 확고한 의지로 노동시장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2017년까지 정부에서 4만개, 경제계에서 16만개 이상의 일자리 기회를 만들기로 뜻을 모았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이 신규채용을 늘리고, 임금피크제 도입 등으로 인건비를 절감하고, 근로시간 단축으로 일자리를 나누기로 했다.
더불어 인턴쉽도 확대해 직업훈련을 확대하고, 일·학습 병행제에 참여하는 기업을 늘려, 청년들에게 일자리 기회를 늘릴 계획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일자리를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하반기 노동시장 개혁이 원만히 추진된다면, 청년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경제계도 청년 일자리 기회 확대가 단순히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제 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청년 일자리를 늘리려는 정부와 기업의 노력에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