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SF 주가 연중 최고치 도달
세계 최대 화학기업인 바스프(BASF)의 주가가 올들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회사 최고 경영자 유르겐 함브레흐트 회장이 자사가 적대적 인수합병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말한지 거의 1년 만의 일이다.
지난 24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함브레흐트 회장은 독일의 유력 경제 주간지 비르트샤프트보케와의 인터뷰에서 "물론, 공격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적대적 인수 협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700억 유로가 들 것이라며 더 이상의 인상은 힘들 것일고 덧 붙였다.
바스프의 주가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시장에서 2.7% 오른 37.17유로로 지난해 9월 12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블룸버그 자료에 따르면 현재 이회사 지분을 3% 이상 가지고 있는 단일 투자자는 없는 상태다.
독일 중앙 조합은행 (DZ은행) 애널리스트 페터 슈펭글러는 고객들에게 보내는 메모에서 "적대적 인수합병 언급은 지분의 가치를 높이거나 좀 더 유지시키는 차원에서 현명한 발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 평가 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日, 해외 인프라 시장 진출에 역점
일본 경제산업성은 내년도 중점시책을 지난 18일 공표했다.
특히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해외 신흥국의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일본기업이 설계에서 보수, 관리에 이르는 일괄수주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내용이 가장 눈에 띈다.
정부의 지원이 효과를 거둬 계약을 따낸다면 경기침체에도 수익을 유지하기가 개별 제품의 수출보다 훨씬 용이할 것으로 경산성은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산성의 내년도 관련예산 기산요구에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저탄소사회 시스템’ 실증사업 예산 105억엔을 포함시킬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는 전력의 유통을 IT기술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차세대송전망과 건물이나 주택의 에너지절감화, 차세대자동차 등을 조합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또 물사업의 해외진출 지원에도 16억엔을 배정할 예정이다. 이 분야에서 일본은 막을 이용한 물 여과 등 개별 기술에서 강점을 갖고 있지만 세계 시장에서는 플랜트 건설부터 관리 운영까지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럽기업에 크게 뒤쳐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일 정부는 일본무역보험 등을 활용해 이 분야 일본 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후원한다는 방침이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혼다 EV, 내년 상반기 美 판매
일본 자동차 3사의 EV가 미국시장에서 격전을 치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3일 일본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혼다는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미국 전기자동차(EV) 시장 진출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혼다의 미국 시장참여 검토는 미국의 배기가스 등의 규제가 강화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혼다의 참여는 미국 EV시장에 일대 지각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업계는 바라보고 있다. 이미 미국 판매 계획을 밝힌 도요타와 닛산과의 경쟁이 불가피 하기 때문이다.
그룹의 기술개발 거점인 혼다 기술 연구소에서 소형차 클래스의 차체로 EV를 개발하고 있어, 10월 개최되는 도쿄 모터쇼에서 신차를 공개해 일본내에서의 판매도 검토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온실가스의 배출 규제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있어, 각 회사는 향후, 이산화탄소 등 배기가스 배출이 되지 않는 차의 판매를 늘릴 필요가 있다. 혼다는 작년 여름,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연료전지차의 판매를 시작했지만, 가격이 높아 양산화에 어려움을 겪었기에 우선 EV로 시장에 대응하기로 했다.
우선 혼다는 지난 2월 발매한 하이브리드차인 ‘인사이트’ 로 진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타사의 움직임도 바빠져 지난 7월부터 미츠비시 자동차가 ‘아이·미브’를, 후지 중공업도 ‘플러그 인 스테라’의 판매를 개시한 상태이다. 닛산은 내년 후반기에 ‘리프’를 일․미․유럽에 내놓을 예정이며, 도요타는 3년 후에 미국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美 TI, 키몬다 미국 내 자산인수 관심
키몬다의 자산경매를 앞두고 TI가 키몬다의 자산인수에 나섰다.
미국 반도체업체인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I)가 파산한 독일 D램 회사 키몬다의 미국 자산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외신들이 지난 2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파산법원은 오는 9월23일 키몬다의 자산경매를 실시할 예정인데, TI가 키몬다 미국 자산 인수 가격으로 1억7,250만달러를 제안한 한 것으로 알려졌다. TI는 키몬다의 칩 제조 장비를 인수한 뒤 자신들의 제품 생산에 활용할 계획으로 보인다.
