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터키, 원전사업 협력 선언
지난해 UAE 수출을 달성한 한국형원전이 터키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됐다.한전(KEPCO, 사장 김쌍수)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10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터키 국영 발전회사인 EUAS(사장 : Sefer BUTIN)와 터키 시놉지역(Sinop)에 한국형원전(APR1400) 도입 가능성 공동연구 수행에 대한 원전협력 공동선언문 (Joint Declaration)을 서명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한전은 터키 원전사업 참여를 위해 터키정부 관계자들에게 한전의 원전 건설․운영 능력을 설명하는 등 한국형원전의 터키 진출을 위한 기반을 착실히 다져왔다. 그 결과 원전사업 기술성 및 경제성을 높이 평가받았고 터키 에르도안(Erdoğan) 총리가 ‘한-터키 비즈니스 포럼’(3월10일) 폐막연설을 통해 양사간 공동선언문 체결을 공식 발표한 것이다.한전의 관계자는 “앞으로 원전도입 희망국가와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 등 한국형원전 수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한-터키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중인 김영학 지식경제부 제2차관은 타네르 이을드즈(Taner Yıldız) 터키 에너지부 장관 면담 및 터키 총리 예방 등을 통해, 이번 공동선언문 성사를 계기로 양국 정부 간에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0-03-11
-
STX그룹, 상반기 대졸 인턴사원 첫 채용
STX그룹이 10일부터 인터넷 채용 사이트(http://www.yourstx.co.kr/)를 통해 상반기 인턴사원 모집을 시작했다.
STX그룹이 인턴십 프로그램을 신입사원 채용 시스템에 도입한 것은 올해가 처음으로, ㈜STX, STX팬오션, STX조선해양, STX엔진, STX중공업, STX엔파코, STX에너지, STX건설, STX솔라 등 총 9개 계열사가 참여하게 된다.
STX의 인턴십 프로그램은 인텐시브(Intensive) 인턴, 글로벌(Global) 인턴, 서머(Summer) 인턴 등 크게 3가지 프로그램으로 구분된다.
‘인텐시브 인턴십’은 직무별 세부 필요역량에 알맞은 인재를 선발해 6개월간 집중적으로 업무를 실습하도록 한다, ‘글로벌 인턴십’은 중국,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STX의 주요 해외 산업현장에서 6개월간 실무경험을 쌓는 기회를 제공하며, ‘서머 인턴십’은 대학 4학년 1학기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방학기간을 이용해 실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인턴 실습 지원자는 서류전형-심층역량면접-SCCT(인적성검사)-신체검사를 통해 선발되며, 중복지원은 불가능하다.
특히, 프로그램에 따라 모집 기간과 지원자격이 다르므로 지원자는 공고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인텐시브 인턴과 글로벌 인턴은 기 졸업자 및 2010년 8월 졸업예정자만 지원이 가능하며 서머 인턴은 4학년 1학기 재학생이 대상이다.
또한, 접수마감일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서머 인턴과 글로벌 인턴은 3월18일 20시, 인텐시브 인턴은 3월19일 20시까지로 접수 마감일시를 구분했다.
신근순 기자
2010-03-10
-
특허청,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업무협약
||특허청(청장 고정식)과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정윤)은 10일 발명과 특허활동을 위해 창의적인 인재를 조기에 발굴·육성하고 창의적 노력의 성과인 지식재산이 존중받는 사회 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업무협력약정을 체결했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발명과 특허교육 등을 통한 창의적인 인재육성 △지식재산과 과학기술관련 홍보 및 문화 활동 전개 △우수 발명인력의 발굴과 지식재산 보호를 지원하기 위한 대회의 공동 개최 △창의적 발명인력의 국제교류 활동 등 6개 중점 분야에서 상호협력 해 나갈 예정이다. 특허청의 김영민 산업재산정책국장은 이번 업무협약의 후속조치로 “대학생의 아이디어를 발명품으로 제작하고 특허출원까지 완료하는 대회인 발명특허대회(가칭)를 올 3월 하순부터 시범 추진할 예정”이라며 “점진적으로 지식재산과 과학기술관련 홍보 및 문화활동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엄태준 기자
2010-03-10
-
고정식 특허청장, 유럽 지재권 외교 나서
고정식 특허청장은 11~16일까지 독일, 이탈리아를 차례로 방문해 한-독일, 한-유럽특허청(EPO), 한-이탈리아 특허청장 회담을 갖는다.
