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자율주행차 최고 전문가 영입·개발 박차
배종인 기자
2017-02-13
-
3D프린팅 中企 절반, “인력 수급 어렵다”
편집국 기자
2017-02-13
-
현대로템, 4,330억 이집트 전동차 사업 낙찰
현대로템이 아프리카 시장에 진출한 이래 최대인 약 4,330억원 규모의 카이로 3호선 전동차 사업에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종합중공업회사인 현대로템은 이집트 교통부 산하 기관인 터널청에서 발주한 카이로 3호선 전동차 256량 납품 및 유지보수 사업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고 지난 6일 밝혔다.
현대로템이 공급할 카이로 3호선 전동차 256량은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의 동쪽과 서쪽을 연결하는 아타바~카이로 국제공항 구간(총연장 45.5km)에서 운행될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현지 협력사와 협업해 2018년 첫 편성 납품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모든 차량을 납품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기존에 수행한 카이로 1호선 전동차 사업을 수행하며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카이로 3호선 전동차에 현지 운영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극대화한 설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여름철 최고 기온이 50도 가까이 상승하는 카이로의 날씨에 대비해 고온에서도 원활한 운행이 가능한 부품을 도입, 현지 운행에 최적화된 전동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더불어 현대로템은 납품할 차량에 대한 유지보수도 8년 동안 함께 맡아 수행하게 된다. 유지보수 사업은 기존의 철도차량 제작 위주였던 철도사업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현대로템이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분야다.
실제로 현대로템은 카이로 1호선 전동차(2012년), 우크라이나 전동차(2015년), 뉴질랜드 전동차 및 객차(2016년) 등 해외 철도차량 유지보수 사업들을 수주하며 이 분야에서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해오고 있다.
이번 카이로 3호선 사업까지 따내며 현대로템은 약 70조원으로 추정되는 세계 철도차량 유지보수 시장 공략에도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로템은 “카이로 1호선 전동차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얻은 현지로부터의 신뢰와 우리나라 정부의 적극적인 수주지원으로 사업을 따낼 수 있었다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이집트는 물론 튀니지, 모로코 등 아프리카 철도시장 공략에 보다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편집국 기자
2017-02-10
-
3D테크놀로지-씨에이텍, 대형 SLA 3D프린터 개발 맞손
신근순 기자
2017-02-10
-
유저 중심 3D프린팅 국제전시회, 5월25일 구미 개최
신근순 기자
2017-02-10
-
EOS, 2016년 매출 3억1500만 유로
편집국 기자
2017-02-10
-
한컴그룹-퓨처로봇, AI개발 협력 MOU
편집국 기자
2017-02-10
-
스트라타시스, 다쏘시스템과 AM 부품 성능 개선 협력
신근순 기자
2017-02-09
-
4차 산업혁명, 차 부품 中企 중점 지원
배종인 기자
2017-02-07
-
기산진, 최형기 신임 상근부회장 선임
배종인 기자
2017-02-07
-
산업통상자원부 국장·실장
■국장급 전보
▷산업기술정책관 박건수
▷통상정책국장 여한구
■부이사관 승진
▷이경식
편집국 기자
2017-02-06
-
프레드 피셔(Fred Fischer) 스트라타시스 아태지역/애플리케이션, 제품 및 기술 총괄 디렉터
신근순 기자
2017-02-06
-
한국트럼프, 극초단 펄스레이저 기술 과시
배종인 기자
2017-02-06
-
한전, 전기차 다중 동시 충방전 시스템 선
한개의 충전기로 여러대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충방전 시스템이 개발됐다.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이 1대의 충전기로 다중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하고 전기차에 충전된 전기를 기존 전력망에 보낼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충방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한전이 이번에 개발한 전기차 동시 충방전 시스템은 1대의 충전기에 여러 개의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고 매 주차공간마다 각각 소켓을 설치하여 한번에 여러 대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1대의 충전기에 1대의 전기차만 충전하고 전기차 전용 주차구역이 필요한 기존 충전기의 단점을 해결하고 충전시설 구축에 필요한 고가의 충전기 수를 줄임으로써 주차장 충전시설 구축 비용을 절감하여 향후 충전기 보급 확대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기차와 충방전 시스템에 탑재된 통신기능을 통해 전력을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기술인 V2G(Vehicle to Grid) 기술을 적용하여 전력망에서 전력이 부족할 경우 전기를 다시 역송하여 전력부족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한전이 개발한 한국형 V2G 기술이 국내 스마트그리드 협회의 기술표준으로 제정되었고 국제표준 규격(IEC15118)에도 제안되어 채택될 경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은 전기차 동시 충방전 시스템을 대전에 위치한 한전 전력연구원에 설치 완료하고 향후 6개월간의 시스템 실증을 거쳐 성능을 검증하여 향후 전기차 이용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파트 단지나 공용주차장, 대형 쇼핑센터 등의 주차장에 보급할 예정이다.
전력연구원 주차장에 동시 충방전시스템 1대와 소켓 18개를 설치하여 일반 차량과 주차공간을 공유하고 주차장내 어느 곳에 주차하더라도 근처의 충전 소켓에 꼽아서 동시에 18대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한전은 이번에 개발한 전기차 충방전 시스템과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전력시장 수요반응, 건물에너지관리, 신재생에너지 출력관리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향후 글로벌 표준 기반의 전기차 충전기용 OS도 개발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충전기에 탑재되도록 할 예정이다.
전기차 충전기를 통해 차량 상태를 점검하고 이용 가능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카쉐어링 서비스에 이용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 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편집국 기자
2017-02-03
-
ETRI, LED 빛으로 홀로그램 구현 기술 개발
편집국 기자
2017-02-03