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단종 또는 조달애로 부품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국방분야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3D프린팅 부품 제작 및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방부는 28일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혁신지원센터에서 ‘국방과 3D프린팅 산업간 제조협력을 위한 산업부-국방부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서주석 국방부 차관, 이성일 생산기술연구원장, 남인석 3D융합산업협회 부회장, 박종욱 육군종합정비창 생산지원단장, 박치욱 해군정비창장, 이용재 공군정비창 81항공정비창장, 신규철 항공기술연구소장, 이낙규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총괄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부처는 △3D프린팅이 활용가능한 국방부품 수요발굴 △공동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관련산업 육성 △국방산업과 3D프린팅산업간 융합·협력체계 구축 등에 대해 상호 협력을 추진하게 된다.
우선 3D프린팅 전문가 그룹과 육·해·공군 정비창의 실무자가 회의를 통해 발굴한 단종·조달애로 부품 7개에 대해 2018년 1월1부터 6월까지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가 3D프린터 업계와 협력해 시제품 제작을 추진한다. 이들 부품으로는 △음탐변환기 조립체(스테인리스 스틸) △에어흡입 하우징(타이타늄) △하우징(알루미늄) △기총 연소가스배출도어(스테인리스 스틸) △해수 펌프 팬(스테인리스 스틸) △항공유 공급펌프 커플링(스테인리스 스틸) △고압펌프 밸브 하우징(스테인리스 스틸) 등이 선정됐으며 2021년까지 지속적인 수요발굴을 통해 제작부품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2018년 3월부터는 산업부와 군 사용자가 부품분석, 역설계, 3D프린팅, 후가공, 인증, 공정 데이터 구축, 규격화로 이어지는 전주기 제조기술 개발이 추진된다. 이와함께 군에서 필요한 3D프린팅 전문인력을 선발, 산업부 산하 전문연구기관에 파견해 제조기술을 전수하는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사업도 시작된다. 양 부처는 장기적으로 국방 3D프린팅 제조협력 플랫폼을 구축해 개발된 3D프린팅 국방부품이 실제로 사용되도록 제도를 마련하고, 국방 예산에 3D프린터 구입 및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반영할 계획이다.
업무협약 체결식에 참석한 이인호 산업부 차관은 “군의 단종·조달애로 부품 수요는 3D프린팅 초기시장 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협약은 3D프린팅 산업발전과 국방부품 제조 자립화를 앞당기고 국방을 시작으로 조선, 항공 등 민간분야까지 3D프린팅 기술이 빠르게 펴져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