이번 유럽 방문기간 동안 고정식 특허청장은 코넬리아 루드로프-쉐퍼(Cornelia Rudloff-Schäffer) 독일 특허청장과 특허심사하이웨이 시범실시 양해각서에 서명하고, 로레다나 굴리노(Ms Loredana Gulino) 이탈리아 특허청장과 ‘지식재산권 분야에서의 포괄적 협력에 관한 상호 양해각서(MOU)’에 서명한다.
엄태준 기자
2010-03-10
-
KISA, ISO 9001 인증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김희정)은 지난 8일, 국제품질경영시스템인 ‘ISO 9001’ 인증을 받았다.
KISA는 지난 2009년 7월 인터넷 관련 3개 기관 통합 출범 후 118 대국민 인터넷 상담센터 개소, 인터넷 주소 자원 개발 및 관리 등에 지속적으로 노력한 점을 높이 평가 받았다.
이번 ISO9001 인증 취득으로 기관의 경쟁력 제고 뿐 아니라, 지속가능 경영의 기틀을 마련했다.
KISA 김희정 원장은 “기관의 인증도 중요하지만, 고객의 인정이 우선”이라며 “이번 인증 획득이 국내외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고품질 경영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엄태준 기자
2010-03-10
-
동원시스템즈, LCD 프로젝터 2기종 시판
고봉길 기자
2010-03-10
-
하이닉스, 냉각수 이용한 전국 첫 모내기 참여
하이닉스반도체(대표 김종갑 www.hynix.co.kr)가 10일 이천시 부발읍에서 EM 친환경연구회가 주관한 전국 첫 노지 모내기에 참여했다. 이번 첫 모내기는 중부지방의 통상적인 모내기 시기보다 60여 일 빠른 것으로, 하이닉스 열병합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사용된 후 배출된 온수를 이용했다. 또한 이번 모내기는 농약이나 화학비료 대신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퇴비 등으로 농사를 짓는 ‘EM(Effective Micro-organisms, 유용 미생물군) 농법’을 사용했다. 이 농법은 일반농법에 비해 생산량은 떨어지지만 품질이 우수한 친환경쌀을 수확할 수 있다. 이 행사에는 노동조합 및 환경안전그룹장을 비롯한 20여명의 하이닉스 임직원이 참여해 모내기를 도왔다. 환경안전그룹 정윤영 상무는 “열병합전소에서 발전기기의 열을 식히는데 사용된 냉각수는 약 23℃로, 이를 활용한 이른 노지 모내기가 가능하다.”며 “재활용되는 온수는 하이닉스가 체계적인 수질 관리와 폐수처리를 통해 방류한 깨끗한 물이다.”고 설명했다. 하이닉스는 이번 모내기뿐만 아니라 김매기와 수확에 이르는 농사의 전 과정에 참여하며 지역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각종 봉사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고봉길 기자
2010-03-10
-
국가 R&D도 시장주의 체제로
정부가 국가 R&D 수정을 위해기존의 ‘지식경제 R&D’체제에 대해 대대적인 메스를 들이댔다.
지식경제부는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를 리드할 성장 모멘텀 창출을 위해 ‘지식경제 R&D 틀’을 전면 쇄신한다.
이를 위해 지경부는 전략기획단 설치, R&D 프로그램 재설계 및 프로세스 전면 개편, 지원 인프라 효율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식경제 R&D 혁신전략’을 수립해 지난 8일 발표했다. 이에 앞선 지난 3일에는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관계부처 협의와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논의를 거쳤다.
우리나라는 정부를 비롯한 국가 전체 R&D 투자는 지난 2000년 13조8천억원에서 2008년 34조5억원으로 늘어나고 논문수는 세계 12위, 특허는 4위 등 등 양적 성장을 꾸준히 하며, 과학기술인프라의 글로벌 위상을 제고했다.
