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우리나라 ICT(정보통신기술) 수출이 교역둔화, 주요 품목 단가하락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해 주춤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월 ICT 수출이 전년동월대비 3.9% 감소한 137억1천만달러, 수입은 5.8% 증가한 75억7천만달러로 61억4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ICT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감소세를 기록한 것은 지난 4월 이후 3개월 만이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51억4천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2% 증가했다. D램 단가 하락과 낸드플래시의 SSD(Solid State Disk) 형태 수출 전환으로 메모리반도체 수출은 소폭 감소한 반면, 모바일용 반도체의 후공정 수출 물량 증가로 시스템반도체는 약 20% 늘었다.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21억달러, 15.1%↓)은 해외생산 확대와 중소형 패널 단가하락으로 감소했다. 휴대폰(19억4천만달러, 16%↓)은 애플, 샤오미 등과의 경쟁 심화와 해외 생산 확대로 완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감소한 반면 부분품 수출(12억7천만달러, 6.0%↑)은 늘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4억6천만달러, 13.2%↓)은 개인용 컴퓨터를 중심으로 컴퓨터 수출이 증가한 반면, SSD 등 보조기억장치 부진에 따른 주변기기 수출 감소로 2월 이후 5개월 만에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됐다.
디지털 티브이(D-TV, 5억2천만달러 25.4%↓)는 중국, 일본과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해외 거점 생산제품의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현지 부품조달 비중이 확대되면서 해외 거점向 TV 부분품 수출이 감소하면서 수출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수출 상위 지역이자 국내 업체 주요생산 거점인 중국(홍콩 포함, 26억3천만달러, 2%↑)과 아세안(20억9천만달러, 25.8%↑) 지역이 휴대폰 부분품, 반도체 등 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미국(13억2천만달러, 15.5%↓)은 반도체(2억7천만달러, 13%↑), 컴퓨터 및 주변기기(1억달러, 19.5%↑)는 증가했으나, 휴대폰(4억8천만달러, 35.8%↓)이 감소하며 수출이 감소했다. EU(8억3천만달러, 27.9%↓)는 경기 부진과 유로화 약세로 디스플레이 패널, D-TV 등 ICT 품목 전반에서 수출이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