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속 3D프린터, 저가화·고품질화 춘추전국시대 예고
신근순 기자
2017-05-29
-
울산시, ‘3D프린팅 품질평가센터’ 개소
신근순 기자
2017-05-29
-
센트롤,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에 금속 3D프린터 납품
신근순 기자
2017-05-29
-
3D프린팅산업 발전 전문유저 구심점 마련
신근순 기자
2017-05-26
-
유저 중심 3D프린팅 국제전시회, 3DPIA 개막
신근순 기자
2017-05-25
-
현대건설기계, ‘2023년까지 글로벌 5위 도약’
배종인 기자
2017-05-25
-
기계연, 대형연구성과 창출형 조직 개편
배종인 기자
2017-05-24
-
부산국제기계대전, 최첨단 기계산업 한자리
신근순 기자
2017-05-24
-
한국트럼프,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선
배종인 기자
2017-05-24
-
3D프린팅협회 신임회장에 센트롤 최진용 회장
신근순 기자
2017-05-23
-
전주시, 드론 육성 탄력
전주시가 정부공인 드론전문교육기관을 유치하면서 드론산업을 미래먹거리로 육성하려는 계획이 탄력을 받게 됐다.
앞서 시는 지난 2015년 12월 제정된 ‘전주시 신성장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기반으로 △국토부 드론 시범공역 지정 △3차원 공간정보 기반 드론길 구축 시범지역 선정 △한·중 3D프린팅드론산업박람회 개최 △드론축구를 통한 레저스포츠산업 저변확대 등 드론산업을 향후 미래먹거리를 창출할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전주시는 22일 국토교통부가 최근 재난구호와 항공방제 등 드론조종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새만금무인항공교육원을 ‘드론 전문교육기관’으로 공식 지정했다고 전했다. 정부공인 드론 전문교육기관 지정은 전북도내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드론조종면허 취득을 위해 수도권 등으로 원정교육을 다녀야 했던 전북도민들은 전주에서 교육을 받고 자격시험에도 응시할 수 있어, 불편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시 송천동(두간로 9, 3층)에 위치한 새만금무인항공교육원은 총 178㎡규모로 강의실과 사무실이 구축돼 있으며, 완주군 소양면(신원리 557-1)에 약 7,920㎡규모의 천연잔디축구장을 실기교육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연간교육 수용인원은 총 190명으로 ㈜에어콤(310명), 아세아무인항공교육원(300명)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 규모로, 향후 초경량비행장치(드론) 조종교육을 통해 재난구호와 항공측량, 항공방제, 항공촬영 등의 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곳에서는 현재 지도조종사 1명과 실기평가조종자 2명, 보조교관 3명 등 총 6명의 전문교관이 학과교육 5일(이론 20시간, 모의비행 20시간), 실기교육 10일(비행훈련 20시간)의 커리큘럼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1월 개원이후 총 7회기 교육을 통해 38명의 교육생을 배출했다.
특히 민간 사설 드론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한 수강생은 학과시험과 실기시험을 모두 응시하여야 하지만, 국토부 지정 드론 전문교육기관은 자격증 취득시 학과시험이 면제되고, 실기시험 시행시 교통안전공단 감독관을 초빙해 자체 비행장에서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앞서 시와 ㈜새만금항공(대표 안흥진)은 지난해 8월부터 업체 사업자등록, 초경량비행장치 구입, 보험가입 및 신고, 강의실·사무실 구축, 이·착륙시설 구축, 전문교관 초빙(지도조종자, 실기평가조종자) 등을 거쳐 국토부 드론전문교육기관 인가 신청을 준비해 왔다.
그 결과 새만금무인항공교육원은 전남 영암에 이어 호남권에서 2번째로 국토부에서 승인한 드론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됐다. 현재까지, 국토부가 승인한 드론전문교육기관은 수도권 6곳과 충청권 3곳, 영동권 1곳, 영남권 2곳, 호남권 2곳 등 모두 14곳이다.
전주시 신성장산업본부 관계자는 “전주시 관내 드론 전문교육기관 유치로 드론 조종면허 취득을 위해 타 지자체 원정교육을 다녀야 했던 지역주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향후 드론 전문교육을 통한 맞춤형 드론 조종인력 양성으로 드론산업의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드론 교육신청 및 일정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새만금무인항공교육원으로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063-275-4816)로 문의하면 된다.