그러나, 이러한 R&D의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최근 세계 시장 1위 품목수는 2000년 87에서 2007년 53개로 감소하고 D-RAM, CDMA와 같은 파급효과가 큰 대형 성장동력산업을 창출하지 못했다.
이러한 성장동력산업 창출 부재의 원인으로는 정부 R&D 투자에 대한 평가가 논문, 특허 등으로 측정되는 등 R&D 투자의 목표가 불분명하고, 시장과 연계되지 못하는 R&D 지원 시스템으로 운영됐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은 현재 수행중인 사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에 주력한 연구개발을 하고, 리스크 부담이 큰 신성장동력 창출에는 한계를 드러냈었다.
이에 정부는 2020년까지 국민소득 4만불 시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 R&D가 신제품, 신산업 창출을 견인하고, 민간의 투자를 촉발할 수 있도록 R&D 지원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느껴왔다.
이를 위해 시장과 가장 가깝고, 성장동력 창출의 임무를 맡고 있는 지경부가 우선해 R&D 시스템 전반의 혁신을 추진해 그 성과를 국가 R&D 전체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혁신방안은 ‘지식경제 R&D 시스템’전반에 대해 ‘Bain & Company’의 진단과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지식경제 R&D 혁신위원회’에서 지난해 10월부터 7차례에 걸친 치열한 토론을 거쳐 마련됐다.
R&D 현장 책임자와 이해 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위해 장관이 직접 출연연 기관장과의 토론회, 기술혁신형 기업 현장 방문 및 혁신위원회와 간담회를 가졌고, 공청회도 개최했다.
박진형 기자
2010-03-09
-
SK루브리컨츠, 윤활유 ‘지크’ 러시아에서 1등
신근순 기자
2010-03-09
-
현대중공업, 신재생 전문 인력 양성
현대중공업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재생에너지 교육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8일 울산 본사 기술교육원에 태양광발전시스템과 풍력발전 실험장비 등을 갖춘 신재생에너지 실습실을 완공하고, 본격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이 마련한 198㎡(약 60평)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실습장에는 셀·모듈 등 제조 단계별 태양광 제품들과 실험장비, 생산설비 등이 갖춰져 있어, 교육생들이 태양광 셀과 모듈의 제조공정, 풍력발전기 구동원리 등을 배우고 생산설비의 유지·보수 능력도 키울 수 있다.
또 현대중공업이 자체 생산한 12kW급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기술교육원 옥상에 설치해 발전 현황을 직접 모니터링하며, 전력 생산 원리와 정보를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이곳에서 생산된 전력은 교육생들이 사용하는 실습실을 비롯한 기술교육원에 공급될 예정이다.
최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관련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곳이 없었다.
그러나, 현대중공업이 신재생에너지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문 엔지니어를 투입해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어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중공업 유태근 기술교육원장은 “일반 강의실에서 이론 중심의 교육만으로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교육 시설 완공으로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을 뒷받침할 전문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오는 4월부터 자사 임직원과 기술연수생 등 2백여 명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실무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며, 교육생들은 충북 음성에 위치한 이 회사 태양광공장 등에서 현장 실습을 거친 후 관련 업계에서 일하게 된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지난 2009년 10월부터 전북 군산에서 연산 600MW 규모의 국내 최대 풍력발전기공장을 가동 중이며, 지난 2008년 5월 충북 음성에 설립한 태양광 공장은 연간 태양전지 330MW, 태양광모듈 200MW의 생산설비를 갖춰 이 분야 국내 1위를 달리고 있다.
특히 2010년에는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폴리실리콘에서부터 잉곳, 웨이퍼, 태양전지, 모듈, 발전시스템까지 태양광 전 분야 일관생산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신근순 기자
2010-03-08
-
정부, 국가표준 600종 개발에 1,888억 투입
신근순 기자
2010-03-05
-
전 세계 녹색성장 논의, ‘우리가 주도’
신근순 기자
2010-03-04
-
STX, 가나 국가인프라 구축사업 진출
신근순 기자
2010-03-04
-
기산진, 직업전문학교 입학식 거행
신근순 기자
2010-03-04
-
시스템-반도체포럼, 허염 회장 신규선임
신근순 기자
201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