키몬다는 최근 독일에서 청산 절차를 시작하면서 그 일환으로 D램 라이선스를 일본 업체인 엘피다에 넘겼으며, 중국에 있는 디자인 센터는 컴퓨터 업체인 인스퍼에 매각했다. 하지만 독일 드레스덴에 있는 핵심 생산라인은 아직 손을 대지 않은 상태로 현재 관심을 보이는 업체들이 드레스덴을 방문하고 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중국 철강가격 최근 급락
급등하던 중국내 철강가격이 다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2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올해 최고치로 오르며 급등했던 철강가격이 최근 20일간 무려 20%나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철강 조사기관인 마이스틸닷컴에 따르면, 강관 가격은 이달 초 톤당 5,000위안에서 4,200위안으로 16% 하락했으며 강선 가격은 톤당 4,850위안에서 3,900위안으로 20%나 떨어졌다.
업계에서는 재고로 쌓인 사재기 물량이 시장에 풀리면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 철강업체들은 철광석 가격 급등에다 중국내 철강 수요가 늘자 물량 사재기에 나선 바 있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공산품 생산량 강국 ‘중국’
중국 공산품 210개의 생산량이 세계 1위에 올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중국신문사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자국의 원자력과 장비산업, 소비품, 국방과학기술산업, 전자정보업 등 210개 공산품 생산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중국이 이미 공업 현대화 초기 단계를 벗어났으며 공업생산이 국민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넘었다고 밝혔다.
사회과학원은 건국 초기인 1949년 중국의 공업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불과하고 농업과 수공업이 90%에 달했던 점을 고려하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공업정보화부는 중국의 자전거, 재봉틀, 건전지, 맥주 등 100가지 경공업 제품은 중국 수출의 20%를 차지하며 생산량 세계 1위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또 가전, 가죽, 가구, 오리털 제품, 도자기 등은 세계 시장점유율이 50%에 달하며 방직업은 국제 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분야로 꼽히고 있다.
1990년 이후 중국은 세계 정보화 흐름 속에 세계 최대 전자제품 생산기지로 부상해 TV와 휴대전화, 컴퓨터 등의 생산량이 세계 1위로 뛰어올랐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도요타, 하이브리드용 리튬전지 산요에서 조달
도요타자동차의 하이브리드차에 탑재되는 리튬이온전지를 산요전기가 공급하게 됐다.
지난 19일 도요타에 따르면 앞으로 회사는 새로운 하이브리드차를 차례로 시장에 투입할 계획으로, 주요 부품인 전지를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도요타는 이미 산요전기에서 전기를 제공받아 성능시험을 마친 상태다.
탑재차량은 아직 검토단계에 있지만 리튬이온전지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니켈수소전지에 비해 크기가 작으면서도 용량이 크기 때문에 차량이 무겁고 많은 인원이 승차하는 미니밴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니켈수소전지의 경우, 도요타는 자사와 파나소닉의 합병회사 ‘파나소닉 EV 에너지’ 1개사에서 공급받고 있다. 그러나 폭발적인 판매호조를 보이고 있는 하이브리드차 프리우스가 전지 공급능력의 한계 때문에 기대만큼 생산량을 늘이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전지의 조달처를 다양화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산요전기는 리튬이온전지의 개발능력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올해 안에 파나소닉의 자회가 될 예정이어서 조달처로 선정된 것으로 현지에서는 보고 있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브리지스톤, 나노 신재료 기술 연구테마 채택
세계 1위 타이어 기업 브리지스톤이 개발 중인 ‘3차원 나노계층 구조제어에 의한 초저연비 타이어용 고무재료의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일본 통상산업성 산하 ‘신에너지 사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의 ‘2009년 나노텍·첨단부품실용화 연구개발’테마로 선정됐다.
NEDO는 일본의 산업기술과 에너지·환경기술 연구개발 및 그 보급을 추진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중핵적인 연구개발 실시기관으로 산업경쟁력의 강화와 에너지 및 지구환경문제의 해결을 중요 사업과제로 정하고 있다.
NEDO가 선정한 브리지스톤의 초연비 타이어용 고무재료 연구는 고무의 나노 단계 분자구조제어를 통해 새로운 타이어 고무재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연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친환경 타이어 개발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기술을 사용할 경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타이어 대비 회전저항을 50% 감소시키고 내마모성은 25%향상시킨 타이어 개발이 가능하다. 이 연구성과는 3년 후에 발표될 예정이다.