배종인 기자
2017-05-22
-
3D융합산업협회, 3DP 재직자 맞춤 교육 실시
3D융합산업협회가 3D프린팅 활용분야 확산을 위한 재직자 맞춤형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3D융합산업협회(회장 김창용)는 3D프린팅 기술의 활용분야 확산을 위해 산업별 3D프린팅 기술 맞춤형 교육훈련을 실시함으로써 4차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융합기술인력을 양성한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신설된 과정 중 하나인 3D프린팅 홈팩토리 과정은 3D프린팅 기술의 사업화연계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관련 업종의 창업 역량을 지원한다.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성되며 3D모델링과 아두이노 등 3D프린팅 기술 교육뿐만 아니라 디지털마케팅 및 지식재산권 관련 교육을 통해 Shapeways온라인샵 개설 등 소셜마케터로 성장할 수 있는 멘토링을 제공한다.
교육분야에서는 3D프린팅 활용을 위한 교구 제작 과정이 실시된다. 스팀(STEAM)교육의 중요성이 반영된 과정으로 유·초등교육 교강사 및 관련분야 재직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구를 직접 제작해봄으로써 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적 활용기법을 습득한다.
주얼리 산업의 3D프린팅 활용 과정은 주얼리 산업에 폭넓게 보급된 DLP방식 3D프린터와 라이노3D를 활용해 다양한 주얼리 디자인의 접근성을 높이고 자체 출력을 통한 생산성 확대와 디자인 저작권 보호가 가능하다. 교육은 주말 종로 소재 교육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그밖에도 자동차/제품디자인/조형예술(피규어)산업의 3D프린팅 활용 및 3D프린터 유지보수 과정도 개설될 예정이다.
상기 교육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되며, 이수자에게는 3D융합산업협회장 명의의 수료증을 발급한다.
각 교육과정은 정부지원 무료교육으로 고용보험에 가입된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참여가능하다. 교육 신청 등 자세한 사항은 3D융합산업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3D융합산업협회는 3D융합기술 및 3D프린팅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주관기관으로서 3D융합기술 전문인력양성 및 인력수급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정부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편집국 기자
2017-05-22
-
에어로젯, 3D프린팅 로켓엔진 출력 500%↑
신근순 기자
2017-05-22
-
세계 3D프린팅 전문가 킨텍스 모인다
세계 3D프린팅 전문가들이 인사이드 3D프린팅 컨퍼런스&엑스포에서 최신 기술 동향과 미래 전망을 제시한다.
인사이드 3D프린팅 서울대회 사무국은 오는 6월28일부터 30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리는 제4회 인사이드 3D프린팅에 스트라타시스 오메르 크리거 대표, 3D시스템즈 케빈 맥알리아 부사장, 홀러스 어스소시에이츠 테리 홀러스 회장 등 연사진이 방한을 확정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조연설로 스트라타시스 오메르 크리거 대표가 ‘3D프린팅 시장 트렌드 및 미래 전망’을 발표한다. 또한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SAP의 스티븐 킴이 ‘제조업, 물류 운송업계의 게임 체인저’라는 주제로, 뉴질랜드 바이오 기업 씨온(Scion)의 플로리안 그라이첸 연구원은 ‘바이오 소재와 3D프린팅의 콜래보레이션’이라는 주제로 각각 발표를 진행한다.
미국 애스트로프린트(AstroPrint)의 드류 테일러 대표는 3D프린팅과 클라우드 컴퓨팅을 결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으며, 아리스 테크놀로지(ARIS Technology)의 강민구 대표는 ‘인공지능(AI)를 이용한 3D프린팅 출력물 품질관리’를 주제발표한다.
올해 특히 주목 받는 분야는 ‘금속 3D프린팅’, ‘3D 소프트웨어’이다. 메탈 트랙의 주요 연사로는 오토데스크(Autodesk)의 피터 로져스, 스웨덴 Arcam의 차오 왕, 3D시스템즈의 케빈 맥알리아 등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 중인 금속 3D프린팅의 생생한 정보를 전달할 계획이다.
행사 개최일인 6월28일에는 3D프린팅, 로봇, 드론, VR/AR 분야 최고의 스타트업을 가리는 스타트업 경진대회가 동시개최된다. 미국 아시모프 벤쳐스(Asimov Ventures)가 후원하는 동 행사의 우승자에게는 5천달러(한화 약 570만원)의 투자금이 주어지며, 참가 희망자는 5분 분량의 영문 발표자료를 해당 이메일(startupsk@risingmedia.com)로 보내면 된다.
한편 ‘2017 인사이드 3D프린팅’ 국제 컨퍼런스는 홈페이지(www.inside3dprinting.co.kr)에서 신청할 경우 최대 20%의 조기등록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컨퍼런스 및 전시회 참가 문의는 전시 사무국(031-995-8074/8740) 또는 이메일(inside3dprinting@kintex.com)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7-05-19
-
센트롤, 3D프린팅 전문인력양성·산업확대 기반 마련
신근순 기자
2017-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