타이어의 회전저항 감소는 연비를 절감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전 세계적인 환경이슈인 ‘지구온난화’ 방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고무공업회 자료에 따르면 타이어 원재료 생산에서 폐기까지 각 단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면 제품사용 단계가 87%로 전체 대비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저항을 감소시켜 연료소비를 줄이는 친환경타이어의 개발은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브리지스톤은 이미 타이어 원재료인 탄소분자를 분산시켜 타이어 회전 시 발생되는 저항과 열을 억제하는 ‘나노프로테크(NanoPro-Tech: Nanostructure-oriented Properties Control Technology)’를 개발해 브리지스톤의 친환경 타이어 ‘에코피아(ECOPIA)’ 제품군에 적용해왔다. 나노프로테크 기술을 사용한 에코피아 제품은 기존 타이어보다 회전저항을 30% 감소시켰다.
이번 브리지스톤의 프로젝트가 일본 NEDO 기술개발기구에 채택됨으로써 브리지스톤의 회전저항 감소, 내마모성 향상 등 친환경 타이어 기술개발은 더욱 진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는 2014년까지 모든 타이어 제품에 친환경 타이어 기술을 적용할 계획인 브리지스톤은 첨단 소재 개발기술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편집국 기자
2009-09-01
-
프로스트&설리번 수상기업
편집국 기자
2009-09-01
-
산업교육硏, 스마트그리드 세미나 개최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와 전력과 IT의 접목으로 관심이 뜨거운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세미나가 열렸다.
산업교육연구소(소장 김성의)는 1․2차 ‘지능형전력망사업 및 연관사업 세미나’를 업계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여의도 화재보험빌딩에서 개최했다.
지난 19~20일 이틀간 열린 1차 세미나에는 △스마트그리드의 상용화를 위한 정부정책방향 및 인프라 추진전략(김규동 전력I사업단 팀장) △스마트그리드 성공의 전제조건과 신시장 창출(채영진 전력거래소 과장) △스마트그리드 구현 기반기술인 전력용 반도체의 국내외 기술개발동향 및 시장전망(장동근 LS산전 책임연구원) 등 12명의 전문가의 발표가 있었다.
또 24~25일 열린 2차 세미나에는 △IBM의 스마트그리드 핵심전략인 IUN 및 AMM 구축사례(손일권 한국IBM 전무) △국내외 HEV/PHEV/EV의 기술개발동향과 시장전만 및 발전방향(조영우 현대기아차 환경기술연구원 부장) △스마트그리드와 그린카(문승일 서울대학교 교수) 등 12명의 전문가의 발표가 있었다.
특히 첫날 열린 1차 세미나에서 박기준 한국 전력연구원 박사는 ‘스마트그리드 기술개발 전략과 로드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스마트그리드는 새로운 사업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박사는 “스마트그리드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녹색성장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신재생에너지의 풍력을 예로 들며, 풍력의 경우 바람의 양에 의해 생산량이 좌우되기에 일정치 못한 지저분한 전기를 생산한다”라며 “이는 정전 시 더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렇기에 그는 “이러한 지저분한 전기에 비해 스마트그리드는 언제나 평균치의 전력을 생산 가능케 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30년 세계 최초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를 구축을 위해 박 박사는 “특히 중점을 둬야 하는 것이 스마트그리드의 내수시장을 조기창출하고 수출산업화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편집국 기자
2009-08-31
-
SK케미칼, 국내 최대 규모 BD 수출 계약
SK케미칼(대표이사 금창근 부회장)이 싱가포르에 소재한 트라피규라(Trafigura)사와 바이오디젤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지금까지 국내 바이오디젤 회사가 단발성 수출을 시도한 적은 있으나 1년 단위의 안정적인 공급계약 체결에 성공한 것은 이번 계약이 최초 사례로 SK케미칼은 2010년 한 해 동안 약4,800만 US 달러의 수출을 기대할 수 있다.트라피규라 사에 공급되는 SK케미칼의 바이오 디젤은 미주 및 아시아 지역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특히 미주 지역은 전 세계 바이오디젤 시장 중 품질 기준이 가장 까다로운 곳으로 이번 계약 체결과 미주 시장 진출로 SK케미칼 바이오디젤의 우수한 품질이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됐다.김창근 부회장은 “이번 수출 계약 체결로 우리의 품질이 세계적으로 입증돼 명실상부한 글로벌 바이오 디젤 메이커로 올라섰다”며 “앞으로 친환경 그린에너지 개발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하고 EU등으로 진출 지역을 확대해 갈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SK케미칼은 우리 나라 시장의 약 25배에 달하는 연간 1,000만 톤 규모의 EU지역 진출을 위해 기존 유화 설비(DMT생산설비)를 활용하는 고도의 정제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 상용화에 성공해 차별화된 품질의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독자 생산 공정을 바탕으로 현지 파트너사와의 합작법인 설립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한편 SK케미칼은 지난 2월 세계 시장 진출을 목표로 울산 공장에 증설을 완료,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업체 중 최대규모인 연 12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계약을 토대로 국내 시장 1위 달성과 함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편집국 기자
2009-08-31
-
LS파워세미텍, 천안에 3,300만달러 투자
LS산전과 세계 최대의 전력용 반도체 생산기업인 독일 인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합작법인인 LS파워세미텍이 천안에 투자한다.
이를 위해 이완구 충남도지사, 윤흥구 LS파워세미텍 대표, 마티아스 루드비히(Matthias Ludwig)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대표, 박한규 천안부시장은 지난 24일 서울 인베스트코리아플라자(IKP)에서 ‘가전용 지능형 전력용 반도체 모듈(CIPOS)’ 생산공장 투자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LS파워세미텍은 외국인 자본 1,700만달러를 포함한 총 3,300만달러를 투자해 올해 연말까지 LS산전 천안공장 내에 CIPOS 생산공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 1월부터는 모듈을 200만개 양산해 2013년까지 약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계획이며, 이로 인해 약 220여명의 신규 고용창출도 기대된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에어컨, 냉장고 등 가전분야와 메모리 반도체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었지만, 주문형 반도체 분야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뒤처져 있었다. 특히 이러한 주문형 반도체의 일종인 지능형 전력용 반도체 모듈은 전량 일본 등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번 협약으로 내년부터 상당한 수입대체효과가 예상되며, 나아가 생산제품의 80% 이상을 동남아 시장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지능형 전력용 반도체 모듈은 가전뿐만 아니라 국가의 차세대 역점 사업인 지능형전력망에 포함되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전기자동차 등의 인버터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이다. 때문에 향후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LS산전은 지능형전력망 분야에 핵심적인 산업용뿐만 아니라 LS파워세미텍 설립으로 가전용까지 포함하는 풀 라인업을 구축하게 됐다.
이완구 지사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맞춰 전력용 반도체 모듈의 세계적인 업체가 한국에 진출하게 된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이라며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도 지능형전력망 분야의 인프라가 갖추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흥구 LS파워세미텍 대표는 “천안으로 투자를 결정한 이유는 탁월한 교통망 및 우수한 고급 노동력을 고려해 결정한 것”이며 “특히 충남도의 적극적인 유치 지원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편집국 기자
2009-08-31
-
핵융합 구현 최신기술 한·일 교류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연구에 필수적인 중성입자빔 가열(Neutral Beam Heating) 기술을 연구하는 한일 양국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양국의 최신 연구개발 정보를 교환하는 장이 열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은 일본 일본원자력개발기구(JAEA), 일본국립핵융합과학연구소(NIFS)와 공동으로 ‘한․일 중성입자빔 가열기술 워크숍’을 지난 25~26일 이틀간 연구원 내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INTEC)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JAEA 이노우에 다카시 박사, NIFS 츠모리 카츠요시 교수 등 일본 두 기관의 중성입자빔 가열 전문가 6명을 포함, 양국 전문가 30여 명이 참가해서 핵융합 중성입자빔 가열기술의 최신 연구개발 현황 정보를 교환할 예정이다.
중성입자빔 가열장치(NBI: Neutral Beam Injection)는 핵융합로의 노심에 해당하는 플라즈마를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섭씨 1억도 이상의 온도로 높여주기 위한 핵심적인 가열장치이며 핵융합로의 연속운전에 필수적인 플라즈마 전류를 구동시켜주는 장치이다. 중성입자빔 가열기술은 고에너지의 입자를 가속하는 기술로, 대전류 이온원, 고전압 대전류 전원, 고열부하용 빔라인 부품, 대용량 진공배기 등 고난이도의 첨단기술들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원자력연구원은 1996년부터 핵융합 중성입자빔 가열장치 기술을 연구 개발해 왔다. 2005년 9월에는 자체 개발한 2MW 중성입자빔 특성시험시설을 이용해서 일본의 국가핵융합연구장치에 사용될 토카막용 대전류 이온원의 성능 검증을 일본원자력연구소 연구원들과 공동실험을 통해 수행해서 중성입자빔 가열장치의 200 초 이상 운전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검증했고, 2007년 10월에는 3MW의 이온빔을 300초동안 인출해서 세계 최장시간의 고출력 빔 인출을 달성한 바 있다.
편집국 기자
2009-08-31
-
日 부품소재 시장을 노려라
부품소재 분야에서 오랜 세월 국내 업계를 짓눌러온 일본 시장에 역으로 진출을 모색하는 현지 행사가 기획돼 눈길을 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내달 7일부터 12까지 일본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등지에서 ‘2009 한일 부품소재 상생협력 사찰단’ 행사를 개최한다.
국내 중소 부품소재 기업과 일본 대기업의 상생협력 관계 수립을 통해 국내 부품소재 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을 꾀하는 이번 행사에는 자동차, 기계, 금속, 전기전자, 화학 관련 부품소재 분야 총 100개사 이상이 참여해 해당 분야별로 일본의 대기업 조달담당자들과 접촉을 가질 예정이다.
다만 일본 측 기업이 요구하는 품목의 생산이 가능한 기업을 진흥원에서 사전 조사를 거쳐 모집할 것으로 전해졌다.
행사 참가기업은 주최 측으로부터 일본 기업 담당자 상담 알선에 더불어 △1:1 상담통역 지원 △현지 이동 교통편 지원 (전일) △상담 당일 중식 무료 제공 △항공권, 호텔 예약 지원 (비용은 기업 부담) △홍보용 브로셔 제작 배포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항공료, 현지 숙식비 등은 참가 기업이 부담하게 된다.
이 행사는 진흥원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주관하며 한국기계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등이 후원한다.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부품소재지원단 신뢰성사업팀(전화: 02-6009-3923,3925 팩스: 02-6009-3939)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내달 1차 사찰단에 이어 오는 10월 중순경에 2차 사찰단 행사도 예정돼 있다.
편집국 기자
2009-08-31
-
남부발전, 저열량탄 발굴 선도
남부발전이 저열량탄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선도적 발전회사의 모델을 제시했다.
한국남부발전(사장 남호기)은 지난 20일 러시아 최대 광산업체인 SUEK사와 저원가 삼척화력발전소용 신규 저열량탄 공급 및 공동 자원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표준석탄화력 발전소들은 저열량탄 연소가 어려운 고열량탄 연소형 발전소들로 석탄수급 악화시 고가의 연료조달에 대한 위험성에 상시 노출돼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 남부발전은 국내 최초로 대용량(2,000MW) 저열량탄 전소(全燒) 발전소인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국내 업계 최초로 저원가 러시아 저열량탄을 조기에 안정적으로 확보해 발전원가 절감 및 공급 안정성을 제고시키게 됐다.
또한, 대형 광산업체와 공동자원 개발로 미래지향적 파트너쉽 관계를 구축함은 물론, 삼척화력발전소 가동 후 30년간 매년 약 1,200억원 이상의 획기적인 연료구매 비용을 절감해 국가 에너지 비용 절감 및 전기요금 인상 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남부발전은 지난 6월15일 인도네시아 대형 광산업체인 Berau Coal과 저열량탄 공급 및 공동 자원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했다. 이후 저열량탄 발굴 선도 및 해외 공동 자원개발을 위해 세계 주요 공급사들과 협력방안 구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으며, 향후에도 세계 주요 저열량탄 광산업체들과 양해각서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국내 표준 석탄 화력발전소들은 고열량탄 연소(설계탄 6,080kcal/kg)를 기준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으나 2015년 준공을 목표로 현재 건설 추진 중인 삼척화력발전소는 국내 최초의 저열량탄 전소(全燒)(설계탄 4,600kcal/kg) 발전소로서 기존 고열량탄 연소 발전소 효율(43.38%)보다 더 높은 효율(43.93%)로 운영된다.
편집국 기자
2009-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